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34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861287 | |
005 | 20100806022807 | |
007 | ta | |
008 | 031224s2003 ulk 000a kor | |
020 | ▼a 8986598531 ▼g 93800 : ▼c \16000 | |
035 | ▼a KRIC09013769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9 | 1 | ▼l 111270628 ▼l 111270629 ▼l 131016911 ▼f 의학 |
082 | 0 4 | ▼a 801 ▼2 21 |
090 | ▼a 801 ▼b 2003g | |
100 | 1 | ▼a 강내희 ▼g 姜來熙 |
245 | 1 0 | ▼a 문학의 힘, 문학의 가치 : ▼b 문학의 유물론적 이해 / ▼d 강내희 지음. |
260 | ▼a 서울 : ▼b 문화과학사 , ▼c 2003. | |
300 | ▼a 406 p. ; ▼c 23 cm. | |
440 | 0 0 | ▼a 문화과학 이론신서 ; ▼v 41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3g | 등록번호 1112706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 2003g | 등록번호 1112706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내 비판적 문화연구의 한 흐름을 주도해온 강내희 교수가 자신의 전공영역인 문학이론 책을 펴냈다. 이 책을 관통하는 문제의식은 "문학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느냐"는 것. 강교수는 유물론적 관점에서 문학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는 특히 근대의 지배적인 문학 개념에 대해서 비판적이다. 그에게 문학은 사회적 효과를 만들어내는 언어적 실천이기도 한 것이다.
책은 전체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문학을 문형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들을 담고 있다. '문형'은문학적 표현에 사용되는 문자, 내러티브, 기호, 이미지 등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이런 개념설정을 통해 문학이 근대적 의미의 문학을 뛰어 넘으며 동시에 역사적 구체성을 지닌 어떤 보편적 현상임을 주장한다.
2부 '디지털복제시대의 문학'는 컴퓨터와 인터넷의 대중화와 함께 하이퍼텍스트라는 새로운 글쓰기 매체가 등장한 데 주목한다. 3부 '담론과 문학제도'에서는 담론, 제도, 이데올로기적 실천으로서의 문학에 관심을 기울인다. 이 단락에서 집중적으로 제기하는 문제는 '문학이 문학으로서 존립하기 위해서 어떤 물질적 조건이 필요한가'이다.
4부 '재현의 문제설정'은 문학을 '재현'의 관점에서 살폈으며, 5부 '언어문화교육'에 실린 글은 최근 공교육 개혁의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문화교육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내희(지은이)
중앙대학교 영문학과와 대학원 협동과정 문화연구학과에서 가르치다 퇴임했고,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공동의장, 진보네트워크센터 대표, 인문정책연구위원, 문화재위원, 미국 코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초빙연구원, 문화연대 공동대표,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 지식순환협동조합 학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문화이론전문지 『문화/과학』과 월간 『워커스』 발행인, 민중언론 <참세상> 이사장이다. 지은 책으로 『길의 역사』(2016), 『인문학으로 사회변혁을 말하다』(2016), 『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2014),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문화와 코뮌주의』(2008),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2003), 『문학의 힘, 문학의 가치』(2003), 『교육개혁의 학문전략』(2003), 『신자유주의와 문화』(2000), 『지식생산, 학문전략, 대학개혁』(1998), 『문화론의 문제설정』(1996), 『공간, 육체, 권력』(1995)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5 제1부 문학과 문형 1. 문학과 아픔의 미학 = 13 2. 문학교육의 전화와 '문형'의 문제설정 = 25 3. 문학의 힘, 문학의 가치 = 46 4. 유물론적 문학이론 모색의 한 예 = 78 제2부 디지털복제시대의 문학 5. 뉴미디어 시대의 문학 = 97 6. 디지털시대의 문학하기 = 112 7. 사이버 '문형'과 주체형성 - 사이버정치의 조건들 = 137 제3부 담론과 문학제도 8. 담론의 안팎 = 165 9. 문학 연구와 교육의 담론이론적 모색 = 187 10. 한국 영문학 연구와 교육의 전화를 위한 한 모색 = 210 11. 한국 영문학 연구와 교육의 탈바꿈을 위하여 - 몇 가지 제안 = 238 12. 영국의 문학교육과 그 제도화 = 255 제4부 재현의 문제설정 13. 영문학의 연구와 버텨 읽기 = 277 14. 고도 기술시대의 현실재현 = 314 15. 서구의 '야만인 담론' = 328 제5부 언어문화교육 16. 대학 언어문화교육의 문제들 = 355 17. 언어문화교육의 개념과 방향 = 377 18. 영어교육과 언어철학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