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發刊辭
序文
제Ⅰ부 교장의 역할과 학교경영
제1장 학교경영과 학교장 = 3
1. 학교경영의 개념 및 영역 = 4
2. 학교조직의 특수성 = 8
3. 학교경영의 원리 = 11
4. 학교경영 중심축으로서의 학교장 = 15
제2장 학교 경영이론의 발전 = 25
1. 과학적 관리론 = 26
2. 인간관계론 = 31
3. 행동과학적 접근 = 32
4. 체제접근 = 33
제3장 학교장의 역할과 직무 = 41
1. 학교장의 관점과 시각 = 42
2. 학교장의 역할과 직무의 접근 = 45
3. 학교장의 역할관계 모형 = 49
4. 21세기 학교장의 역할 = 55
제Ⅱ부 교장론의 기초
제4장 협상이론 = 65
1. 협상의 개념 = 66
2. 협상의 원리 = 67
3. 교장과 단체교섭 = 70
제5장 동기이론 = 77
1. 동기의 개념 = 78
2. 동기의 내용이론 = 79
3. 동기의 과정이론 = 88
제6장 의사소통론 = 99
1. 의사소통의 개념과 기능 = 100
2. 의사소통의 과정 = 101
3. 의사소통의 유형 = 105
4. 효과적인 의사소통 = 108
제7장 의사결정론 = 111
1. 의사결정의 개념 = 112
2. 의사결정의 모형 = 113
3. 의사결정의 과정 = 116
4. 학교경영과 의사결정 = 120
제8장 지도성론 = 127
1. 지도성의 기능과 역할 = 128
2. 지도성 이론 = 130
3. 지도성 유형 = 135
4. 지도성 발휘 = 138
5. 교육 지도성 = 145
제9장 인간관계론 = 149
1. 인간관계 필요성 = 150
2. 학교조직의 특성과 인간관계 = 151
3. 인간관계론의 영향과 비판 = 152
4. 학교조직에서의 인간관계 = 155
제Ⅲ부 학교경영의 영역과 교장의 역할
제10장 교육목표 관리 = 167
1. 학교 교육목표 및 방침 설정 = 169
2. 학교 교육목표 관리 활동 = 176
제11장 학교 조직관리 = 183
1. 학교운영체제의 정비 = 184
2. 학교조직의 발전 = 187
3. 학교경영조직 편성·운영의 기준 = 191
4. 학교조직의 설계 영역 = 192
제12장 교육과정 관리 = 203
1. 교육과정 편성 = 204
2. 학교 교육과정 개발 = 207
3. 교육과정 관리 요소 = 212
4. 교육과정 운영 = 217
제13장 교내장학 = 227
1. 장학의 발전 = 228
2. 장학의 개념과 기능 = 230
3. 교내 장학의 특성 = 232
4. 교내 장학의 영역 = 233
5. 교내 장학의 형태 = 236
6. 교내 장학의 활성화 = 238
제14장 인사관리 = 243
1. 인사관리의 개념 및 원칙 = 244
2. 인사관리의 주요 영역 = 247
3. 인사행정 책임자로서의 학교장 = 255
제15장 학생관리 = 259
1. 학생관리의 철학과 시각 = 261
2. 학생관리의 기법과 이론 = 265
3. 사이버 공간의 청소년 문화의 이해와 관리 = 270
4. 학생관리의 체제적 접근과 전략 = 273
5. 학생관리의 사례 및 대책 = 278
제16장 사무관리 = 283
1. 사무관리의 의의 = 284
2. 사무관리의 원칙과 주요 개념 = 285
3. 공문서의 종류와 문서의 효력 = 287
4. 문서의 기안과 결재 = 288
5. 문서의 접수·처리와 관인 관리 = 291
6. 사무자동화 = 291
제17장 시설관리 = 295
1. 시설관리의 시각과 관점 = 296
2. 시설관리의 절차 = 297
3. 교수학습 패턴의 변화와 학교시설의 현대화 = 301
4. 시설관리의 진단과 처방의 패러다임 = 303
5. 시설관리 운영규정과 시설 설비 확보 = 306
6. 관련법규 이해와 교육환경 조성 = 308
제18장 재무관리 = 313
1. 재무관리의 성격 = 314
2. 학교 예산회계제도의 의의와 주요 원리 = 315
3. 예산·결산 및 수입 = 320
4. 교육재정 구조 = 331
5. 재무관리 기법 및 관련 개념 = 335
6. 학교재산 관리와 물품관리 = 338
7. 예산총액 배분방식의 관리평가 방안 = 342
제19장 지역사회관계 관리 = 347
1. 지역사회관리의 의의 = 348
2. 학교경영과 지역사회 관계의 필요 = 349
3. 학교-지역사회 관계의 영역 = 357
4. 가정, 지역사회와의 유대관계의 방안 = 361
제Ⅳ부 학교장과 학교경영 혁신의 동향
제20장 학교의 재구조화 = 377
1. 학교 재구조화의 배경 = 378
2. 학교 재구조화의 개념 = 382
3. 재구조화의 기본 가정 = 386
4. 재구조화의 변인 = 390
5. 재구조화의 주요 전략 = 398
제21장 학교단위 책임경영제 = 403
1.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의 개념 = 405
2. 책임경영제의 필요 및 의의 = 407
3. 의사결정 기구 및 영역 = 412
4. 책임경영제의 운영 형태 = 413
5. 책임경영제의 전략과 과제 = 415
제22장 학교 선택제 = 427
1. 학교 선택제의 개념 = 428
2. 학교 선택제의 필요성 = 429
3. 학교 선택제와 교육개혁 = 432
4. 학교 선택제 모형 = 435
5. 한국의 학교 선택제 운영 = 442
6. 학교 선택제의 발전 = 446
제23장 헌장학교 = 451
1. 헌장학교 발달의 배경 = 452
2. 헌장학교의 개념 = 454
3. 헌장학교의 설립과 운영 = 456
4. 헌장학교의 자율성 = 458
5. 헌장학교의 책무성 = 460
6. 학교개혁에 미친 영향 = 461
7. 학교개혁에의 시사 = 465
제Ⅴ부 학교장과 학교경영의 발전
제24장 학교경영학신의 방법과 절차 = 473
1. 학교경영혁신의 필요성 = 474
2. 학교경영혁신의 대상 영역 = 479
3. 학교경영혁신의 접근 방법 = 483
4. 학교경영혁신의 전략적 접근 방법 = 487
제25장 학교경영혁신과 학교경영자 = 493
1. 21세기 교육의 방향 전환 = 494
2. 학교교육 혁신 동향 및 시사점 = 498
3. 학교교육 혁신의 과제 = 507
4. 학교교육 혁신을 위한 학교장의 자세 = 511
5. 학교경영자의 전략적 사고와 경영혁신 기법 = 516
제26장 미래 학교교육의 모습과 학교장 상 = 525
1. 미래사회의 전망과 교육에의 시사 = 526
2. 미래 학교교육의 모습 = 531
3. 이상적인 학교장 상 = 534
찾아보기(용어) = 549
찾아보기(인명) = 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