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과 감사의 글 = ⅴ
역자 서문 = ⅷ
제1부 머리말 = 1
제1장 생성문법 = 3
0. 서문 = 3
1. 인지과학으로서 통사론 = 5
2. 통사 모형 = 5
3. 과학으로서 통사 - 과학적 방법 = 7
3.1 자료의 근원 = 12
4. 규칙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 15
4.1 학습 대 습득 = 15
4.2 선천성 : 본능으로서 언어 = 16
4.3 언어습득의 논리 문제 = 16
4.4 보편문법에 대한 다른 주장 = 20
4.5 언어변이 설명 = 23
5. 통사이론의 선택 = 25
6. 요약 = 25
제2장 기본사항 : 규칙, 수형도, 품사 = 35
0. 도입 = 35
1. 품사 = 36
2. 구조 = 39
3. 규칙과 수형도 = 43
3.1 명사구 = 43
3.2 형용사구와 부사구 = 46
3.3 전치사 구 = 49
3.4 동사구 = 50
3.5 절 = 52
3.6 요약 = 55
4. 수형도를 어떻게 그릴 것인가 = 56
4.1 상향식 수형도 = 57
4.2 하향식 수형도 = 60
4.3 괄호로 나타난 도식 = 62
5. 수식과 중의성 = 63
6. 구성소 테스트 = 67
7. 요약과 결론 = 70
「부록」품사 테스트 = 71
제3장 구조관계 = 83
0. 도입 = 83
1. 수형도 부분 = 84
2. 관할 = 87
3. 선행 = 93
4. 성분통어 = 96
5. 문법관계 = 100
6. 요약과 결론 = 102
제4장 결속이론 = 111
0. 도입 = 111
1. 동일지표와 선행사 개념 = 114
2. 결속 = 115
3. 대용어 결속의 국부성 조건 = 118
4. 대명사 분포 = 120
5. 지시적표현 분포 = 121
6. 결론 = 122
제2부 기저부 = 129
제5장 X-bar 이론 = 131
0. 도입 = 131
1. Bar-층 투사 = 133
1.1 V-bar = 135
1.2 A-bar = 137
1.3 P-bar = 139
2. 규칙 일반화 : X-bar 식형 = 140
3. 보충어, 부가어, 지정어 = 143
3.1 명사구 안의 보충어와 부가어 = 145
3.2 동사구, 형용사구, 전치사구의 보충어와 부가어 = 156
3.3 지정어 개념 = 157
4. 어순의 매개변인 = 159
5. X-bar 이론 : 요약 = 162
6. X-bar 표식 수형도 그리기 = 164
6.1 수형도 그리기 중요 고려사항 = 164
6.2 견본 수형도 = 165
제6장 X-bar 이론 확대 : CP, TP, DP = 177
0. 도입 = 177
1. 한정사 구 = 178
2. TP와 CP = 182
2.1 절 유형 = 182
2.2 S'대 CP = 188
2.3 S대 TP = 192
2.4 CP와 TP 수형도 = 195
제7장 X-bar 이론제약 : 의미역과 어휘부 = 203
0. 도입 = 203
1. 일부 기본 용어 = 204
2. 의미역 관계와 의미역 = 206
3. 어휘부 = 214
4. 허사와 확대투사원리 = 215
5. 요약 = 218
제3부 변형 = 231
제8장 핵-핵 이동 = 233
0. 도입 = 233
1. 동사이동(V→T) = 236
1.1 불어 = 236
1.2 아일랜드 어 = 245
2. T이동(T→C) = 253
3. Do-지탱 = 256
4. 요약 = 258
「부록」언어가 V→T로 인상하는가 접사하강 하는가 결정하는 테스트 = 259
제9장 NP/DP 이동 = 273
0. 도입 = 273
1. 의미역 이론의 난제 = 273
2. 수동 = 278
3. 격 = 283
4. 인상 : 반복 = 288
5. 수동 : 반복 = 289
6. 결말 = 292
7. 결론 = 295
제10장 인상, 통제, 공범주 = 309
0. 도입 = 309
1. 인상 대 통제 = 310
1.1 주요 술어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의미역 격자 = 310
1.2 인상과 통제 구별 = 318
1.3 PRO란 무엇인가? = 320
2. 두 가지 유형의 인상, 두 가지 유형의 통제 = 321
2.1 두 가지 유형의 인상 = 321
2.2 두 가지 유형의 통제 = 325
2.3 술어 형태 요약 = 327
3. 통제이론 = 328
4. 또 다른 유형의 영 주어 : "작은" pro = 333
5. 요약 = 335
제11장 Wh-이동 = 343
0. 도입 = 343
1. Wh-의문문에서 이동 = 344
2. Wh-이동 제약 : 경계이론 = 359
3. 결론 = 373
제12장 최소주의를 향해서 = 381
0. 도입 = 381
1. 이동 = 383
2. 최소연결조건 = 387
3. 이 언어 차이점 설명 = 390
4. 작용역, LF 이동, 하위인접 = 394
4.1 하위인접/중국어의 최소연결조건 효과 = 395
4.2 영어 양화사와 작용역 = 396
5. 결론 = 399
제4부 대안 = 405
제13장 대안접근 : 어휘기능문법 = 407
0. 대안이론 = 407
1. 어휘기능문법의 기원 = 409
2. C-구조 = 411
3. 기능 = 412
4. 어휘부 = 414
5. F-구조 = 415
5.1 왜 F-구조인가? = 419
6. 분류현상 = 422
6.1 핵이동성 = 422
6.2 수동 = 426
6.3 인상과 통제 = 427
6.4 Wh-이동 : 장거리 의존성 = 431
7. 결론 = 432
제14장 대안접근 : 핵어 구구조문법 = 439
0. 도입 = 439
1. 자질 = 440
2. 어휘부 = 445
3. 규칙, 자질, 수형도 = 447
4. 결속 = 451
5. 장거리 의존성 = 452
6. 이론 선택 = 455
결론 = 463
여기서 어디로 갈 것인가 = 464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