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韓國敎育課程變遷史硏究 : 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韓國敎育課程變遷史硏究 : 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Loan 5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함종규
Title Statement
韓國敎育課程變遷史硏究 : 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 함종규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과학사 ,   2003.  
Physical Medium
xiv, 861 p. : 삽도 ; 27 cm.
ISBN
8982877339
General Note
부록 : "교육조서"등 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807-815)과 찾아보기 수록
000 00673namccc200217 4500
001 000000860412
005 20100806021553
007 ta
008 031014s2003 ulka b 001a kor
020 ▼a 8982877339 ▼g 93370: ▼c \48,000
035 ▼a KRIC08958150
040 ▼a HYUC ▼c HYUC ▼d 211062 ▼d 211009
082 0 4 ▼a 375.0009519 ▼2 21
090 ▼a 375.000953 ▼b 2003
100 1 ▼a 함종규
245 1 0 ▼a 韓國敎育課程變遷史硏究 : ▼b 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 ▼d 함종규 저.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3.
300 ▼a xiv, 861 p. : ▼b 삽도 ; ▼c 27 cm.
500 ▼a 부록 : "교육조서"등 수록
504 ▼a 참고문헌(p.807-815)과 찾아보기 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112560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112560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410323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410323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211049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5115475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112560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112560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4103238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410323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5(Eastern Books)/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211049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000953 2003 Accession No. 15115475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함종규(지은이)

<한국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Ⅰ. 조선조 말, 대한제국 시대의 교육
 1. 갑오개혁 전후부터 을사조약까지의 교육 = 23
  가. 조선조 말기의 교육 = 23
   1) 조선조 말기의 교육제도와 그 운영 = 23
    가) 교육기관의 설립, 운영 및 관계법규 = 24
    나) 초등단계의 교육 = 25
    다) 중등단계의 교육 = 26
    라) 고등단계의 교육 = 27
    마) 과거제도 = 28
   2) 신교육의 발단 = 30
    가) 개국과 서양문화의 도래(到來) = 30
    나) 학교교육의 성립 = 31
  나. 갑오개혁과 신 교육제도의 수립 = 32
   1) 신교육의 출범 = 32
    가) 고시(告示)와 홍범(洪範) = 32
    나) 교육조서(敎育詔書) = 33
   2) 교육제도의 수립 = 34
    가) 학교관제(學校官制)·규칙의 제정 = 34
    나) 사립학교 = 36
  다.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37
   1) 초등교육 = 37
   2) 중등교육 = 39
   3) 사범교육 = 39
   4) 외국어교육 = 41
   5) 성균관 = 42
  라. 교과서 및 교재 = 42
 2. 통감부(統監府)시대의 교육 = 45
  가. 학부(學部)의 교육방침 = 45
   1) 을사조약의 체결과 식민지교육의 대두 = 45
   2) 학부의 교육방침 = 46
  나. 교육제도 = 47
   1) 학부의 행정기구 = 47
   2) 교육법규의 개정 = 48
    가) 관계법규 = 48
    나) 학제정리 및 학교의 신설 = 49
  다.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52
   1) 초등교육 = 52
   2) 중등교육 = 54
    가) 고등학교 = 54
    나) 고등여학교 = 54
   3) 사범교육 = 57
   4) 실업교육 = 59
    가) 농업·상업 및 공업학교 = 59
    나) 실업보습학교 = 61
   5) 외국어교육 = 61
   6) 성균관 = 62
  라. 교과서 및 교재 = 63
   1) 교과용도서 검인제도의 설치 = 63
   2) 교과용도서 정책 = 65
   3) 친일교육 및 교과용도서 정책에 대한 반응 = 70
    가) 친일교육의 강행 = 70
    나) 교과용도서 정책에 대한 반응 = 72
Ⅱ. 일제통치시대의 교육
 1. 조선교육령 시대의 교육 = 77
  가. 한일합방과 일제의 교육방침 = 77
   1) 한일합방과 식민정책 = 77
   2) 일제의 교육방침 = 80
  나. 교육제도 = 84
   1) 조선교육령 제정에 이르기까지의 교육행정 = 84
   2) 교육령에 의한 교육제도 = 85
   3) 사립학교 규칙 = 86
   4) 서당규칙 = 87
  다. 3·1 운동과 교육제도의 일부 수정 = 89
   1) 3·1 운동과 식민정책의 전환 = 89
   2) 교육제도의 일부 수정 = 90
  라.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92
   1) 교육령에 의한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92
    가) 초등교육 = 92
    나) 중등교육 = 94
    다) 실업교육 = 97
    라) 전문교육 = 99
   2) 1919, '20년 일부 수정 후의 교육내용 = 100
  마. 교과서 및 교재 = 101
   1) 보통학교 교과용도서 편찬 = 101
    가) 수신서 = 101
    나) 국어독본 및 습자첩 = 102
    다) 조선어 및 한문독본 = 103
    라) 산술서 = 103
    마) 이과서 = 103
    바) 농업서 = 104
    사) 창가집 = 104
   2)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의 교과용도서 = 104
   3) 실업학교, 전문학교의 교과용도서 = 105
   4) 교과용도서 목록 = 105
 2. 개정교육령 시대의 교육 = 109
  가. 교육제도 = 109
   1) 개정교육령에 의한 교육제도 = 109
    가) 임시 교육조사위원회 = 109
    나) 개정교육령에 의한 교육제도 = 112
   2) 야마나시(山梨)의 교육방침 수정 = 115
    가) 교육정책 전환의 요인과 취지 = 115
    나) 수정의 내용 = 119
   3) 초등교육 확충계획 = 119
   4) 간이초등교육기관의 설치 = 120
   5) 실업보습학교 = 122
  나.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123
   1) 초등교육 = 123
   2) 중등교육 = 127
    가) 고등보통학교 = 127
    나) 여자고등보통학교 = 129
   3) 실업교육 = 131
    가) 농업학교 = 131
    나) 공업학교 = 132
    다) 상업학교 = 133
    라) 수산학교 = 134
   4) 사범교육 = 135
    가) 보통과 = 135
    나) 연습과 = 137
    다) 심상과 = 138
   5) 실업보습교육 = 140
   6) 간이학교 교육 = 141
  다. 교과서 및 교재 = 142
   1) 보통학교의 교과용도서 = 142
   2) 고등보통학교의 교과용도서 = 143
   3) 실업학교의 교과용도서 = 144
 3. 제3·4차 개정교육령 시대의 교육 = 147
  가. 교육제도 = 147
   1) 전시 하의 교육정책 = 147
   2) 제3차 교육령개정 = 150
   3) 제4차 교육령개정과 교육에 관한 전시비상조치령 = 151
  나.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154
   1) 초등교육 = 154
   2) 중등교육 = 158
    가) 중학교 = 158
    나) 고등여학교 = 159
   3) 사범교육 = 162
  다. 교과서 및 교재 = 166
Ⅲ. 8·15광복·민국수립 후의 교육
 1. 교수요목기의 교육 = 171
  가. 8·15광복과 미군정기의 교육 = 172
   1) 8·15광복과 미군정 = 172
   2) 문교행정기구의 조직 = 174
   3) 교육심의회의 조직과 교육이념 및 학교제도 = 179
    가) 교육심의회 조직 = 179
    나) 교육이념과 학교제도의 정비 = 180
   4) 각급학교의 교육 = 182
    가) 초등교육 = 182
    나) 중등교육 = 187
    다) 실업교육 = 194
    라) 사범교육 = 203
   5) 교과서 편찬과 새 교육운동 = 207
    가) 교과서 및 교재 = 207
    나) 새 교육운동 = 212
  나. 민국수립 이후의 교육 = 215
   1) 초창기의 교육 = 215
    가) 교육제도 = 215
    나)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217
    다) 교과서 및 교재 = 222
   2) 6·25동란 중의 교육 = 223
    가) 6·25동란과 전시 하 교육특별조치 요강 = 223
    나) 전시교육 방침과 학제개편 = 227
    다)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231
    라) 교과서 및 교재 = 235
 2.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237
  가. 교육과정 제정의 배경과 경위 = 237
   1) 수복 후의 교육제도 = 237
   2) 제1차 교육과정의 제정 = 239
    가) 제정의 경위 = 239
    나)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243
    다) 교과서 및 교재 = 254
  나. 4·19혁명과 민주당시대의 교육 = 262
   1) 민주당정권의 문교정책 = 262
   2) 교육제도 = 263
    가) 학제개편 문제 = 263
    나) 학교단계별 주요시책 = 264
   3) 각급학교의 교육내용 = 266
    가) 교육과정 개편문제의 제기 = 266
    나) 교육과정심의회 규정과 교육과정 연구실 설치 = 267
   4) 교과서 및 교재 = 267
  다. 5·16 혁명과 혁명정부의 문교정책 = 269
   1) 문교정책의 실천요강 = 269
    가) 간접침략의 분쇄 = 270
    나) 인간개조 = 270
    다) 빈곤타파 = 270
    라) 문화혁신 = 270
   2) 교육개혁의 추진 = 271
    가) 사회개혁을 위한 인간개조 운동 = 272
    나) '교육에 관한 임시특례법'과 교육개혁 = 272
    다)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편 = 273
    라) '사립학교법'의 제정 공포 = 274
    마) 학제보완과 입시제도의 개혁 = 274
  라. 제3공화국의 교육 = 275
   1) 문교정책의 개요와 주요시책 = 275
    가) 개관 = 275
    나) 주요시책 = 279
   2) 교육제도 = 288
    가) 학제보완과 개편론의 대두 = 288
    나) 입시제도의 개혁 = 291
 3. 제2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295
  가. 교육과정 개정의 경위 = 295
   1) 개정의 이유와 취지 = 295
   2) 개정을 위한 기초조사 = 296
   3) 자료수집 및 심의회의 조직 = 299
   4) 개정시안 및 원안작성 = 300
  나. 교육과정 구성의 일반목표와 개정의 요점 = 301
   1) 교육과정 구성의 일반목표 = 301
   2) 교육과정 개정의 요점 = 304
  다.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 = 306
  라.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310
   1) 국민학교 = 310
   2) 중학교 = 313
   3) 고등학교 = 313
    가) 인문계 고등학교 = 315
    나) 실업계 고등학교 = 329
  마. 제2차 교육과정의 특징 = 331
   1) 교육과정의 구성 = 331
    가) 교육과정의 전체구조 = 331
    나) 교육과정의 구성 = 332
    다) 교육과정의 운영 = 332
   2) 제1, 2차 교육과정의 차이점 = 334
    가) 국민학교 = 334
    나) 중학교 = 334
    다) 고등학교 = 334
  바. 교과서 및 교재 = 335
   1) 교과서의 발행 = 335
    가) 교과서 정책 = 335
    나) 교사용 지도서와 참고도서 및 교육제도 = 336
   2) 교육과정의 개정과 교과서 행정 = 337
    가) 제2차 교육과정의 시행시기와 교과서 문제 = 337
    나) 교과서의 편찬 및 검·인정상황 = 340
  사.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개정 = 343
   1) '국민교육헌장'의 제정 = 343
    가) 제정의 경위 = 343
    나) '국민교육헌장'의 구성 및 교육이념 = 345
    다) 헌장이념의 구현을 위한 문교시책 = 347
   2) 교육과정 개정의 이유와 방침 = 350
   3) 교육과정의 부분적 개정대상과 내용 = 351
    가) 개정의 대상 = 351
    나) 개정의 내용 = 351
   4)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355
    가) 국민학교 = 355
    나) 중학교 = 358
    다) 인문계 고등학교 = 366
   5) 교과서 및 교재 = 374
    가) 교과서 편찬의 기본방침 = 374
    나) 교과서 편찬 및 수정 = 374
    다) 교사용 지도서 및 참고도서의 발행 = 376
    라) 각급학교의 교과서 = 377
 4. 제3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379
  가.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 379
   1) 교육이념과 목표의 모색 = 379
   2) '국민교육헌장'에 제시된 교육목표 = 380
   3) 장기 종합교육계획에서의 교육이념과 목표 = 381
    가) 교육이념 = 382
    나) 교육의 지표 = 382
    다) 교육목적 = 382
   4) 교육혁신운동과 교육과정 연구의 새 방향 = 383
    가) 교육혁신운동의 계기 = 383
    나) 교육과정 개혁운동의 동향 = 385
   5)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연구 = 386
    가) 산수교과의 연구 = 387
    나) 자연교과의 연구 = 388
  나. 교육과정 개정의 경위 = 389
   1)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연구 = 389
   2)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작성 = 390
    가) 국민학교 = 391
    나) 실업계 고등학교 = 396
   3) 시안을 에워싼 논의 = 397
    가) 언론기관에서의 시안에 대한 반향 = 397
    나) 제1차 공청회 = 400
    다) 제2차 공청회 = 403
   4) 교육과정의 실험연구 = 408
  다.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침과 일반목표 = 411
   1) 기본방침 = 411
    가) 국민적 자질함양 = 412
    나) 인간교육의 강화 = 412
    다) 지식·기술교육의 쇄신 = 412
   2) 일반목표 = 413
    가) 자아실현을 위한 목표 = 413
    나) 국가발전을 위한 목표 = 414
    다) 민주적 가치의 강조를 위한 목표 = 415
  라.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416
   1) 국민학교 = 416
    가)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 = 416
    나) 교육과정의 운영지침 = 418
    다) 제2·3차 교육과정의 비교 = 419
    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이행조치 = 422
    마) 교과교육의 문제점 = 423
   2) 중학교 = 428
    가) 개정의 경위 = 428
    나) 교육과정의 분석 = 429
    다) 시안에 대한 반응 = 431
    라)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 = 437
    마) 교과의 편제와 운영지침 = 441
   3) 고등학교 = 443
    가) 인문계 고등학교 = 443
    나) 실업계 고등학교 = 456
  마. 개정된 교육과정의 특징 = 460
  바. 교과서 및 교재 = 466
   1) 교과서 개편의 기본방침 = 466
    가) 국민학교 = 467
    나) 중학교 = 470
    다) 인문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 471
   2) 교과서 편찬제도의 개선 = 475
  사. 교육과정의 체제 정비 = 476
   1) 체제 정비의 필요성 = 476
    가) 필요성 = 476
    나) 체제정비의 목적, 방침과 업무개요 = 477
   2) 체제 정비를 위한 자료분석 = 478
    가)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침'과 '일반목표'에 관한 분석 = 479
    나) 체제 정비 작성을 위한 자료분석 = 480
   3) 서술, 표현상의 정비를 위한 자료분석 = 485
    가) 목표진술 영역 = 485
    나) 내용서술 영역 = 485
    다) 지도상의 유의점 진술 영역 = 486
   4) 교육과정 정비체제의 조정 = 486
    가) 조정방침 = 486
    나) 정비체제 기준의 모형 = 487
 5. 제4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493
  가.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향 = 493
   1) 개정의 필요성 = 493
   2) 구성의 기본방향 = 495
    가) 기대하는 인간상의 정립 = 495
    나) 개정의 기본방침과 강조사항 = 496
  나. 교육과정 구성의 경과 = 500
   1) 교육과정 개정 조직의 변화 = 500
   2) 개정의 경과 = 501
    가) 편수관 주도형에서 연구기관 위탁형으로의 전환 = 501
    나) 문교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역할 분담과 연구 개발의 절차 = 505
    다) 확정·고시의 과정 = 506
  다.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507
   1) 국민학교 = 507
    가) 편제와 시간배당 = 507
    나) 운영지침 = 509
    다) 새 교육과정의 특징 = 511
    라) 통합교과의 설정과 통합운영 = 513
    마) 제4차·3차 교육과정의 비교 = 515
   2) 중학교 = 516
    가) 교육목표와 편제 = 516
    나) 새 교육과정의 특징 = 520
    다) 제4차·3차 교육과정의 비교 = 521
   3) 고등학교 = 523
    가) 일반계 고등학교 = 523
    나) 실업계 고등학교 = 531
   4)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새로운 구성방안 모색 = 535
  라. 교과서 및 교재 = 538
   1) 교과서 개편 = 538
   2) 통합교과용도서의 운영 = 539
   3) 교과서 개편의 방향 = 540
   4) 교과서의 발행동향 = 542
 6. 제5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545
  가. 개정의 필요와 기본방침 = 545
   1)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 = 545
   2)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침 = 546
    가) 우리나라 미래의 사회상 = 547
    나) 바람직한 인간상 = 548
    다)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침 = 549
  나. 교육과정 구성의 경과 = 551
   1)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업무추진 계획 = 551
   2) 개정의 전략 = 552
   3) 개정의 과정 = 553
  다.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554
   1) 국민학교 = 554
    가) 교육목표의 편제 = 554
    나) 편제 및 운영상의 특징 = 560
    다) 통합교육과정의 편제와 운영 = 561
   2) 중학교 = 567
    가) 교육목표와 편제 = 567
    나) 제5차 교육과정의 특징 = 570
   3) 고등학교 = 571
    가) 고등학교의 교육목표와 편제 = 571
    나) 운영지침 = 575
    다) 제5차 교육과정의 특징 = 576
    라) 실업계, 기타계 고등학교 = 579
  라. 교과서 및 교재 = 583
   1) 교과용도서의 편찬 = 583
    가)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 = 583
    나) 교과용도서의 개편 = 586
   2) 보조 교과서 발행 = 588
   3) 교과용도서의 발행실태 = 589
 7. 제6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591
  가. 교육과정의 개정중점과 구성방침 = 591
   1) 개정의 배경 = 591
    가) 2000년대 한국사회의 미래상과 교육과정 = 591
    나) 추구하는 인간상의 정립 = 593
    다) 제5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 596
   2) 개정중점과 구성방침 = 597
    가) 개정중점 = 597
    나) 구성방침 = 599
  나. 교육과정 구성의 경과 = 601
   1)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행정조직의 변화 = 601
   2) 개정의 경과 = 602
    가) 총론개발 = 602
    나) 각론개발 = 604
  다.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607
   1) 국민학교 = 607
    가) 교육과정의 성격,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 = 607
    나) 편성·운영의 기본지침 = 612
    다) 교육과정의 부분개정 = 615
   2) 중학교 = 618
    가) 교육과정의 성격,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 = 618
    나) 교육과정의 특징 = 619
    다) 편성·운영의 기본지침 = 621
   3) 고등학교 = 622
    가) 교육과정의 성격, 편제와 단위배당 기준 = 622
    나) 교육과정의 특징 = 633
    다) 편성·운영의 기본지침 = 639
  라. 제6차 교육과정의 특징 = 643
   1) 교육과정 구성 및 정책의 변화 = 643
   2) 총론, 각론의 변화 = 645
    가) 총론의 변화 = 645
    나) 각론의 변화 = 646
   3) 제6차 교육과정 개정의 개요와 각급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 647
    가) 제6차 교육과정 개정의 개요 = 647
    나) 각급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 648
   4) 학교교육과정 체제의 도입 = 651
    가) 주어진 교육과정에서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 651
    나)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적응태세의 확립 = 653
  마. 교과서 및 교재 = 655
   1) 교과용도서의 발행 = 655
    가) 발행 현황 = 655
    나) 1·2종 도서의 편찬 = 656
   2) 교과용도서의 연구 개발과 개편된 교과서의 특징 = 657
    가) 교과용도서의 연구 개발 = 657
    나) 개편된 교과서의 특징 = 658
   3) 교과용도서 발행의 변화와 조정 = 659
 8. 제7차 교육과정기의 교육 = 663
  가.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방향 = 663
   1) 개정의 배경과 기본방향 = 663
    가) 개정의 배경 = 663
    나) 개정의 기본방침 = 670
   2) 추구하는 인간상 = 672
   3) 개정중점과 구성방침 = 675
    가) 개정중점 = 675
    나) 구성방침 = 676
  나. 교육과정 개정의 경과 = 679
   1)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의 경과 = 679
    가) 개정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 679
    나) 총론시안 개발에 관한 연구 = 681
    다) 각론개발 = 682
   2) 제7차 교육과정 고시 = 683
  다. 편제와 시간(단위)배당 및 편성·운영지침 = 685
   1) 편제와 시간(단위)배당 기준 = 686
    가) 편제 = 686
    나) 교육과정 시간(단위)배당 기준 = 686
   2)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지침 = 692
    가) 기본지침 = 693
    나) 지역 및 학교에서의 편성·운영 = 695
   3) 후속 지원체제 = 698
  라. 각급학교의 교육과정 = 702
   1) 초등학교 = 702
    가) 교육목표 = 702
    나) 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 = 703
    다) 통합교과 개념의 재정립 = 707
    라)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내용 = 709
   2) 중학교 = 710
    가) 교육목표 = 710
    나) 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 = 711
    다) 재량활동의 선택과목 과정 = 714
    라)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내용 = 715
   3) 고등학교 = 716
    가) 일반계 고등학교 = 717
    나) 실업계 고등학교 = 721
    다) 특수목적계 고등학교 = 725
    라)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내용 = 726
   4) 학교교육과정의 성격과 사고 및 인식의 변화 = 731
    가) 학교교육과정의 성격 = 731
    나)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사고와 인식의 변화 = 732
  마.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문제점 및 반응 = 733
   1) 특징 = 733
   2) 교육계의 반응과 주요쟁점 = 737
    가) 제6차 교육과정과의 관계 = 737
    나) 교원단체가 제기한 반응, 쟁점 = 740
  바. 교과서 및 교재 = 746
   1)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의 방향 = 746
    가) 교과용도서에 대한 논의 = 746
    나) 교과서에 대한 개념의 변화 = 747
    다) 교과용도서 개발의 방향 = 748
   2)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대하는 교과서 = 749
    가) 현행 교과서제도와 교과용도서의 구분 = 749
    나) 기대하는 교과서 = 750
부록
 자료1. 교육조서 = 755
 자료2. 한성사범학교관제 = 757
 자료3. 소학교 교칙대강 = 758
 자료4. 학부관제 = 763
 자료5. 학부의 교육방침 = 765
 자료6. 조선교육령(1911) = 768
 자료7. 개정 조선교육령(1922) = 771
 자료8. 대한민국 교육법 = 775
 자료9.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 = 796
참고문헌 = 807
요약 = 817
찾아보기 = 84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