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시작하며 = 5
Ⅰ부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유용한 기호학 이론
1. 광고디자인과 기호학 = 15
1-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 19
1-2. 기호학의 적용 영역의 확장 = 22
1-3. 기호학의 흐름, 소쉬르와 퍼스 = 24
2. 기호에 관하여 = 31
2-1. 기호란 무엇인가 = 33
2-2. 신호와 상징 = 36
2-3. 소쉬르의 기호 = 39
2-3. (1) 기호의 의미작용 = 41
2-3. (2) 기호해석의 자의성 = 44
2-4. 퍼스의 기호 = 44
2-4. (1) 기호의 구조 = 46
2-4. (2) 도상, 지표, 상징 = 48
3. 기호학적 분석, 이미지 읽기 = 57
3-1. 기호학과 구조주의적 시각 = 60
3-2. 의미전달과 의미작용 = 64
3-3.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 = 65
3-4. 이항대립과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변형 = 80
3-4. (1) 이항대립 = 80
3-4. (2) 이항대립쌍의 구조분석 = 85
3-4. (3) 기호학적 사변형 = 87
3-5. 해석소 매트릭스에 의한 분석 = 95
4. 은유와 환유 = 101
4-1. 계열적 관계와 통합적 관계 = 103
4-2. 은유와 환유, 그리고 수사학 = 106
4-2. (1) 은유 = 115
4-2. (2) 환유 = 121
4-3. 코드의 문제 = 128
Ⅱ부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기호학적 접근
5. 기호의 일반적 유형과 시각언어 = 135
5-1. 시각기호의 특징 = 137
5-2. 시각언어의 구성요소와 그 속성 = 138
5-3. 시각언어의 이론, 게스탈트 심리학 = 140
6. 디자인 아이디어와 창조성 = 149
6-1. 디자인 아이디어를 위한 창조성의 문제 = 153
6-1. (1) 창조성의 개념 = 153
6-1. (2) 창조성의 발생요인 = 154
6-2. 일상의 기호 = 164
6-2. (1) 일상의 기호와 문화적 가치 = 170
6-2. (2) 일상의 기호와 버나큘러 = 176
7. 기호 활용의 문제 = 183
7-1. 기호학의 3분할법 -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 185
7-2. 예술과 디자인에 있어서의 기호 활용 = 190
7-2. (1) 정보이론과 기호 활용 = 194
7-2. (2) 정보량의 문제 = 195
7-2. (3) 중복성과 불확실성 = 198
8.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적 접근 = 203
8-1. 인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 205
8-2. 야콥슨의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 모델 = 211
8-3.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기호학적 접근 = 220
8-4.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기호 활용 = 223
9. 광고디자인 크리에이티브-비주얼 펀(Visual Pun) = 225
9-1. 비주얼 펀의 개념 = 227
9-2. 비주얼 펀의 유형 = 230
9-3. 비주얼 펀 효과의 의미작용 = 231
9-3. (1) 비주얼 펀 효과의 의미작용 분석사례1 = 231
9-3. (2) 비주얼 펀 효과의 의미작용 분석사례2 = 233
9-3. (3) 비주얼 펀 효과의 의미작용 분석사례3 = 234
9-3. (4) 비주얼 펀 효과의 의미작용 분석사례4 = 236
10. 광고디자인 크리에이티브-부재(absence) = 239
10-1. 표현 방법으로서의 '부재' = 242
10-1. (1) '부재'의 개념 = 242
10-1. (2) 수사학적 문채 - 부재 = 243
10-2. '부재'에의 기호학적 접근 = 246
10-3.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의 '부재'의 의미작용 = 249
10-3. (1)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표현 및 의미작용 = 249
10-3. (2) 광고 표현에 있어서의 부재의 유형 및 의미작용 = 251
11. 광고디자인 크리에이티브-섹스 어필(Sex Appeal) = 257
11-1. 성적 소구의 정의 및 유형 = 261
11-1. (1) 성적 소구의 정의 = 261
11-1. (2) 성적 소구의 유형 = 261
11-2. 성적 소구의 광고 표현의 유형 = 263
11-2. (1) 성적 소구 광고 표현의 유형 구분을 위한 이미지 생산방법 = 263
11-2. (2) 성적 소구 광고 표현의 유형 구분 = 267
11-3. 성적 소구 광고 표현의 유형별 의미작용 = 268
11-3. (1) 은유에 의한 성적 소구 광고표현 = 268
11-3. (2) 유추에 의한 성적 소구 광고표현 = 270
11-3. (3) 남유에 의한 성적 소구 광고표현 = 272
11-3. (4) 환유에 의한 성적 소구 광고표현 = 274
11-3. (5) 제유에 의한 성적 소구 광고표현 = 276
12. 마케팅과 기업이미지에의 기호학적 접근 = 279
12-1. 마케팅에의 기호학적 접근 = 281
12-1. (1) 제품에의 기호학적 접근 = 282
12-1. (2) 마케팅 과정에의 기호학적 접근 = 284
12-2. 기업이미지에의 기호학적 접근 = 286
12-2. (1) 기업이미지의 개념 = 286
12-2. (2) 기업과 기업이미지의 기호학적 구조 = 290
12-2. (3) C.I.의 기호학적 모형 = 292
12-2. (4) 심벌마크에서의 기호학적 접근 = 296
13. 컴퓨터 시스템과 기호학 = 309
13-1. 컴퓨터 기호학 = 314
13-2.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컴퓨터 시스템 = 315
13-3. 컴퓨터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소쉬르와 퍼스 기호학 = 318
14. 인터넷 미디어와 기호학 = 325
14-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변화 = 327
14-2. 인터넷 미디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329
14-3. 인터넷 웹사이트에서의 디자인 = 333
14-3. (1) 멀티미디어 디자인의 방법론적 특징 = 334
14-3. (2)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특성 및 방법 = 335
14-4. 인터넷 미디어에서의 디자인 아이디어와 기호학적 접근 = 338
14-4. (1) 광고를 위한 웹사이트 = 338
14-4. (2) 홍보 및 정보제공 위주의 웹사이트 = 342
14-4. (3) 참여유도를 위한 즐거움 위주의 웹사이트 = 344
책을 마치면서 = 348
참고 문헌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