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수 설계 입문 = 17
1. 도입 = 17
2. 교수 설계 = 18
3. 교수 설계 과정 = 23
4. 교수 설계자 = 32
연습 활동 = 34
요약 = 35
참고 문헌 = 36
제2장 교수 설계의 이론적 기초 = 39
1. 교수 설계에서 철학과 이론 = 39
2. 교수 설계자의 철학적 관점 = 40
3. 교수 설계에 기여한 주요 이론 = 48
연습 활동 = 62
요약 = 62
참고 문헌 = 64
제3장 교수 분석 : 학습 환경 분석 = 73
1. 학습 환경 분석 개요 = 73
2. 학습 환경 분석 = 75
3. 전문가와의 협력 = 90
연습 활동 = 92
요약 = 94
보충 사례 = 95
참고 문헌 = 99
제4장 교수 분석 : 학습자 분석 = 101
1. 학습자 분석 개요 = 101
2. 유사점과 차이점 = 103
3. 특정 선수 지식 = 117
4. 학습자 특성 개요 = 118
5. 학습자 특성 평가 = 119
6. 학습자 특성과 교수 설계에의 시사점 = 120
학습자 분석 사례 = 121
연습 활동 = 123
요약 = 123
보충 사례 = 124
참고 문헌 = 128
제5장 교수 분석 : 학습 과제 분석 = 133
1. 학습 과제 분석 개요 = 133
2. 학습 목표 진술 = 135
연습 활동 A = 137
3. 학습 유형 분석 = 138
연습 활동 B = 144
4. 정보 처리 과정 분석 = 145
사례 분석 = 150
연습 활동 C = 162
5. 선수 지식 분석 = 163
연습 활동 D = 170
6. 학습 목표 진술 = 170
연습 활동 E = 176
요약 = 177
보충 사례 = 177
참고 문헌 = 181
제6장 교수 설계 과정에서의 검사 = 185
1. 교수 설계 과정에서의 검사 개관 = 185
연습 활동 A = 190
2. 검사 유형 = 190
연습 활동 B = 192
3. 좋은 검사 도구의 특징 = 193
연습 활동 C = 199
4. 검사 형식 = 199
연습 활동 D = 205
5. 검사 문항 명세서 = 207
6. 검사 도구 청사진 = 213
요약 = 217
보충 사례 = 218
참고 문헌 = 223
제7장 교수 전략 = 225
1. 교수 전략 개관 = 225
연습 활동 A = 227
2. 학습 프로그램 수준 조직 전략 = 227
연습 활동 B = 246
3. 보완적 교수 전략과 생성적 교수 전략 = 247
4. 최적의 교수 지원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원리 = 250
연습 활동 C = 253
전략 A = 254
전략 B = 255
요약 = 256
참고 문헌 = 257
제8장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263
1. 문제 해결 학습 개관 = 263
2.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273
3.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거시 전략 = 280
4.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사례 = 291
5.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실제 = 292
연습 활동 = 297
요약 = 298
보충 사례 = 300
참고 문헌 = 307
제9장 선언적 지식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319
1. 선언적 지식 학습 개관 = 319
2. 선언적 지식 학습의 인지 과정 = 322
3. 선언적 지식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326
연습 활동 = 348
요약 = 349
보충 사례 = 350
참고 문헌 = 355
제10장 개념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359
1. 개념 학습 개관 = 359
2. 개념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365
연습 활동 = 375
3. 개념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사례 = 377
4. 개념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실제 = 379
요약 = 385
보충 사례 = 385
참고 문헌 = 392
제11장 원리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395
1. 원리 학습 개관 = 395
연습 활동 = 397
2. 원리 학습의 인지 과정 = 397
3. 원리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399
4. 원리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사례 = 408
5. 원리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실제 = 409
요약 = 415
보충 사례 = 416
참고 문헌 = 421
제12장 절차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423
1. 절차 학습 개관 = 423
2. 절차 학습의 인지 과정 = 425
3. 절차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430
4. 절차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사례 = 441
5. 절차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실제 = 442
요약 = 450
보충 사례 = 450
참고 문헌 = 455
제13장 인지 전략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457
1. 인지 전략 학습 개관 = 457
2. 인지 전략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465
3. 인지 전략 학습을 위한 교수 설계 사례 = 471
4. 전략 사용을 방해하는 요인 = 475
5. 인지 전략 학습에서의 평가 = 478
연습 활동 = 480
요약 = 481
보충 사례 = 481
참고 문헌 = 488
제14장 태도 변화, 동기 유발, 흥미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495
1. 태도 목표 = 495
연습 활동 A = 497
2. 태도 학습의 성격 = 498
연습 활동 B = 504
3. 태도 학습에 필요한 조건 = 505
연습 활동 C = 506
4. 태도 학습에서의 평가 = 507
연습 활동 D = 510
5. 태도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510
6. 관심 끌기와 동기 유발 = 513
7. Keller의 ARCS 모형 = 515
8. 동기 설계 과정 모형 = 521
9. 흥미와 동기 유발하기 = 524
연습 활동 E = 525
요약 = 526
보충 사례 = 527
참고 문헌 = 534
제15장 운동 기능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 539
1. 운동 기능 학습의 특징 = 539
연습 활동 A = 542
2. 운동 기능의 주요 요소 = 543
연습 활동 B = 547
3. 운동 기능의 과제 분석 = 548
4. 운동 기능 학습을 위한 교수 활동 = 550
요약 = 557
보충 사례 = 558
참고 문헌 = 562
제16장 교육 운영 및 관리 전략 설계 = 565
1. 교육 운영 전략 = 565
연습 활동 A = 577
2. 집단 구성 전략 = 579
연습 활동 B = 586
3. 교수 관리 전략 = 586
요약 = 589
참고 문헌 = 590
제17장 거시적 전략 : 학습 유형 통합 = 595
1. 도입 = 595
2. 교육과정 계열 구조 = 596
연습 활동 A = 603
3. 통합적 교육과정 도구와 개념 = 603
4. 교육과정 설계의 대안적 관점 = 608
5. 통합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테크놀로지 지원 = 611
6.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처방 = 612
연습 활동 B = 613
요약 = 614
보충 사례 = 615
참고 문헌 = 618
제18장 교수 프로그램 개발 = 623
1. 도입 = 623
2. 인쇄물 기반 교수 프로그램 개발 = 624
3. 컴퓨터 기반 멀티미디어 교수 프로그램 개발 = 632
4. 교수용 비디오 개발 = 639
5. 교육 운영자 기반 교수 프로그램 개발 = 644
6. 개발 비용과 시간 = 647
연습 활동 A = 648
요약 = 649
보충 사례 = 650
참고 문헌 = 653
제19장 형성 평가 및 총괄 평가 = 657
1. 교수 프로그램 평가 = 657
2. 형성 평가 개요 = 658
3. 형성 평가 단계 = 659
4. 형성 평가 계획 = 684
연습 활동 = 684
5. 총괄 평가 개요 = 686
6. 평가 방법 설계와 선정 = 696
요약 = 701
보충 사례 = 703
참고 문헌 = 715
제20장 결론과 전망 = 719
1. 개요 = 719
2. 교수 설계 원리 = 719
3. 적절한 교수 설계 = 721
4. 교수 설계 과정 조절 방법 = 728
연습 활동 A = 733
5. 교수 설계의 전망 = 733
연습 활동 B = 741
요약 = 741
참고 문헌 = 743
찾아보기 = 749
역자소개 = 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