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新稿)文學槪論

(新稿)文學槪論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구인환 구창환, 공저.
서명 / 저자사항
(新稿)文學槪論 / 丘仁煥 ; 丘昌煥 共著.
발행사항
서울 :   三知院 ,   1995.  
형태사항
640 p. ; 23 cm.
ISBN
8974908018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539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55401
005 20100806122212
007 ta
008 031210s1995 ulk 001a kor
020 ▼a 8974908018 ▼g 93800 : ▼c \14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92023401
082 0 4 ▼a 801 ▼2 21
090 ▼a 801 ▼b 1995h
100 1 ▼a 구인환 ▼0 AUTH(211009)100349
245 2 0 ▼a (新稿)文學槪論 / ▼d 丘仁煥 ; ▼e 丘昌煥 共著.
260 ▼a 서울 : ▼b 三知院 , ▼c 1995.
300 ▼a 640 p. ; ▼c 23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구창환, ▼e 공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801 1995h 등록번호 192023401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구인환(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한국현대소설 연구회 회장 문학과 문학교육연구소 소장 한국소설가 협회 대표위원 주요 작품집 <동굴 주변> 외 140여 편(이상 중.단편). 《움트는 겨울》,《일어서는 산》,《별들의 영가》, 《불타는 서울》 외 다수(이상 장편). 《산정의 신화》,《벽에 갇힌 절규》, 《숨쉬는 영정》(이상 소설집). 저서 《문학개론》,《한국근대소설연구》, 《이광수소설연구》, 《근대문학의 형성과 현실인식》등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文學의 領域과 文學硏究

 제1절 文學의 領域

  Ⅰ. 문학의 世界 = 16

  Ⅱ. 世界認識과 生活感情 = 17

  Ⅲ. 文學的 形象化 = 21

 제2절 文學硏究와 學習

  Ⅰ. 문학과 문학연구 = 24

  Ⅱ. 문학연구의 方法 = 27

   (1) 歷史主義批評 = 28

   (2) 形式主義批評 = 30

  Ⅲ. 문학연구의 學習 = 33

제2장 文學의 一般理論

 제1절 文學의 起源

  Ⅰ. 문학의 기원에 관한 여러 學說 = 38

   (1) 心理學的 起源說 = 38

   (2) 發生學的 起源說 = 40

   (3) 발라드 댄스說 = 42

  Ⅱ. 원시연술의 分化發展 = 44

 제2절 文學의 本質

  Ⅰ. 문학의 定義 = 46

   (1) 文學의 字義 = 46

   (2) 文學을 定義하는 方法 = 47

   (3) 文學定義 세련 = 49

  Ⅱ. 문학의 機能 = 51

   (1) 文學의 敎示的 權能 = 52

   (2) 文學의 快樂的 機能 = 55

   (3) 文學의 綜合的 機能 = 57

  Ⅲ. 문학의 文學性 = 61

   (1) 文學의 情緖 - 普遍性과 個性 = 61

   (2) 文學的 創造 - 想像 = 69

   (3) 文學의 思想性 - 文學의 哲學 = 74

   (4) 文學의 形式 = 78

  Ⅳ. 문학의 장르 = 84

   (1) 장르의 槪念 = 84

   (2) 장르의 區分 = 89

  Ⅴ. 文學의 創作과 受容 = 97

   (1) 作家 = 98

   (2) 作品 = 101

   (3) 讀者 = 105

   (4) 文學커뮤니케이션 = 109

 제3절 文學의 內的 論理

  Ⅰ. 문학의 藝術性과 非藝術性 = 113

   (1) 文學의 藝術性 검토의 필요성 = 113

   (2) 文學의 藝術性과 非藝術性 = 114

  Ⅱ. 문학의 構造

   (1) 構造의 槪念 = 118

   (2) 文學의 美的 構造 = 122

   (3) 文學的 構造의 層位 = 127

  Ⅲ. 문학의 言語 = 136

   (1) 文學과 言語 = 136

   (2) 文學言語와 文體 = 146

   (3) 表現의 文體論 = 149

   (4) 個人의 文體論 = 153

   (5) 文體論의 方向 = 157

  Ⅳ. 문학의 텍스트 = 159

   (1) 텍스트의 개념 = 159

   (2) 텍스트 개념의 확장 = 161

   (3) 意味論的 국면 = 164

   (4) 統辭的 국면 = 166

 제4절 文學의 外的 論理

  Ⅰ. 문학과 個人 = 172

   (1) 文學과 傳記 = 173

   (2) 文學과 心理學 = 180

  Ⅱ. 문학과 社會 = 189

   (1) 文學과 反映論 = 190

   (2) 文學과 政治 = 195

   (3) 文學과 讀者 = 199

   (4) 文學과 敎育 = 202

   (5) 文學과 民俗 = 206

  Ⅲ. 문학과 道德 및 여러 觀念 = 208

   (1) 文學과 道德 = 208

   (2) 文學과 宗敎 = 211

   (3) 文學과 思想 = 213

  Ⅳ. 문학과 文學史 = 215

   (1) 文學史의 記述 = 215

   (2) 文學史 方法論 = 219

 제5절 文學의 統合的 論理

  Ⅰ. 문학현상의 統合性 = 224

  Ⅱ. 文學的 具現의 통합성 = 229

제3장 時의 理論

 제1절 時의 本質

  Ⅰ. 時의 定義 = 236

   (1) 東洋의 시정의 = 236

   (2) 西歐의 시정의 = 237

   (3) 韓國의 시정의 = 238

  Ⅱ. 시의 特性 = 240

   (1) 情緖와 想像 = 241

   (2) 韻律的·內包的 언어 = 242

   (3) 壓縮된 形式美 = 224

   (4) 人生과 體驗 = 245

 제2절 시의 構成要素

  Ⅰ. 시어 = 247

   (1) 內包的·含蓄的 言語 = 248

   (2) 美化·洗鍊된 情緖的 言語 = 249

  Ⅱ. 시의 리듬 = 251

   (1) 律格과 리듬 = 252

   (2) 韻律의 종류 = 253

   (3) 外形律의 종류 = 254

   (4) 韓國時의 리듬 = 256

  Ⅲ. 시의 이미지 = 259

   (1) 이미지의 特性 = 259

   (2) 이미지의 種類와 효과 = 260

  Ⅳ. 시의 표현技巧 = 263

   (1) 詩的 比喩 = 264

   (2) 象徵 = 275

   (3) 그 밖의 表現技巧 = 279

  Ⅴ. 시의 形態] = 282

  Ⅵ. 시의 주제 = 286

   (1) 主題의 形象化 = 287

   (2) 主題의 內容 = 288

 제3절 詩의 種類

  Ⅰ. 시 형태상의 種類 = 291

   (1) 定型試 = 291

   (2) 自由詩 = 292

   (3) 散文詩 = 293

  Ⅱ. 시 내용상의 種類 = 291

   (1) 敍情詩 = 294

   (2) 敍事詩 = 297

   (3) 劇詩 = 298

 제4절 現代詩의 특질

  Ⅰ. 현대시의 경향 = 300

  Ⅱ. 현대시의 기교 = 302

   (1) 自動記述法 = 302

   (2) 엘리어트의 객관적 상관물 = 303

   (3) 신비평 = 304

제4장 小說의 理論

 제1절 小說의 起源

  Ⅰ. 서사시와 小說의 起源 = 310

  Ⅱ. 로맨스와 小說의 起源 = 311

  Ⅲ. 근대소설의 출발 = 313

  제2절 小說의 本質

  Ⅰ. 소설의 定義 = 315

  Ⅱ. 소설의 特性 = 317

   (1) 虛構의 世界 = 317

   (2) 眞實性 있는 人生表現 = 319

   (3) 人間探究와 人生表現 = 320

   (4) 形式美와 藝術的인 技巧 = 321

  Ⅲ. 소설의 目的 = 322

   (1) 作家 자신을 위한 表現 = 322

   (2) 小說의 여러 機能 = 324

   (3) 小說의 참다운 機能 = 325

 제3절 小說의 構成要素

  Ⅰ. 소설의 구성 = 329

   (1) 플롯의 개념 = 329

   (2) 플롯의 段階 = 333

   (3) 플롯의 類型과 進行 = 336

   (4) 視點 = 340

   (5) 距離와 토운 = 346

  Ⅱ. 소설의 인물 = 348

   (1) 實際人物과 作中人物과의 관계 = 349

   (2) 人物의 類型 = 351

   (3) 人物의 設定方法 = 355

  Ⅲ. 소설의 배경 = 359

   (1) 自然的 背景 = 361

   (2) 社會的 背景 = 361

   (3) 心理的 背景 = 364

   (4) 狀況的 背景 = 364

  Ⅳ. 소설의 문체 = 365

   (1) 文學과 文體 = 365

   (2) 小說의 文體 = 366

   (3) 小說文體의 要素 = 367

  Ⅴ. 소설의 주제 = 371

   (1) 主題의 意味 = 371

   (20 主題의 設定方法 = 373

   (3) 現代小說의 主題 = 375

 제4절 소설의 종류

  Ⅰ. 디보데의 분류 = 378

   (1) 總體小說 = 379

   (2) 被動小說 = 379

   (3) 能動小說 = 380

  Ⅱ. 뮤어의 분류 = 380

   (1) 性格小說 = 380

   (2) 劇的小說 = 381

   (3) 年代記小說 = 382

  Ⅲ. 프라이의 분류 = 383

   (1) 노벨 = 383

   (2) 로맨스 = 384

   (3) 告白 = 385

   (4) 解剖 = 385

  Ⅳ. 단편과 장편 = 386

   (1) 短篇小說 = 386

   (2) 長篇小說 = 389

 제5절 近代小說과 現代小說

  Ⅰ. 근대소설의 特性 = 392

   (1) 近代小說의 경향 = 392

   (2) 자연주의적 리얼리즘 = 393

  Ⅱ. 현대소설의 主潮 = 394

   (1) 心理主義的 리얼리즘 = 395

   (3) 實存主義的인 狀況小說 = 397

   (3) 戰後文學의 抵抗小說 = 399

제5장 戱曲의 理論

 제1절 戱曲의 本質

  Ⅰ. 희곡과 다른 문학 = 402

   (1) 戱曲의 性格 = 402

   (2) 다른 文學과의 관계 = 404

  Ⅱ. 희곡의 效用과 컨벤션 = 406

   (1) 드라마의 效用 = 406

   (2) 드라마의 컨벤션 = 408

  Ⅲ. 희곡의 특질 = 412

   (1) 舞臺上演의 문학 = 413

   (2) 行動의 문학 = 413

   (3) 臺詞의 문학 = 414

   (4) 현재화된 人生表現 = 415

 제2절 희곡의 構成要素

  Ⅰ. 희곡의 人物 = 417

   (1) 집중화되고 압축된 人物 = 417

   (2) 개성적이면서도 典型的 人物 = 418

   (3) 葛藤과 意志의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 = 418

   (4) 對話와 行動에 의한 人物設定 = 419

  Ⅱ. 희곡의 行動 = 420

   (1) 劇的 行動 = 420

   (2) 劇的 效果 = 423

  Ⅲ. 희곡의 臺詞 = 424

   (1) 성격을 나타내고 플롯을 진행시키는 對話 = 424

   (2) 그럴듯하고 자연스러운 對話 = 425

   (3) 집중화하고 간략한 對話 = 426

  Ⅳ. 희곡의 構造 = 426

   (1) 構造의 段階 = 428

   (2) 構造의 分析 = 432

 제3절 戱曲의 種類

  Ⅰ. 비극 = 436

  Ⅱ. 희극 = 440

   (1) 喜劇의 특색 = 441

   (2) 喜劇의 種類 = 442

  Ⅲ. 비희극 = 443

 제4절 戱曲의 발달

  Ⅰ. 드라마의 起源과 古代劇 = 445

  Ⅱ. 중세극과 기독교 = 477

  Ⅲ. 고전극 = 447

  Ⅳ. 근대극과 현대극 = 449

   (1) 近代劇 = 449

   (2) 現代劇 = 451

   (3) 韓國의 近代劇 = 451

제6장 隨筆의 理論

 제1절 隨筆의 槪念

  Ⅰ. 수필의 語義 = 454

  Ⅱ. 엣세이의 語義 = 456

  Ⅲ. 수필과 엣세이 = 460

  Ⅳ. 수필의 定義 = 465

 제2절 隨筆의 特性

  Ⅰ. 隨筆의 特性 = 469

   (1) 隨筆은 個性의 文學 = 470

   (2) 隨筆은 散文의 文學 = 472

   (3) 隨筆은 無形式의 文學 = 473

   (4) 隨筆은 유머·위트·批評情神의 文學 = 476

   (5) 隨筆은 題材가 多樣한 文學 = 478

   (6) 隨筆은 審美的·哲學的 價値의 文學 = 480

  Ⅱ. 수필의 領域 = 481

 제3절 隨筆의 構成要素

  Ⅰ. 수필의 제재 = 485

   (1) 題材의 槪念 = 485

   (2) 題材의 種類 = 486

  Ⅱ. 수필의 구성 = 487

   (1) 構成의 槪念 = 487

   (2) 構成의 種類 = 489

  Ⅲ. 수필의 문체 = 490

   (1) 個性的 表現의 特異性 = 491

   (2) 隨筆의 文體 = 492

  Ⅳ. 수필의 주제 = 494

 제4절 隨筆의 種類

  Ⅰ. 隨筆의 分類 = 495

   (1) 8種說 = 495

   (2) 3種說 = 496

   (3) 10種說 = 496

   (4) 2種說 = 497

  Ⅱ. 개인적 수필 = 497

  Ⅲ. 사회적 수필 = 499

 제5절 近代隨筆과 現代隨筆

  Ⅰ. 근대 이전의 수필 = 502

  Ⅱ. 근대수필 = 504

  Ⅲ. 현대수필 = 508

제7장 文學批評의 理論

 제1절 文學批評의 意義

  Ⅰ. 어의와 그 개념 = 512

   (1) 文學批評의 語義 = 513

   (2) 文學批評의 개념 = 513

  Ⅱ. 문학비평의 의의 = 514

 제2절 文學批評의 機能과 樣相]

  Ⅰ. 문학비평의 機能 = 521

   (1) 解釋 = 524

   (2) 鑑賞 = 525

   (3) 評價 = 527

  Ⅱ. 문학비평의 樣相 = 528

   (1) 原理的 批評 = 529

   (2) 實踐批評 = 531

   (3) 批評에 대한 批評 = 532

 제3절 문학비평의 類型

  Ⅰ. 문학비평의 여러 類型 = 535

   (1) 디보데(Thibaudet)의 批評類型 = 535

   (2) 프라이(N. Frye)의 批評類型 = 536

   (3) 스콧트(W. Scott)의 批評類型 = 536

   (4) 웰렉(R. Wellek)의 批評類型 = 536

   (5) 그레브스타인(S. N. Grebstein)의 批評類型 = 536

  Ⅱ. 입법비평 = 537

  Ⅲ. 심미비평 = 538

  Ⅳ. 기술비평 = 540

 제4절 文學批評의 形態

  Ⅰ. 고전비평 = 542

  Ⅱ. 근대비평 = 544

   (1) 裁斷批評 = 545

   (2) 印象批評 = 548

  Ⅲ. 현대비평 = 554

   (1) 歸納的 批評 = 554

   (2) 社會主義 批評 = 558

   (3) 精神分析的 批評 = 561

   (4) 新批評 = 565

   (5) 哲學的 批評 = 569

   (6) 神話的 批評 = 571

 제5절 現代文學批評의 傾向

  Ⅰ. 근대비평의 傾向 = 575

  Ⅱ. 현대비평의 樣相 = 578

補錄

 文藝思潮

  Ⅰ. 近代文藝思潮의 形成 = 583

   (1) 思想과 文藝思潮 = 583

   (2)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 584

   (3)文藝復興 = 587

  Ⅱ. 古典主義 = 589

   (1) 古典主義 背景 = 589

   (2) 古典主義 特色 = 590

   (3) 古典主義 作家들 = 592

  Ⅲ. 浪漫主義 = 593

   (1) 浪漫主義의 背景 = 593

   (2) 疾風, 奴濤와 世紀病 = 595

   (3) 浪漫主義의 特色 = 597

   (4) 浪漫主義 動向과 作家들 = 600

  Ⅳ. 寫實主義 = 604

   (1) 寫實主義의 대두 = 604

   (2) 寫實主義의 背景 = 606

   (3) 寫實主義의 特色 = 609

   (4) 寫實主義의 動向과 作家 = 611

  Ⅴ. 自然主義 = 614

   (1) 自然主義의 背景 = 614

   (2) 寫實主義와 自然主義 = 615

   (3) 自然主義의 發生過程 = 617

   (4) 自然主義의 特色 = 621

   (5) 自然主義의 動向과 作家들 = 622

  Ⅵ. 象徵主義 = 624

   (1) 象徵主義의 대두 = 624

   (2) 보들레르의 試圖 = 626

   (3) 象徵派詩人과 小說 = 626

   (4) 現代文學과 象徵主義 = 628

事項索引 = 62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