목차
제1장 총론 = 1
1.1. 서론 = 1
1.2. 최소주의 문법론의 기본 가정 = 4
1.2.1. 언어 재능 = 5
1.2.2. 언어 습득 = 7
1.2.3. 언어적 표현의 표시 충위 = 11
1.3. 최소주의 문법론의 기본 과제 = 17
1.3.1. 경제성 = 18
1.3.2. 기술적 타당성과 설명적 타당성 = 21
1.4. 인지 체계와 언어의 변이 = 25
1.5. 최소주의 문법론의 주요 개념들 = 28
1.5.1. 완전 해석과 불법적 해석 대상 = 28
1.5.2. 최적성 = 31
1.5.3. 경제성 개념의 실현 = 34
1.5.3.1. 최소화 = 34
1.5.3.2. 표시의 최소화 = 35
1.5.3.3. 도출의 최소화 = 38
제2장 사전의 구성과 연산 체계 = 43
2.1. 사전 = 44
2.1.1. 소체 출력 조건 = 47
2.1.2. 자질들의 분류: 해석성과 접근성 = 48
2.1.3. 사전의 구성 = 51
2.1.3.1. 명사의 예: book = 53
2.1.3.2. 동사의 예: explain = 54
2.1.3.3. 기능 범주들 = 57
2.2. 연산체계 = 59
2.2.1. 배번 집합 = 59
2.2.1.1. 배번 집합의 성격 = 59
2.2.1.2. 형식 자질과 배번 집합의 구성 = 61
2.2.1.3. 배번 집합과 최적 도출의 관계 = 65
2.2.2. 연산 작용: 순환 절차 = 67
2.2.2.1. 포함 조건과 통사 대상 = 67
2.2.2.2. 선택 작용 = 69
2.2.2.3. 병합 작용 = 70
2.2.2.4. 이동 작용 = 73
2.2.2.4.1. 언어의 전치 특성 = 73
2.2.2.4.2. 이동의 본질 = 75
2.2.2.4.3. 이동 작용 = 78
2.2.2.5. 탈락 작용 = 80
2.2.2.6. 음운화 작용 = 82
2.2.3. 요약: 최소주의 프로그램의 문법 모형 = 84
제3장 병합과 구구조 = 89
3.1. Chomsky(1995a)전의 구구조 이론 = 89
3.1.1. 고전적 변형 문법의 구구조 이론 = 91
3.1.2. X-바 구구조 이론 = 95
3.1.2.1. X-바 골격 = 95
3.1.2.2. X-바 이론과 투사 = 98
3.1.2.3. X-바 이론에서의 병합 = 101
3.2. 최소주의 프로그램의 구구조 이론 = 102
3.2.1. 투사 = 103
3.2.1.1. 기본 가정 = 103
3.2.1.2. 최소 투사와 최대 투사 = 105
3.2.1.2.1. Chomsky(1995a,b)의 정의 = 106
3.2.1.2.2. 정의 (20)의 재형식화 = 109
3.2.2. 병합과 구구조의 구축 = 112
3.2.2.1. 통사 대상 = 113
3.2.2.2. 병합의 본질 = 114
3.2.2.3. K의 성격 결정 = 119
3.2.2.3.1. 어휘 항목의 경우 = 120
3.2.2.3.2. 비어휘 항목의 경우 = 123
3.2.2.4. 구구조의 성격 = 124
3.2.2.5. 소체 구구조의 문법항 = 125
3.2.2.6. 비대격 구문과 비능격 구문 = 128
3.3. 영어의 기본 구구조 = 130
3.3.1. 몇 가지 기본 가정들 = 130
3.3.2. 영어의 기본 구구조 = 133
3.3.2.1. 명사적 표현의 구조 = 133
3.3.2.2. 기본 절 구조 = 135
3.3.2.2.1. 기능 범주 Agr의 제거 = 136
3.3.2.2.1.1. Agr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의문 = 137
3.3.2.2.1.2. Agr의 기능에 대한 의문 = 139
3.3.2.2.2. 무(無) Agr 가설과 영어의 기본 절 구조 = 142
제4장 이동과 점검 = 145
4.1. 이동과 자질 점검 = 146
4.1.1. 이동의 유발자 = 146
4.1.2. 점검 이론 = 148
4.1.2.1. 점검의 예: 격자질 점검 = 148
4.1.2.2. 점검 영역 = 151
4.2. 이동과 경제성 = 166
4.2.1. 도출 단계의 최소화와 도출 작용의 최단화 = 167
4.2.2. 지연성과 이기성 = 174
4.3. 자질 이동 = 179
4.3.1. 범주 이동과 자질 이동 = 179
4.3.2. 범주 이동의 원인 = 182
4.3.3. 자질 이동과 연쇄 = 184
4.3.4. 자질 이동과 최후 수단 = 185
4.4. 자질 점검과 탈락 = 188
제5장 자질 유인 = 195
5.1. 점검 이론에 대한 재고 = 195
5.1.1. 점검 관계의 성격 = 195
5.1.2. 점검자 자질과 피점검자 자질 = 199
5.1.3. 점검자의 보충성 자질과 자질 강도 = 201
5.1.3.1. 형식 자질의 점검 시기 = 201
5.1.3.2. 핵의 보충성 범주 자질 = 201
5.1.3.3. 자질의 강도 = 203
5.1.3.3.1. 강도 개념의 도입 = 203
5.1.3.3.2. 최소주의 프로그램의 자질 강도 이론 = 204
5.1.3.3.2.1. Chomsky(1993)의 가정 = 204
5.1.3.3.2.2. Chomsky(1995a)의 가정 = 207
5.1.3.3.2.3. Chomsky(1995b)의 가정 = 208
5.2. 유인 = 213
5.2.1. 이동 개념과 이기성 개념의 재해석 = 213
5.2.2. 유인의 개념 = 214
5.2.2.1. 최소 고리 조건의 재해석 = 214
5.2.2.2. 유인 = 219
5.2.2.3. 연쇄와 흔적 = 221
5.2.2.3.1. 복사 이론과 연쇄의 본질 = 221
5.2.2.3.2. 흔적의 성질 = 225
5.2.3. F 유인의 조건들 = 232
5.2.3.1. F에 대한 조건 = 232
5.2.3.2. 하위 표찰, 점검 관계 및 점검 영역 = 233
5.2.3.3. 근접성 = 238
5.2.4. 다중 명시 요소 가설 = 240
5.3. 외현부 유인과 내현부 유인 = 245
5.3.1. 외현부 유인 = 245
5.3.2. 내현부 유인 = 255
5.4. 맺음말 = 264
(부록) 주성 성분들의 배열: 어순 = 271
1. 핵 매개 변인에 의한 설명 = 272
2. Kayne(1994)의 구구조 이론 = 276
2.1. 예비 지식= 278
2.1.1. 순서쌍, 데카르트의 곱, 그리고 관계 = 278
2.1.1.1. 순서쌍 = 278
2.1.1.2. 데카르트의 곱 = 279
2.1.1.3. 관계 = 280
2.1.2. 선형적 순서 관계 R-L의 특성 = 282
2.1.3. 선형적 순서 관계의 구체적인 예: 단말 요소들의 관계 = 285
2.2. 관할 관계와 성분 통어 관계: 비단말 요소들의 관계 = 287
2.2.1. 관할 관계의 특성 = 288
2.2.2. 성분 통어 관계의 특성 = 290
2.3. 비대칭 성분 통어 = 291
2.4. 단말 요소들의 선형성과 비단말 요소들의 국부적 선형성의 관계 = 295
2.5. 선형 대응 공리 = 299
2.6. 선형 대응 공리와 X-바 이론 = 301
2.7. 부가 = 303
2.7.1. 분절과 범주 = 303
2.7.2. 핵으로의 부가 = 307
2.7.2.1. 핵-핵 부가 = 307
2.7.2.2. 비핵-핵 부가 = 308
2.7.3. 중첩 부가 = 310
2.7.3.1. 중첩 핵부가 = 310
2.7.3.2. 중첩 비핵 부가 = 312
2.7.4. 핵-비핵 부가 = 313
2.8. 어순: 단말 요소들의 선형적 배열 = 315
2.8.1. 명시 요소와 보충 요소의 비대칭성 = 315
2.8.2. 시간과 보편적 S-H-C 순서 = 317
2.8.3. 핵부가 및 낱말 내부 구조 = 322
2.9. 요약 = 323
2.10. 기타 결과들 = 327
3. 선형 대응 공리와 소체 구구조 이론 = 327
3.1. Kayne(1994)의 이론에 대한 Chomsky(1995a,b)의 비판 = 327
3.2. 선형 대응 공리와 소체 구구조 이론 = 337
3.3. 선형 대응 공리에 대한 개념적 논증의 문제 = 342
3.4. 선형 대응 공리의 수정과 그 적용 = 343
3.4.1. 핵과 그 보충 요소의 순서 = 343
3.4.2. 해결 방안 = 345
3.4.3. 약성 대명사와 강성 대명사 = 347
3.4.4. 부가 요소와 표적의 순서 = 348
3.4.4.1. 이분절 범주와 관할 개념 = 350
3.4.4.2. 성분 통어의 개념 = 350
3.4.4.2.1. 비최대 투사 핵으로의 부가와 성분 통어 관계 = 351
3.4.4.2.2. 복합 범주로의 부가 = 355
3.4.4.2.3. 핵-핵 부가 = 356
3.5. 요약 = 356
참고 문헌 = 359
찾아 보기 = 369
영한 용어 대조표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