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전자정부의 일반이론
제1절 전자정부의 이론적 배경 = 1
1. 전자정부 연구의 배경과 중요성 = 1
2. 전자정부의 필요성에 대한 관점 = 4
3. 전자정부 추진 동기에 대한 권력 통제 및 조직관리적 관점 = 10
4. 전자정부 구현 주체에 관한 관점 = 11
5. 전자정부 구현결과에 대한 관점 = 12
제2절 전자정부의 개념과 모형 = 14
1. 전자정부의 개념 = 14
2. 전자정부 개념의 종합적 논의 = 16
3. 전자정부 개념모형의 이론적 논의 = 19
4. 전자정부의 구현효과 = 22
제3절 전자정부의 구성요소와 추진전략 = 24
1. 전자정부의 기능 = 24
2.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구성요소 = 25
3. 전자정부 구현 전략과 원칙 = 27
4. 전자정부의 핵심성공요인 = 29
5. 전자정부 구현의 과제 = 38
참고문헌 = 40
제2장 전자거버넌스(e-Governance)
제1절 전자정부 진화와 전자거버넌스 = 41
1. 지식기반사회와 전자정부 진화 = 41
2. 전자거버넌스 분석의 개념틀 = 44
제2절 전자거버넌스 연구방향 = 50
1. 전자정부 연구동향 = 50
2. 전통적 행정연구와 전자거버넌스 = 54
3. 전자거버넌스 시대의 행정연구의 변화 방향 = 55
4. 전자거버넌스 연구의 중요성 = 66
참고문헌 = 70
제3장 전자정부와 전자민주주의(e-Democracy)
제1절 전자민주주의의 일반적 논의 = 73
1. 전자민주주의의 등장배경 = 73
2. 전자민주주의의 개념과 의의 = 77
제2절 전자민주주의 유형과 전자정부와의 관계 = 84
1. 전자민주주의의 유형 = 84
2. 전자정부와 전자민주주의의 관계 = 95
제3절 전자민주주의 현황과 발전방향 = 98
1. 우리나라 사례 = 98
2. 외국 사례 = 100
3. 전자민주주의의 발전방향 = 102
참고문헌 = 105
제4장 전자정부와 행정의 변화
제1절 지식기반사회의 조직변화 = 107
1. 조직변화의 일반적 논의와 정부조직의 변화 = 107
2. 지식기반사회의 "Wiring Government" = 109
3. 조직변화의 영향 = 112
4. 조직 변화에 따른 저항 = 114
제2절 전자정부와 근무형태 변화 = 115
1. 원격근무의 의의 = 115
2. 원격근무 유형 = 118
3. 원격근무 도입에 대한 해외사례 = 121
4. 우리나라의 원격근무정책 방향 = 129
제3절 전자정부와 행정서비스의 변화 = 131
1. 전자적 행정서비스의 중요성 = 131
2. 전자적 행정서비스의 분류 유형 = 131
3. 전자적 행정서비스에 관한 주요국의 동향 = 135
4. 전자적 행정서비스 구현전략 방법 : CRM = 138
참고문헌 = 143
제5장 전자정부와 정보기술역량
제1절 전자정부와 정보기술역량 = 144
1. 조직 수준의 정보기술역량의 중요성과 개념 = 144
2. 개인 수준의 정보기술역량 = 148
제2절 전자정부와 정보기술 성과관리 = 152
1. 정보기술 성과의 개념 = 152
2. 정보기술 성과관리체계 = 154
제3절 정보기술 성과관리 핵심성공요인 = 163
1. 핵심성공요인의 구성 = 163
제4절 정보기술 성과지표체계 및 성과운영체계 = 165
1. 정보기술 성과지표체계 = 165
2. 정보기술 성과운영체계 = 166
제5절 정보기술역량 제고 전략 = 181
1. 조직구성원의 정보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의 의의 = 181
2. 전자정부의 정보화 수준에 따른 각 사용자의 특징과 관리전략 = 184
3. 공공조직의 관리자를 위한 정보기술역량 제고 전략 = 186
참고문헌 = 189
제6장 전자정부와 지식관리(KM)
제1절 지식관리(KM)의 이론적 논의 = 190
1. 지식의 정의 = 191
2. 지식관리의 도입 = 195
제2절 지식관리전략의 구성요소 = 200
1. 지식관리전략의 일반적 구성요소 = 200
2. 지식관리전략의 성공요소 = 201
3. 지식관리전략의 실패요소 = 206
4. 지식관리전략 : 이해관계자 역할 = 207
제3절 우리나라 지식관리 = 209
1. 지식관리도입배경 = 209
2. 민간부문지식관리 = 210
3. 공공부문의 지식관리 = 212
참고문헌 = 216
제7장 전자정부와 정보자원관리(IRM)
제1절 정보자원관리(IRM)의 개요 = 221
1. 정보자원관리(IRM)의 대두배경 = 221
2. 정보자원관리의 필요성 = 223
3. 정보자원관리 개념의 발전과정 = 225
4. 정보자원관리의 개념 = 229
제2절 정보자원관리(IRM)의 구성요소 = 235
1. 관리적 접근 방법에서의 정보자원관리의 구성요소 = 235
2. 정보자원관리의 구성요소 = 238
제3절 정보자원관리(IRM)의 원칙과 성공요인 = 241
1. 정보자원관리의 원칙 = 241
2. 정보자원관리의 성공 요인 = 243
제4절 정보자원관리(IRM)의 절차 = 249
1. 전략계획의 수립 = 249
2. 정보요구 사항의 식별 = 250
3. 정보자원의 분석 = 251
4. 정보자원과 정보시스템의 정비 = 253
5. 정보자원관리 체계의 정비 = 254
6. 정보자원관리 평가 = 256
제5절 정보자원관리(IRM)와 CIO 제도 = 260
1. CIO의 개념과 도입 배경 = 260
2. 일반적인 CIO와 공공부문의 CIO의 역할과 기능 비교 = 262
3. CIO제도 조직구성의 과정과 전략 = 268
4. 미국의 CIO 제도 = 269
5. 우리나라의 CIO 제도 = 274
제6절 정보자원관리(IRM)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80
1. 미국의 정보자원관리 법·제도 현황과 함의 = 280
2. 우리나라 정보자원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83
참고문헌 = 290
제8장 전자정부와 리엔지니어링(BPR)
제1절 리엔지니어링(BPR)의 이론적 논의 = 292
1. 리엔지니어링의 개념과 특징 = 292
2. 리엔지니어링의 등장 배경 = 294
3. 리엔지니어링의 추진조직과 절차 = 296
제2절 공공부문에서의 리엔지니어링 추진원칙과 기법 = 314
1. 리엔지니어링의 일반적인 추진원칙과 활용기법 = 314
2. 공공부문에서의 리엔지니어링 적용의 가능성 = 321
3. 공공부문 리엔지니어링(PUPREB)의 적용 = 324
제3절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의 성공적 추진방안 = 326
1. 리엔지니어링 성공 평가 기준 = 326
2. 리엔지니어링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관점 = 326
3. IT를 활용한 공공부문 리엔지니어링을 위한 성공요소들 = 331
참고문헌 = 334
제9장 전자정부와 아웃소싱(Outsourcing)
제1절 아웃소싱(Outsourcing)의 이론적 논의 = 336
1. 아웃소싱의 개념 = 336
2. 아웃소싱의 대두 배경과 응용분야 = 339
3. 아웃소싱 결정요인에 대한 제 이론 = 341
4. 아웃소싱(Outsourcing)의 필요성 = 344
5. 아웃소싱의 장점과 단점 = 348
제2절 아웃소싱(Outsourcing)의 유형과 전략 = 353
1. 아웃소싱의 유형 = 353
2. 아웃소싱(Outsourcing)의 절차 = 359
3. 전략적 아웃소싱(Strategic Outsourcing) = 361
4. 전환 아웃소싱(Transformational Outsourcing) = 368
5. 민간분야 정보화 아웃소싱에 대한 관점 = 370
6. 공공분야 정보화 아웃소싱의 특징과 기대효과 = 372
제3절 아웃소싱의 문제점과 향후 방향 = 374
1. 각국의 정보화 아웃소싱의 현황 = 374
2. 우리나라의 정보화 아웃소싱 실태와 추진방향 = 377
3. 국내 아웃소싱의 사례와 문제점 = 380
4. 우리나라 공공분야 정보화 아웃소싱 활성화 방안 = 384
참고문헌 = 386
제10장 전자정부와 정보공동활용
제1절 정보공동활용의 일반적 논의 = 388
1. 정보공동활용의 의의 = 388
2. 정보공동활용의 필요성 = 390
3. 정보공동활용의 효과 = 392
4. 정보공동활용의 구성요소 = 392
5. 정보공동활용의 유형 = 394
제2절 우리나라 정보공동활용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 398
1. 우리나라의 정보공동활용 추진내용 = 398
2. 우리나라 정보공동활용 추진의 문제점 = 399
3. 정보공동활용 활성화 방향 = 401
4. 정보공동활용 정책 향후 추진 방향 = 406
제3절 전자문서(Electronic Document) = 410
1. 전자문서의 개념과 필요성 = 410
2. 전자문서의 편익과 한계 = 412
3. 우리나라 전자문서 사업 추진내용과 법·제도 현황 = 414
4. 전자문서 이용활성화 문제점과 향후과제 = 418
제4절 그룹웨어시스템(Groupware System) = 422
1. 그룹웨어시스템의 개념과 역할 = 422
2. 그룹웨어시스템의 기능 = 426
3. 사용자 중심의 그룹웨어시스템 구현전략 = 427
4. 그룹웨어시스템의 장애요인과 고려요인 = 430
참고문헌 = 434
제11장 전자정부와 정보공개
제1절 정보공개에 대한 이론적 배경 = 436
1. 정보공개의 개념 = 436
2. 정보공동활용과 정보공개의 관계 = 438
3. 정보공개에 대한 관점 = 439
4. 정보공개의 목적과 중요성 = 440
5. 정보공개시책의 종류와 방법 = 441
6. 정보공개제도의 평가 기준 = 441
제2절 각국의 전자적 정보공개제도의 발전배경 = 443
1. 외국의 전자적 정보공개제도 발전 배경 = 443
2. 우리나라의 전자적 정보공개제도 현황 = 452
3. 우리나라 전자적 정보공개 관련 제도 현황 = 458
제3절 우리나라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 = 463
1. 우리나라 전자적 행정정보공개제도의 문제점 = 463
2. 정보공개법에 대한 보완적 법률 = 464
3. 전자적 정보공개 촉진 방안 = 467
참고문헌 = 473
제12장 전자정부와 정보보호관리
제1절 정보보호(Information Security)의 이론적 논의 = 475
1. 정보보호의 의의 = 475
2. 환경변화와 정보보호 = 478
3. 정보보호의 목적과 정보보호 관리 = 481
제2절 네트워크 정보보호 = 485
1. 네트워크 정보보호 개요와 목적 = 485
2. 네트워크 정보보호에 대한 위협과 대책 = 486
3. 네트워크 시스템 측면에서의 정보보호 = 488
4. 네트워크 유형별 정보보호 = 497
5. 네트워크 정보보호 방침의 수립 = 499
제3절 정보보호의 암호화와 국가정책 = 503
1. 정보보호에서의 암호의 개념과 필요성 = 503
2. 암호시스템의 종류 = 504
3. 공개기반키구조(PKI) = 506
제4절 각국 및 우리나라의 정보보호관리 현황 = 510
1. 각국의 정보보호관리현황 = 510
2. 우리나라의 정보보호현황 = 513
제5절 우리나라의 정보보호관리 문제점과 향후과제 = 518
1. 프라이버시보호체계 = 518
2. 보안체계 = 519
3. 디지털 인증 = 519
4. 암호화정책 = 520
5. 네트워크 보호 = 521
6. 데이터베이스 보호 = 521
7. 운영적 보호대책 = 522
참고문헌 = 523
제13장 전자정부와 기반기술정책
제1절 전자정부 기반기술정책의 의의 = 525
1. 전자정부 기반기술 정책분석의 중요성 = 525
2. 기반기술정책의 배경 : 전자정부 사업의 특징 = 527
3. 전자정부 기반기술의 개념과 요소 = 529
제2절 기반기술정책 분석을 위한 기준과 내용 = 534
1. 기반기술 정책분석을 위한 기준과 내용 = 534
제3절 기반기술 정책결정 과정 분석 모형과 단계 = 537
1. 전자정부 사업의 정책결정 과정 분석 모형 = 537
2. 기반기술 정책 분석단계와 검토내용 = 539
제4절 우리나라 전자정부 기반기술정책 분석과 활성화 전략 = 543
1.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기반기술 정책분석 기준 = 543
2. 전자정부의 기반기술 정책관련 정보화 기관차원의 전략 = 547
3. 정보화 관련 규정 및 절차상의 기반기술에 대한 전략 = 552
4. 기반기술 관련 미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전략 = 554
5. 전자정부 사업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기반기술 관련 향후 정책 방향 = 557
참고문헌 = 559
제14장 정보기술환경 변화와 전자정부
제1절 정보기술환경의 변화 = 561
1. 정보기술환경 동향 = 561
2. 정보통신기술 발전 전망과 전자정부 = 563
제2절 전자정부의 유비쿼터스 = 568
1. 유비쿼터스의 특징 = 568
2. 유비쿼터스의 어원과 등장배경 = 568
3. 유비쿼터스 기술동향 = 570
4. 전자정부와 유비쿼터스 = 573
5. 향후 전망과 과제 = 578
제3절 전자정부와 모바일 = 580
1. 개념 및 기술동향 = 580
2. 전자정부와 무선/모바일 = 582
3. 모바일 전자정부 구현 사례 = 584
4. 향후 전망 = 587
제4절 전자정부와 GIS = 589
1. GIS의 의의 = 589
2. 정보통신 기술발달과 GIS = 590
3. GIS 응용분야 확산 동향 = 593
4. GIS와 전자정부의 연계 = 596
5. GIS의 발전 전망 = 600
참고문헌 = 602
제15장 전자정부 추진동향과 과제
제1절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추진동향 = 605
1.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추진계획 = 605
2. 행정정보화 발전과 전자정부 추진 과정 = 607
제2절 세계 주요국의 전자정부 추진동향 = 617
1. 전자정부구현 수준 평가 = 617
2. 각국의 전자정부추진 동향 = 619
제3절 우리나라 전자정부 추진 개선방안 = 628
1. 우리나라의 전자정부추진과정의 문제점 = 628
2. 전자정부사업추진과정의 혁신방안 = 630
참고문헌 = 638
제16장 전자정부 추진체계
제1절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이론적 논의 = 641
1. 정보화 추진체계의 의의 = 641
2. 국가정보화/전자정부 추진체계 재정립의 중요성과 추진방향 = 645
제2절 각국의 전자정부추진동향 = 649
1. 우리나라 국가정보화/전자정부 추진체계 = 649
2. 우리나라 국가정보화/전자정부 추진체계의 한계 = 652
3. 우리나라 국가정보화/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극복과제 = 654
제3절 외국의 지식정보화 추진체계의 비교분석 = 657
1. 외국의 전자정부 추진체계 = 657
2. 정보화추진체계의 이념적 형태 = 658
3. 한국형 모델의 모색 = 660
제4절 바람직한 국가정보화/전자정부정책 추진체계의 방향 = 661
1. 개편의 기본방향 = 661
2. 국가정보화 추진체계(안) = 662
참고문헌 = 664
부록 Ⅰ : 전자정부구현을위한행정업무등의전자화촉진에관한법률 = 666
지식정보자원관리법 = 678
부록 Ⅱ : 정보통신관련 약어 해설 = 682
찾아보기(국문·영문) = 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