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역자서문 = 7
일본음악의 역사와 이론(역사편) = 19
고대의 음악(6∼10세기) = 21
서설 = 21
1. 원시시대의 음악 = 22
1) 원시가요 = 22
2) 원시악기 = 23
3) 음악, 무용과 원시생활 = 26
2. 삼국음악의 도래 = 27
1) 신라악(新羅樂) = 28
2) 백제악(百濟樂) = 28
3) 고구려악(高句麗樂) = 28
3. 기가쿠(伎樂)와 쇼토쿠태자(聖德太子) = 29
4. 도카쿠(唐樂)의 유입 = 30
5. 린유가쿠(林邑樂)·도라가쿠(度羅樂)·봇카이가쿠(渤海樂) = 32
1) 린유가쿠(林邑樂) = 32
2) 도라가쿠(度羅樂) = 33
3) 봇카이가쿠(渤海樂) = 33
6. 가가쿠료(雅樂寮)의 설치 = 34
7. 도다이지(東大寺) 대불개안회(大佛開眼會) = 35
8. 가가쿠(雅樂)의 일본화 = 39
9. 궁정행사와 신사(神社)의식 = 39
10. 귀족의 아소비(遊び) 와 악가(樂家) = 37
11. 가쿠소(樂所) = 41
12. 좌방(左方)·우방(右方)의 성립 = 42
13. 일본적 미학과 신곡 = 47
14. 사이바라(催馬樂)·로에이(朗詠)·이마요(今樣) = 50
15. 가가쿠(雅樂)의 전승 = 52
1) 산포가쿠닌(三方樂人) = 53
2) 산포가쿠소(三方樂所) = 53
3) 구나이초 가쿠부(宮內廳樂部) = 54
중세의 음악(11∼16세기 전반) = 59
서설 = 59
1. 쇼묘(聲明) = 60
2. 헤이쿄쿠(平曲) = 63
3. 시라뵤시(白拍子) = 65
4. 소가(早歌) = 66
5. 구세마이(曲舞)·고와카마이(幸若舞) = 67
6. 사루가쿠(猿樂)·슈시(呪師)·시키산방(式三番) = 69
7. 노(能) = 71
8. 교겐(狂言) = 77
9. 고우타(小歌) = 80
근세의 음악(16세기 후반∼19세기) = 83
서설 = 83
1) 근세 호가쿠(邦樂)의 분류와 계통 = 84
2) 근세 호가쿠(邦樂)에 사용되는 악기 = 85
비극장음악 = 90
1. 소쿄쿠(箏曲) = 92
1) 고토(箏)의 전래에서 쓰쿠시류 소쿄쿠(筑紫流箏曲)의 성립까지 = 92
2) 야쓰하시 켄교(八橋檢校)에 의한 소쿄쿠(箏曲)의 수립 = 93
3) 이쿠타류 소쿄큐(生田流箏曲) = 94
4) 고토(箏)의 단모노(段物)와 구미우타(組歌) = 95
5) 야마다류 소쿄쿠(山田流箏曲) = 96
6) 순(純) 소쿄쿠(箏曲)의 부흥 = 97
7) 메이지(明治)시대 이후의 소쿄쿠(箏曲) = 99
2. 비와(琵琶)음악 = 102
1) 사쓰마 비와(薩摩琵琶) = 102
2) 치쿠젠 비와(筑前琵琶) = 103
3. 샤미센음악(三味線琵琶) = 104
1) 지우타(地歌) = 105
2) 오기에부시(荻江節) = 111
3) 우타자이몬(歌祭文) = 113
4) 소가곡 = 114
4. 샤쿠하치음악(尺八音樂) = 118
1) 샤쿠하치(尺八)의 종류 = 118
2) 후케 샤쿠하치(普化尺八) = 119
3) 메이지(明治)시대 이후 = 121
4) 악기·악곡 = 121
극장음악 = 124
5. 조루리(淨瑠璃)의 흐름 = 124
1) 고조루리(古淨瑠璃) = 124
2) 기다유부시(義太夫節) = 125
6. 셋쿄(說經) = 128
7. 가부키(歌舞伎)의 조루리(淨瑠璃) = 128
1) 잇추부시(一中節) = 128
2) 가토부시(河東節) = 129
3) 오자쓰마부시(大薩摩節) = 129
4) 분고부시(豊後節) = 130
5) 후지마쓰부시(富士松節) = 131
6) 쓰루가부시(鶴賀節)(신나이부시(新內節)) = 132
7) 도키와즈부시(常磐津節) = 132
8) 도미모토부시(富本節) = 134
9) 기요모토부시(淸元節) = 135
10) 소노하치부시(원八節)(미야조노부시(宮원節)) = 135
11) 시게타유부시(繁太夫節) = 136
8. 나가우타(長唄) = 136
1) 나가우타(長唄) 이전의 가부키(歌舞伎)무용의 노래 = 138
2) 가미가타(上方) 시바이우타(芝居歌)의 에도(江戶) 진출 = 138
3) 우타조루리(唄淨瑠璃)와 메리야스 = 138
4) 헨게모노(變化物) = 139
5) 조루리(淨瑠璃)의 가케아이모노(掛合物) = 140
6) 오자시키 나가우타(お座敷長唄) = 141
7) 오자쓰마모노(大薩摩物) = 142
8) 요쿄쿠모노(謠曲物) = 142
9) 메이지(明治)시대 이후 = 142
일본음악의 역사와 이론(이론편) = 145
음소재 - 일본음악에 사용되는 목소리(聲)와 악기의 음색 = 147
1. 악음(樂音)과 조음(조音) = 148
2. 음색 = 149
3. 목소리의 음색(발성법) = 150
4. 악기의 음색 = 153
음조직 - 일본음악의 음계와 조의 구조 = 155
1. 음률 = 156
1) 12율 = 156
2) 평균율과 순정조 = 157
3) 삼분손익 = 158
4) 실용음률 = 160
2. 음계 = 162
1) 주음과 핵음 = 163
2) 협(狹)음계 = 164
3) 테트라코드 = 165
4) 테트라코드의 결합구조 = 169
5) 옥타브음계 = 170
6) 음계의 분류 = 172
7) 테트라코드의 혼합(전조) = 173
8) 전통적 음계론 = 177
3. 선법 = 180
리듬과 악식 - 음악의 시간적 변화 측면에서 본 특색 = 185
1. 유박과 무박 = 186
1) 오이와케(追分) 리듬 = 186
2) 무박의 리듬 = 189
2. 박절 = 190
1) 빗방울 박자 = 190
2) 2박자의 원리 = 191
3) 2박자 외의 박절 = 195
3. 악식 = 198
1) 악구의 구성과 결합 = 198
2) 전통적 악식이론 = 202
3) 서(序)·파(破)·급(急) = 205
일본음악관계연표 = 209
참고문헌·참고시청각자료 일람(1995년 현재) = 217
찾아보기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