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글 머리에 = 4
제1부 자주 평화 통일의 조건
제1장 통일방안의 문제점 = 15
제1절 남북한 통일정책의 기본 방향 = 15
제2절 남북한 통일방안의 문제점 = 17
제3절 한국 정부 통일방안의 문제점 = 19
제4절 평화통일 이념으로서의 한국민족주의 = 21
제5절 한국민족주의 통일철학의 대안 = 22
제2장 한국의 정치와 민족주의사상 = 24
제1절 광복 50년, 분단과 통일의 과정 = 24
제2절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 26
제3절 한국 정치 50년 = 37
제4절 동귀일체의 정치를 위하여 = 57
제3장 민족화합을 위한 사회통합의 방향 = 60
제1절 사회통합을 위한 사상적 지표 = 60
제2절 민족화합의 기본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 = 62
제3절 조화이념으로서의 동학사상 = 66
제4절 사회통합과 한국민족주의 = 76
제5절 한국민족주의와 조화사상 = 79
제2부 남북한 민족주의의 전개 과정
제4장 한국민족주의의 전망 = 85
제1절 민족과 계급 관계 규명의 필요성 = 85
제2절 계급과 민족 = 86
제3절 민족주의와 마르크스주의 = 94
제4절 로흐(Hroch)의 수렴이론 = 100
제5절 한반도 통일에서의 계급과 민족 = 104
제5장 남한체제의 수립 과정과 전망 = 107
제1절 남한체제 논구(論究)의 당위성 = 107
제2절 민족주의의 이념 = 108
제3절 북한체제 수립 과정과 전망 = 111
제4절 민족국가와 자본주의 = 116
제5절 한국의 민족주의 = 120
제6절 자본주의체제의 형성과 전개 = 125
제7절 한국민족주의와 자본주의 = 129
제8절 통일의 방향모색 = 131
제9절 한국민족주의의 장래 = 135
제6장 북한의 지방행정에 대한 연구 = 138
제1절 북한 지방행정 연구의 의의 = 138
제2절 지방자치와 민족공동체 = 140
제3절 북한체제의 지방행정의 위상 = 145
제4절 북한 지방행정의 이념 = 151
제5절 북한 지방행정의 체계 = 156
제6절 북한 지방행정과 주민생활 = 166
제7절 북한 지방행정의 성격 = 170
제8절 남북한 지방자치단체간 교류의 전망 = 174
제3부 동학과 통일민족주의
제7장 제3의 길 = 179
제1절 제3의 길의 접근방법 = 179
제2절 정치경제와 정치 = 180
제3절 정치경제의 구조 = 182
제4절 이념형적 두 경제 구조 = 188
제5절 두 이념형의 문제점 = 193
제6절 실제적 정치경제 : 이념들(lsms) = 196
제7절 제3의 길 : 혼합경제 = 211
제8절 동학(東學)의 정치경제학 = 216
제9절 신자유주의에 대해 = 227
제8장 천도교와 민족통일전선 = 233
제1절 취지와 의의 = 233
제2절 통일전선(統一戰線)의 의의 = 234
제3절 동학사상의 이해 = 245
제4절 동학사상의 발전 = 255
제5절 천도교(天道敎)에 대해서 = 261
제6절 논의의 발전을 위하여 = 263
제9장 연방제(聯邦制)와 민족주의 = 267
제1절 모든 정치는 지방적이다 = 267
제2절 하위민족단위 정치학(Subnational Politics) = 269
제3절 연방(국가)제(Federal Systems) = 273
제4절 단일(국가)제(Unitary Systems) = 279
제5절 민족주의의 정치 = 284
제6절 공동체정치 = 288
제7절 논의의 정리를 위하여 = 290
제4부 평화통일운동의 과제와 방향
제10장 남북한 통일운동의 이론과 실제 = 297
제1절 민족주의와 민족통일 = 297
제2절 진보적 민족주의에 대하여 = 300
제3절 한국 정부의 통일정책 = 303
제4절 북한의 고려연방제 = 307
제5절 시대별로 본 통일운동의 과제 = 310
제6절 통일운동의 방향 : 연방제로 = 317
제7절 통일운동의 실천적 과제 = 322
제11장 민족의 평화통일을 위한 대통령의 정치철학 = 323
제1절 대통령과 정치철학 = 323
제2절 정치제도의 개념 = 324
제3절 정당정치론 = 327
제4절 정치과정론 = 329
제5절 한국민족주의론 = 331
제6절 통일 대통령을 기다리며 = 326
부록
Ⅰ. 각 장의 주석 = 339
Ⅱ. 참고문헌 =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