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국제정치 일반론
제1장 국제정치의 특성
제1절 서론 = 3
제2절 정치의 개념 = 4
제3절 국제정치의 개념 = 8
제4절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의 비교 = 10
제5절 국제정치의 특성 = 15
1. 단일 국제사회의 성립 = 15
2. 국제정치 행위자 = 17
3. 국제정치의 특징 = 18
제6절 국제정치학의 출현 = 28
1. 국제정치학의 연원 = 28
2. 국제정치학의 연구현황 = 29
제7절 결론 = 36
제2장 국력
제1절 서론 = 38
제2절 국력의 구성요소 = 42
1. 인구 = 43
2. 영토 = 45
3. 군사력 = 48
4. 경제력 = 49
5. 정치적 능력 = 51
제3절 국력의 평가 = 54
제4절 결론 = 58
제3장 외교
제1절 서론 = 60
제2절 외교의 의미 = 61
1. 외교의 정의 = 61
2. 외교관의 기능 = 65
3. 외교제도의 형성 = 70
제3절 외교의 방식 = 73
1. 설득 = 73
2. 타협 = 74
3. 위협 = 75
제4절 외교의 형태 = 78
1. 비밀외교 = 78
2. 공개외교 = 79
3. 쌍방외교 = 80
4. 다자외교 = 81
5. 회의외교 = 81
6. 의회외교 = 82
7. 정상외교 = 84
제5절 결론 = 86
제2편 국제사회와 정치·군사
제4장 전쟁
제1절 서론 = 89
제2절 전쟁의 정의 = 89
제3절 전쟁의 원인 = 91
1. 인간본능이론 = 91
2. 사회심리이론 = 94
3. 문화가치이론 = 95
4. 정치구조이론 = 96
1) 평형이론 = 96
2) 구조적 결함이론 = 98
3) 전쟁존재론 = 100
제4절 전쟁의 형태 = 101
1. 정당방위 = 101
2. 군사보복 = 106
3. 군사개입 = 107
제5절 전쟁방지 방안 = 112
제6절 전쟁과 인류문명 = 115
1. 전쟁무기와 인류문명 = 116
2. 전쟁현상과 인류문명 = 118
제7절 결론 = 120
제5장 핵무기
제1절 서론 = 122
제2절 핵무기의 출현 = 123
제3절 핵무기체제 = 125
제4절 핵전략 = 130
1. 대량보복전략 : 1953-1959 = 131
2. 신축대응전략 : 1960-1969 = 132
3. 제한공격전략 : 1970-1975 = 135
4. 최소능력 확보전략 : 1976년 이후 = 137
제5절 핵무기 제한 움직임 = 138
제6절 핵무기와 인류문명 = 143
제7절 결론 = 144
제3편 국제정치와 경제사회
제6장 국제정치경제
제1절 서론 = 149
제2절 국제정치경제의 대두 = 151
제3절 국제정치경제이념 = 153
1. 중상주의 = 153
2. 자연주의 = 159
3. 혁신주의 = 164
4. 국제정치경제이념의 조화 = 178
제4절 국제정치경제의 3대 요소 = 180
1. 국제무역 = 181
2. 국제투자 = 182
3. 국제화폐 = 187
제5절 국제경제질서의 변천 = 188
1. 자유방임적 자유무역주의 : 1945-1971 = 189
2. 무역압력이 가미된 자유무역주의 : 1971년 이후 = 191
3. 가트체제와 우루과이라운드 협정 = 194
제6절 국제정치경제의 미래 = 197
제7절 결론 = 203
제7장 제3세계
제1절 서론 = 205
제2절 제3세계와 냉전시대 = 207
1. 냉전시대의 형성 : 1945-1962 = 207
2. 제3세계의 결속 : 반둥회의 = 210
3. 제3세계의 준동 : 비동맹운동 = 211
제3절 제3세계와 평화공존시대 = 213
1. 평화공존시대의 도래 : 1962-1972 = 213
2. 제3세계의 성과 :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 = 216
제4절 제3세계와 긴장완화시대 = 218
1. 긴장완화시대의 전개 : 1972-1985 = 218
2. 제3세계의 요구 : 신국제경제질서 = 220
제5절 제3세계와 화해 및 타협시대 = 224
1. 화해 및 타협시대의 발아 : 1985년 이후 = 224
2. 제3세계의 적응 : 경제발전전략의 선택 = 226
1) 폐쇄적 경제발전전략 = 227
2) 개방적 경제발전전략 = 229
3) 수출연합체전략 = 230
4) 경제공동체전략 = 232
제6절 결론 = 235
제4편 국제사회와 정의
제8장 국제기구
제1절 서론 = 239
제2절 국제기구의 초기형태 = 241
1. 유럽협조체제 = 241
2. 헤이그만국평화회의 = 243
3. 공공국제기구 = 245
제3절 국제연맹 = 246
1. 창설 배경 = 246
2. 창설 목적 = 248
3. 주요 기관 = 250
1) 이사회 = 250
2) 총회 = 251
3) 사무국 = 251
4. 성과와 문제점 = 252
5. 부설 전문기관 = 254
1) 상설 국제사법재판소 = 254
2) 국제노동기구 = 255
제4절 국제연합 = 256
1. 창설 배경 = 256
2. 창설 목적 = 258
3. 주요 기관 = 261
1) 안전보장이사회 = 261
2) 총회 = 262
3) 사무국 = 263
4) 사무총장 = 265
4. 성과와 문제점 = 266
5. 부설 전문기관 = 274
제5절 지역적 국제기구 = 275
1. 북대서양조약기구 = 276
2. 구주연합 = 277
3. 바르샤바조약기구 = 278
4. 동구 상호경제협력회의 = 279
5. 미주국가기구 = 280
6. 아프리카단결기구 = 281
7. 동남아국가연합 = 282
8.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회의 = 282
제6절 결론 = 284
제9장 세계인권
제1절 서론 = 286
제2절 세계인권의 의미 = 287
1. 인권개념의 근원 = 287
2. 인권개념의 정립 = 290
3. 인권개념의 국제화 = 292
제3절 세계인권 증진활동 = 293
1. 국제연합 헌장 = 293
2. 세계인권선언 = 295
3. 인종말살금지 및 인종차별금지 = 295
4. 민족자결주의 및 반식민지주의 = 297
5. 세계인권규약 = 298
6. 기타 국제적 움직임 = 300
제4절 세계인권 개선방안과 문제점 = 302
1. 세계인권 증진의 문제점 = 302
2. 세계인권 개선방안 = 304
제5절 결론 = 307
제10장 국제정치의 미래
제1절 서론 = 309
제2절 국제사회의 공동과제 = 310
1. 인구문제 = 310
2. 식량문제 = 313
3. 에너지문제 = 314
4. 환경문제 = 316
제3절 국제정치의 미래 = 318
1. 국가중심이론 = 318
2. 세계공동체이론 = 321
3. 국가중심이론과 세계공동체이론의 조화 = 324
제4절 결론 = 326
참고문헌 = 329
인명색인 = 351
사항색인 =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