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84camccc200325 k 4500 | |
001 | 000000861125 | |
005 | 20100806022539 | |
007 | ta | |
008 | 031120s2003 ulka 001a kor | |
020 | ▼a 8931548117 ▼g 93000 : ▼c \14800 | |
035 | ▼a KRIC09018859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49 | 1 | ▼l 111271260 ▼l 121089915 ▼f 과학 ▼l 121089916 ▼f 과학 ▼l 121093926 ▼f 과학 ▼l 121093927 ▼f 과학 |
082 | 0 4 | ▼a 004.6 ▼2 21 |
090 | ▼a 004.6 ▼b 2003w | |
100 | 1 | ▼a 戶根勤 ▼0 AUTH(211009)106177 |
245 | 1 0 | ▼a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 ▼x How networks works / ▼d Tsutomu Tone 저 ; ▼e 김성훈 역. |
246 | 0 3 | ▼a 한눈에 보이는 네트워크 구조와 원리 |
246 | 0 3 | ▼a IT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TCP/IP, LAN, ADSL의 기초지식! |
246 | 1 9 | ▼a ネットワ―クはなぜつながるのか |
260 | ▼a 서울 : ▼b 성안당 , ▼c 2003. | |
300 | ▼a 355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감수 : 김민세 | |
500 | ▼a Index: p. 353-355 | |
700 | 1 | ▼a 김성훈, ▼e 역 ▼0 AUTH(211009)75881 |
740 | ▼a 네트워크 원리 | |
900 | 1 1 | ▼a Tone, Tsutomu |
940 | ▼a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일프로의 네트워크 원리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112712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899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899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939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939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115545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112712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899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899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939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210939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004.6 2003w | Accession No. 1115545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웹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그 이면에는 많은 기술들이 서로 연계해서 동작되고 있다. 바로 이러한 기술의 연계를 해설하고 있는 책.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 시리즈의 5번째 책으로, 네트워크가 작동하는 기본 원리와 구조를 폭넓게 접근해간다.
책은 이론만을 나열하기 보다는 문제 제시와 대화를 통해 기본 원리를 찾아가는 방식을 구하고 있다. 브라우저와 TCP/IP는 어떤 관계를 가지고 어떤 것을 주고받으며 동작하는지, TCP/IP와 LAN의 관계는 무엇인지, 라우터와 스위칭 허브의 관계는 무엇인지, 사내나 가정내의 LAN과 통신 회선은 어떤지 등에 대해 배울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츠토무 토네(지은이)
1985년. 케이블이나 LAN 보드를 모아 자력으로 구축한 PC LAN으로 네트워크를 처음 체험한 후 외자계 네트워크 기기 메이커와 일본 인테그레이터에서 제품 개발과 기술 컨설팅에 종사하였습니다. 1998년에 독립하여 기술 컨설팅과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으며, 본명은 水吉俊辛입니다. <주요 저서> -Projection Network - 설계-분석-관리 철저 해설 -Network 용어사전 -기초부터 배우는 SE를 위한 Network 입문 -완전 해설 TCP/IP 네트워크
김성훈(옮긴이)
주로 IT 관련 서적을 번역하는 번역가로, 주요 번역서는 『UML 모델링의 본질』, 『웹 개발자를 위한 웹을 지탱하는 기술』, 『세가의 신입 사원 교육 과정에서 배우는 게임 프로그래밍의 정석』, 『24가지 예제로 배우는 게임 수학&물리 입문』, 『프로그래밍이 보이는 그림책』, 『안드로이드 개발 레벨업 교과서』, 『실무 에서 바로 통하는 자바』, 『C가 보이는 그림책』, 『Scratch가 보이는 그림책』, 『부모와 자녀가 함께 그림으로 보는 스크래치 코딩』, 『파이썬으로 배우는 머신러닝 입문』, 『그림으로 이해하는 IT 지식과 트렌드』, 『그림으로 배우는 5G 네트워크』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01.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01_ URL을 입력해서 여행을 시작하자 = 32 02_ 웹 브라우저는 먼저 URL을 해석한다 = 34 03_ 파일과 디렉토리의 차이 = 35 04_ HTTP의 기본 개념 = 36 05_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만든다 = 39 06_ 리퀘스트를 보내면 리스폰스가 돌아온다 = 42 07_ 수신측 웹 서버의 IP 주소를 조회한다 = 46 08_ Socket 라이브러리가 IP 주소를 찾는다 = 48 09_ 리졸버를 이용하여 DNS 서버에게 문의한다 = 50 10_ 리졸버를 호출할 때의 동작 = 52 11_ DNS 서버의 기본 동작 = 55 12_ DNS 서버에 질의하는 패킷 = 58 13_ DNS 서버의 담당 범위와 계층 구조 = 59 14_ 담당 DNS 서버를 찾아서 IP 주소를 가져온다 = 61 15_ 캐시 기능을 통한 DNS 서버의 빠른 응답 = 65 16_ TCP/IP 소프트웨어로의 중재자, Socket 라이브러리 = 66 17_ 소켓을 생성하여 접속 상황을 관리한다 = 69 18_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TCP/IP 소프트웨어에게 통지한다 = 70 19_ 서버측은 대기 상황을 준비한다 = 71 20_ 서버측은 IP 주소를 대조하여 접속을 허가한다 = 73 21_ 메시지의 송·수신을 시작한다 = 74 22_ 메시지 송·수신의 끝을 알려준다 = 75 에피소드 ①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리졸버' = 76 Chapter 02. TCP/IP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성 = 80 01_ TCP/IP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성 = 80 02_ 소켓의 실체는 TCP/IP 소프트웨어 내부의 메모리 = 85 03_ 송신측과 수신측의 조합이 같은 소켓은 하나뿐! = 88 04_ TCP/IP 소프트웨어는 먼저 소켓을 작성한다 = 90 05_ 소켓을 만든 후 TCP로 '파이프'를 연결한다 = 92 06_ 접속, 데이터 송·수신, 종료의 3단계로 관리한다 = 94 07_ 제어 정보를 담는 TCP 헤더를 만든다 = 97 08_ IP 주소를 담는 IP 헤더를 만든다 = 99 09_ 이더넷용으로 MAC 헤더를 만든다 = 102 10_ ARP로 보내려는 라우터의 MAC 주소를 조사한다 = 104 11_ IP 패킷을 전기나 빛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 106 12_ 패킷에 3개의 제어용 데이터를 덧붙인다 = 109 13_ 허브를 향해 접속을 알리는 패킷을 전송한다 = 112 14_ LAN 카드의 MAU가 충돌을 검출한다 = 114 15_ 통신 개시에 대한 응답 패킷을 받는다 = 116 16_ 서버로부터의 응답 패킷을 IP에서 TCP에 넘긴다 = 119 17_ HTTP 리퀘스트 메시지 패킷을 작성한다 = 122 18_ 데이터가 클 때는 분할해서 보낸다 = 124 19_ 도착한 패킷을 ACK 번호로 확인한다 = 126 20_ 패킷의 평균 왕복 시간으로 ACK 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129 21_ 윈도우 제어 방식으로 ACK 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129 22_ 데이터 송·수신 단계의 동작은 접속 단계와 같다 = 132 23_ HTTP 리스폰스 메시지 = 133 24_ 재전송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의 송신은 UDP가 효율적이다 = 134 에피소드 ②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소켓에 꽂는 것은 '전구'냐 '프로그램'이냐 = 138 Chapter 03. 허브와 스위치, 라우터 여행 01_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패킷 = 144 02_ LAN 케이블의 핵심은 신호를 열화시키지 않는 것 = 146 03_ 케이블을 '꼬아서' 잡음을 방지한다 = 149 04_ 리피터 허브는 전 포트에서 신호를 송신한다 = 152 05_ 스위칭 허브는 주소 테이블로 중계한다 = 155 06_ MAC 주소 테이블의 등록과 갱신 = 159 07_ 예외적인 동작 = 161 08_ 충돌에 관한 대응과 허브 접속 대수와의 관계 = 163 09_ 스위칭 허브는 전이중 방식 = 165 10_ 최적의 전송 속도로 보내는 오토 니고시에이션 = 167 11_ 스위칭 허브는 여러 가지의 중계 동작을 동시에 실행한다 = 169 12_ 라우터와 스위칭 허브의 차이 = 170 13_ 네트워크 번호와 호스트 번호 = 172 14_ 네트워크 번호와 호스트 번호를 나누는 넷 마스크 = 174 15_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정보 = 176 16_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하여 출력 포트를 찾는다 = 178 17_ 디폴트 게이트웨이에서 다음 라우터로! = 180 18_ 패킷에는 유효 기한이 있다 = 181 19_ 큰 패킷은 프레그먼테이션 기능으로 분할한다 = 182 20_ 라우터의 송신 동작은 컴퓨터와 같다 = 184 21_ 주소 변환(NAT)으로 IP 주소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 186 22_ 주소 변환의 기본 동작 = 189 23_ 포트 번호를 바꾸어 쓰는 이유 = 191 24_ 인터넷에서 사내로의 액세스 = 192 25_ 라우터의 패킷 필터링 기능 = 194 에피소드 ③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허브'와 '라우터' = 196 Chapter 04. 인터넷 프로바이더로부터 인터넷 속으로! 01_ 인터넷을 구성하는 라우터 = 202 02_ 다양한 액세스 회선 = 204 03_ ADSL 모뎀으로 패킷을 셀로 분할한다 = 205 04_ 변조 방식으로 셀을 신호화하는 ADSL = 208 05_ 다수의 주파수로 고속화를 실현하는 ADSL = 211 06_ 스플리터의 역할 = 213 07_ 전화국까지의 여정 = 215 08_ ISDN의 영향 = 217 09_ ISDN 신호에 동기화시켜서 ADSL의 신호를 변화시킨다 = 220 10_ DSLAM을 통과하여 BAS에 도달한다 = 222 11_ 사용자 인증과 설정 정보 통지 = 223 12_ ADSL에서 PPP를 움직이는 PPPoA = 226 13_ PPPoA 이외의 방법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 = 229 14_ POP의 구성 = 233 15_ 건물 내부는 케이블로 직접 연결한다 = 236 16_ 통신 회선의 다중화 = 242 17_ ISP간의 접속 = 244 18_ ISP간의 정보를 교환 = 245 19_ 사내 네트워크에 있는 자동 등록의 차이 = 247 20_ IX의 필요성 = 249 21_ IX로 ISP를 서로 연결한다 = 250 에피소드 ④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이름은 '서버', 알맹이는 '라우터' = 252 Chapter 05. 드디어 웹 서버에 도착! 01_ 웹 서버의 바로 앞에는 다양한 서버가 있다 = 260 02_ 방화벽의 형태 = 263 03_ 패킷 필터링의 조건을 설정하는 개념 = 264 04_ 포트 번호로 애플리케이션을 한정한다 = 268 05_ 접속 방법을 제어 비트로 판단한다 = 269 06_ 사내 LAN에서 공개 서버용 LAN으로 조건을 설정한다 = 271 07_ 외부에서도 사내 LAN에 액세스할 수 있다 = 272 08_ 방화벽을 통과한다 = 273 09_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웹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 274 10_ 처리 능력이 부족한 경우는 여러 대의 서버로 부하 분산한다 = 275 11_ 부하 분산 장치로 여러 대의 웹 서버에 할당한다 = 279 12_ 캐시 서버의 이용 = 281 13_ 캐시 서버는 갱신일에 컨텐츠를 관리한다 = 282 14_ 캐시 서버에 패킷을 보내는 방법 = 286 15_ 프록시의 원조는 포워드 프록시 = 288 16_ 포워드 프록시를 개량한 리버스 프록시 = 290 17_ 컨텐츠 배포 네트워크를 이용한 부하 분산 = 293 18_ 가까운 캐시 서버를 알아내는 방법 = 297 19_ 리다이렉트용 서버로 접근할 곳을 할당한다 = 301 20_ 캐시 내용의 갱신 방법에 따라 성능이 다르다 = 302 에피소드 ⑤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통신 회선이 'LAN'으로 되는 날 = 306 Chapter 06. 응답 데이터가 완성되고, 웹 브라우저로 되돌아온다 01_ 수신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 312 02_ TCP/IP 소프트웨어가 HTTP 메시지를 꺼낸다 = 314 03_ 소켓을 작성하여 접속을 대기한다 = 317 04_ TCP/IP 소프트웨어에서 데이터를 받는다 = 320 05_ 서버는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동시에 통신한다 = 321 06_ 문의된 URI를 실제의 파일명으로 변환한다 = 323 07_ CGI 애플리케이션을 시동하는 경우 = 327 08_ 웹 서버에서 하는 액세스 제어 = 331 09_ 응답 메시지를 되돌려 보낸다 = 334 10_ 응답의 데이터 유형을 보고 내용을 판단한다 = 335 11_ 브라우저 화면에 웹 페이지를 표시하면 액세스 완료! = 338 에피소드 ⑥ 사실은 어렵지 않은 네트워크 용어 - '게이트웨이'는 다른 세계로 통하는 입구 = 340 용어 모음집 = 342 맺음말 = 352 index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