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철학·과학 및 정치 : 민주주의의 과학적·철학적 기초
제1장 서언 = 3
제2장 과학과 신화 = 10
1. 미개사회의 신화적 우주관 = 11
2. 신화에 대한 도전과 신화에로의 복귀 = 14
제3장 과학과 신화의 교착 = 23
1. 고전적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 23
2.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 = 27
3. 현대사상의 제 조류 = 34
제4장 비판적 합리주의의 탐구 = 41
1. 비판적 합리주의의 위상 = 41
2. 과학과 비과학의 경계 = 48
3. 과학의 객관성 = 58
4.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 64
제5장 민주주의의 이론 = 85
1. '열린사회'와 민주주의의 논리 = 87
2. '닫힌 사회'와 유토피아, 혁명 = 96
제6장 맺는 말 = 106
제2부 마르크스주의 철학과 비판적 합리주의
제1장 역사에는 의미가 있는가? : 유물사관의 비판적 평가 = 111
1. 머리말 = 11
2. 유물사관과 그 문제점 = 119
3. 역사는 의미를 가지는가? = 136
4. 사회변혁의 방법과 점진적 사회공학 = 145
5. 맺는 말 = 150
제2장 과학적 사고방식과 변증법 : 인식과 정치관 = 154
1. 머리말 = 154
2. 신화와 과학의 기원 = 156
3. 과학적 사고와 주술적 사고 = 159
4. 비합리주의적 사고 : 변증법을 중심으로 = 164
5. 합리주의적 경험주의적 사고 : 칼 R. 포퍼를 중심으로 = 172
6. 지식과 정치관 = 183
제3장 비판적 합리주의와 민주주의 : Karl Raimund Popper의 철학을 중심으로 = 190
1. 머리말 = 190
2. 과학적 방법 : '반증'과 '귀납' = 197
3. 비판적 합리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론 = 208
4. 맺는 말 = 221
제3부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현대적 전개
제1장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 = 227
1. 마르크스의 사상적 편력 = 227
2. 초기 마르크스의 사상 = 234
3. 후기 마르크스의 사상 = 251
4.『고타강령비판』과 마르크스의 미래사회론 = 262
제2장 마르크스 이후의 마르크스주의 = 273
1. 독일에서의 마르크스주의의 전파 = 273
2. 레닌과 러시아 혁명 = 283
3. 마르크스주의의 새로운 시각 = 305
4. H. 마르쿠제와 H. 르페브르 = 319
5. 결론 = 322
제3장 F. 엥겔스와 정통파 마르크스주의에 관한 연구 = 333
1. 서론 = 333
2. 엥겔스와 마르크스사상의 통속화 = 336
3. 카우츠키와 정통파 마르크스주의 = 346
4. 맺는 말 = 356
제4장 마르크스주의에서의 후진사회 혁명론 = 359
1. 마르쿠제의 선진국 궁핍혁명이론 = 359
2. 마르크스의 후진국 혁명이론 = 363
3. 레닌의 후진국형 궁핍혁명전략모델 = 371
4. 맺는 말 = 379
제5장 뉴레프트 연구 서설 : 프랑크푸르트학파를 중심으로 = 387
1. 뉴레프트운동의 등장 = 387
2. 알려지지 않은 또 하나의 마르크스주의의 재발견 = 396
3.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성립과 전개 = 403
4. 전통적 이론과 비판적 이론 = 410
5.『계몽의 변증법』 : 자연과 문명의 화해 = 424
6. 유토피아와 『부정의 변증법』 : 아도르노 = 433
7. 맺는 말 = 440
제4부 한국정치와 현대민주주의
제1장 민주정치에 관한 연구 = 445
1. 머리말 = 445
2. 서론 = 447
3. 현대 민주정치의 분석 = 458
4. 70년대 민주정치의 좌표 = 476
5. 맺는 말 = 484
제2장 한국정치와 정치문화 = 485
1. 한국의 정치적 다이내믹스 = 485
2. 한국정치에 미친 외세의 영향 = 490
3. 한국정치에 있어서의 인종적·문화적 요소 = 492
4. 사랑방정치(Patron-Client Politics) = 498
5. 선거 = 514
제3장 서구민주주의의 성격과 한국민주주의 : 민주화의 길 = 520
1. 자유민주주의 = 521
2. 산업(사회)민주주의 = 524
3. 민주자유주의로의 길 = 530
제4장 최근 한국 학생운동을 통해 본 북괴의 대 남한 정책 = 536
제5부 일본의 근대화와 정치문화
제1장 일본의 근대화에 관한 연구 = 553
제2장 일본 토쿠가와막번체제의 본질과 특색 = 569
제3장 일본 정치문화론 서설 = 598
1. 정치문화적 접근 = 598
2. 일본 전통문화의 형 = 601
3. 일본 정치문화의 형 = 619
재6부 맺는 말
한국의 민주화와 통일을 향하여 - 政策要領 攷 = 637
색인 = 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