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7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858614 | |
005 | 20100806014318 | |
007 | ta | |
008 | 030818s2003 ulk 001a kor | |
020 | ▼a 8932014094 ▼g 03300: ▼c \17000 | |
035 | ▼a KRIC08808828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d 211010 | |
082 | 0 4 | ▼a 325.3 ▼2 21 |
090 | ▼a 325.3 ▼b 2003 | |
245 | 0 0 | ▼a 탈식민주의 : ▼b 이론과 쟁점 / ▼d 고부응 외 11인 [공저].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 ▼c 2003. | |
300 | ▼a 433 p. ; ▼c 22 cm. | |
440 | 0 0 | ▼a 현대의 지성 ; ▼v 117 |
500 | ▼a 공저자: 고부응, 김준환, 문상영, 박경화, 박상기, 박주식, 양석원, 이경덕, 이경원, 이석구, 이승렬, 조규형 | |
504 | ▼a 찾아보기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고부응 ▼0 AUTH(211009)7755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2730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2730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3024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30240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8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410394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511518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511518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2730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2730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3024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1130240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8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4103946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5115185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5.3 2003 | 등록번호 1511518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준환(지은이)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 영·미시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Texas A&M대학에서 같은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세기 초 모더니즘 시기부터 최근에 이르는 영시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는 『“서구 상자” 밖으로: 에즈라 파운드와 찰스 올슨의 다문화주의 시학을 향하여』(Out of the “Western Box”: Towards a Multicultural Poetics in the Poetry of Ezra Pound and Charles Olson, Peter Lang, 2003), 공저는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문학과지성사, 2003), 『포스트모던 시대의 영, 미시』(LIE, 2009), 『현대 영미 여성시의 이해』(동인, 2013), 논문은 「나이지리아의 민중시인 니이 오순다레」, 「니이 오순다레의 탈-식민, “대체-토착”시론: 새로운 세계문학의 가능성에 관한 단상」, 「김기림의 반-제국/식민 모더니즘」, 「영, 미 모더니즘 시와 한국 모더니즘 시 비교연구: T. S. 엘리엇과 김기림」, 「네그리뛰드와 민족주의: 셍고르와 쎄제르」 등이 있다. 번역서는 테리 이글턴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환상』(실천문학사, 2000), 이글턴, 프레드릭 제임슨, 에드워드 사이드의 『민족주의, 식민주의, 문학』(인간사랑, 2011), 이글턴의 『낯선 사람들과의 불화: 윤리학 연구』(도서출판 길, 2017), 캐롤 앤 더피의 『세상의 아내』(봄날의책, 2019)가 있다. 옮긴이는 현재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선 모더니즘과 모더니티에 초점을 맞춰 영어권 모더니즘 시와 한국 모더니즘 시를 비교 연구하고 있으며, 『지구적 세계문학』의 편집위원으로서 니이 오순다레를 포함한 현대 영어권 시인들의 시를 번역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경원(지은이)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영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셰익스피어, 세계희곡, 근대성, 탈식민주의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역서로는 바트 무어-길버트의 『탈식민주의! 저항에서 유희로』(한길사, 1997)가 있고, 저서로는 한길사에서 출간한 『검은 역사 하얀 이론: 탈식민주의의 계보와 정체성』(2011), 『파농: 니그로, 탈식민화와 인간해방의 중심에 서다』(2015)가 있다. 현재 고대 헬레니즘과 오리엔탈리즘의 상관관계를 다루는 『야만의 기원: 고대 그리스의 인종주의』(가제)를 집필 중이다.
이경덕(지은이)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프레드릭 제임슨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번역으로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 (공역), 테리 이글턴의 『문학비평: 반영이론과 생산이론』(원제: 마르크스주의와 문학 비평), 에두아르도 갈레아노의 『사랑과 전쟁』 등이 있고, 공저로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처음 읽는 영미 현대 철학』이 있다. 그밖에 「페미니즘의 공과, 그리고 19세기 영국 소설 읽기」, 「이글턴과 제임슨에 있어서의 해체론」, 「불교 철학과 근대 문학」 등의 논문을 썼다.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및 비교문학과 대학원에서 강의해왔고, 프레드릭 제임슨 및 해체론과 관련한 책을 준비하고 있다.
고부응(지은이)
중앙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중앙대학교 대학평의원회 의장을 지냈다. 이 책 제6장의 내용으로 실린 논문 「대학의 기업화와 학문의 자유」로 한국영어영문학회가 당해 연도 영어영문학 분야 최우수 논문 저자에게 수여하는 영어영문학 논문상을 2015년에 받았다. 1998년에는 논문 「콘래드의 로오드 짐에서 읽는 반식민저항」으로 한국영어영문학회가 발행하는 영어영문학 학회지의 당해 연도 최우수 논문 저자에게 수여하는 재남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이 책의 제8장 “대학순위평가”의 바탕이 된 논문 「대학순위평가와 대학의 몰락」은 2014년 고려대학교 총학생회가 주도한 ‘≪중앙일보≫ 대학 평가 거부 운동’의 이론적 토대가 되기도 했다. 저서로는 『초민족 시대의 민족 정체성: 식민주의·탈식민 이론·민족』(2002),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편저, 2003) 등이 있다.
문상영(지은이)
연세대학교 영문과 교수이며, 논문으로 「흑인문학과 미국문학의 정전」, 「1960년대 미국 흑인문학: 해방과 문화적 자립」등이 있다.
박경화(지은이)
연세대학교 영문과 강사이며, 논문으로 「<크랜포드>의 앵글로 인디언과 '잉여 여성들'」, 「Charlotte Bronte's Shirley: A Victorian Representation of Work, Working Men, and the Work Ethic」등이 있다.
박상기(지은이)
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이며, 논문으로 「호미 바바의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타자의 역사성」등이 있다.
박주식(지은이)
가톨릭대학교 영미언어문화학부 영어영문학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와 미국 위스콘신대학 교에서 영문학 석사, 퍼듀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탈모더니즘 시대의 인문학》, 《탈식민주의》(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Toward the Aesthetics of Allegory: The Shadow of Benjamin in Paul de Man〉 등이 있다.
양석원(지은이)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사,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SUNY Buffalo) 영문학과에서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미국문학과 비평이론 및 정신분석학을 강의하고 있다. 풀브라이트 방문교수로 2003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UC Irvine)와 2011~2012년에 메릴랜드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에서 연구했고, 2018~2019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UC Berkeley)에서 방문교수로 연구했다. 저서로 『욕망의 윤리: 라캉 정신분석과 예술, 정치, 철학』(한길사, 2018), 『미메시스, 시뮬레이션, 상상력』(공저,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7),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공저, 문학과 지성사, 2003) 등이 있고, 역서로는 『영향에 대한 불안』(문학과 지성사, 2012), 『주홍글자』(을유문화사, 2011), 『성화』(공역, 인간사랑, 2016),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시선과 목소리』(공역, 인간사랑, 2010)가 있으며, 정신분석과 미국문학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석구(지은이)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비교문학문화학과에서 교수로 있으면서 탈식민주의 문학, 비평이론, 아시아문화연구를 강의한다. 역서로는 『어둠의 심연』이 있다. 영어권 문학비평 『제국과 민족국가 사이에서』로 제1회 영어영문학 학술상과 연세 학술상을 수상하였고, 탈식민주의 이론을 논쟁적으로 다룬 『저항과 포섭 사이』는 세종우수도서로 선정되었으며, 영국 모험소설 비평서 『들려준 것과 숨긴 것』은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그 외 다수의 논문이 국내외 학술지에 실렸다.
이승렬(지은이)
영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녹색평론』 편집자문위원. 역서로는 『우리 시대 문화 이론』이 있다.
조규형(지은이)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명예교수. 문학과 문화 비평 및 이론, 현대 영소설을 연구, 강의하고 있다. 한국비평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저서로 『탈식민 논의와 미학의 목소리』 『해체론』, 역서로 『포』(J. M. 쿳시)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치누아 아체베)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5 제1부 탈식민주의 이론 탈식민주의의 계보와 정체성 / 이경원 = 23 탈식민주의와 정신분석학 - 마노니와 파농을 중심으로 / 양석원 = 59 탈식민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김준환 = 95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 제3세계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 박경화 = 147 탈식민주의와 마르크시즘 -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 이경덕 = 170 탈식민주의와 탈구조주의 / 이석구 = 188 제2부 탈식민주의의 현장 탈식민주의의 양가성과 혼종성 / 박상기 = 223 제국의 지도 그리기 - 장소, 재현 그리고 타자의 담론 / 박주식 = 256 인종과 미국적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 / 문상영 = 284 탈식민 실천으로서의 제3세계 문학 - 『모든 것은 무너져내린다』의 저항의 문제성과 성의 정치학 / 이승렬 = 309 탈식민론과 몸 - 식민에서 디지털까지의 몸 담론 / 조규형 = 333 비어 있는 기표로서의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 - 이창래의 『원어민』 / 고부응 = 360 참고 문헌 = 389 찾아보기 = 423 필자 소개 =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