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1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855336 | |
005 | 20100806122038 | |
007 | ta | |
008 | 030718s2003 ulk b 000a kor | |
020 | ▼a 8980400950 ▼g 93370 : ▼c \15000 | |
035 | ▼a KRIC08835151 | |
040 | ▼a 21106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69094 ▼l 111269095 |
082 | 0 4 | ▼a 379.73 ▼2 21 |
090 | ▼a 379.73 ▼b 2003 | |
100 | 1 | ▼a Apple, Michael W. ▼0 AUTH(211009)18906 |
245 | 1 0 | ▼a 미국교육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 / ▼d 마이클 W.애플 지음 ; ▼e 성열관 옮김. |
246 | 0 3 | ▼a 학교교육의 시장화와 교육과정의 보수화 비판 |
246 | 1 9 | ▼a Educating the "right" way :|bmarkets, standards, God, and inequality |
260 | ▼a 서울 : ▼b 우리교육 , ▼c 2003. | |
300 | ▼a 42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87]-424 | |
700 | 1 | ▼a 성열관, ▼e 역 ▼0 AUTH(211009)53066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73 2003 | 등록번호 1112690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73 2003 | 등록번호 1112690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9.73 2003 | 등록번호 1512804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73 2003 | 등록번호 1112690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73 2003 | 등록번호 1112690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9.73 2003 | 등록번호 1512804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 교육은 상당부분 미국 교육에 기대고 있다. 조기 유학이나, 교육부의 교육 개혁 실태 등을 보면 미국 교육이 직수입되는 모습을 심심찮게 목격할 수 있다. 이 책은 미국 교육개혁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시장개방 교육의 정치적, 사회적, 이념적 힘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한다.
마이클 W.애플은 세계적인 교육석학으로 진보적인 교육운동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왔다. 이 책에서는 미국과정과 교육 정책의 보수화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뤘다. 즉, 학교제도가 권력유지의 중요한 메커니즘임을 밝히면서 보수집단이 어떻게 연합하여 미국 교육의 시장화와 보수화에 힘쓰는지 분석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마이클 W. 애플(지은이)
1942년생. 위스콘신 대학교 석좌교수. 교육학자가 되기 이전에 교사였으며 교원노조의 대표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이런 경험이 밑바탕이 되어 교육학자가 된 이후에도 꾸준히 교육을 정치적 맥락 속에서 위치시켜 통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진보적 지식인의 모습을 견지했으며, 교육운동과 사회 변화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 2014년에 세 번째로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다. 1989년 방문 당시 전교조 지지 발언으로 안기부의 감시와 억류를 당한 적이 있는, 한국을 특별하게 생각하는 세계적 교육 석학이다(연구실 문패에 우리말로 자기 이름까지 써두었다고 한다). 2001년 방문 때에는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의 신헤게모니 블록이 시장원리로 교육을 ‘개혁’하는 것의 문제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Ideology and Curriculum』(1979, 한국어판 제목 『교육과 이데올로기』)은 지난 100년 동안 교육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책 20권에 선정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80~1990년대 진보적 교육 영역에서 『교육과 권력』 등과 더불어 필독서 가운데 하나였다. 오랫동안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 분석에 헌신한 그는 “기존의 교육과정을 비판적인 통찰력으로 해체하고, 새로운 지식을 개발”하려는 운동을 펼치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의 강연 등 신자유주의 헤게모니 블록에 균열을 내기 위한 연대를 실천하고 있다.
성열관(옮긴이)
경희대학교 교수이며,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Curriculum & Instruction)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공저), 『국가와 공적 지식(The State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 교육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가 있다. 최근에는 여러 국제 학자들과 함께 『강한 국가와 교육과정 개혁(The Strong State and Curriculum Reform)』과 『국제 성취도평가 제도에 대한 관심을 이해하기(Understanding PISA’s Attractiveness)』 집필에 참여했다. 2008년 세계인명사전 『마르키스 후즈후(Marquis Who’s Who)』에 등재되었고, 2011년과 2017년에 한국교육학회에서 수여하는 운주논문상을 수상했다. 국내에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혁, 평가 혁신 등 한국교육의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국제적으로는 ≪Curriculum Inquiry≫, ≪Comparative Education≫, ≪International Social Work≫ ≪Oxford Review of Education≫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실었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6 1장 시장, 성취기준, 종교, 불평등 = 11 들어가며 = 12 조지프의 이야기 = 15 보수적 의제들 = 22 보수주의의 지도 그리기 = 25 경쟁하는 자유 개념 = 29 세상을 시장화하기 = 37 문화적 질서 회복하기 = 41 교회와 국가 = 44 경제와 종교 = 47 경영주의 = 53 보수적 근대화 분석하기 = 56 2장 누구의 시장, 누구의 지식인가? = 67 들어가며 = 68 신자유주의-학교교육, 선택, 민주주의 = 71 신보수주의-진정한 지식 가르치기 = 85 권위주의적 대중주의-하나님이 원하는 학교교육 = 94 전문경영자급 신중간계층-더 많이, 더 자주 시험 보기 = 100 맺으며 = 103 3장 불평등 생산하기-교육정책의 보수적 근대화 = 117 냉혹한 현실 = 118 보수로 방향 전환 = 120 새로운 시장, 낡은 전통 = 123 시장과 성취 = 127 국가 성취기준, 국가 교육과정, 국가 학력평가 = 147 교육적 선별장치 고안하기 = 157 전략적으로 사고하기 = 163 4장 위기에 처한 기독교 = 185 진화, 하나님, 죄악 = 186 세속적 위험 = 202 중심에서 주변으로 = 208 남부의 십자가 = 216 5장 종교, 도덕, 시장 = 231 하나님을 세상으로 가져오기 = 232 정치와 성직자들 = 238 미디어 성직자들 = 240 기독교 국가와 표현의 자유 = 244 신앙 없는 공립학교 = 251 인종문제의 처리 = 258 권위주의적 대중주의가 가진 느낌의 구조 = 262 어떻게 증오가 선량함으로 느껴지게 되는가? = 274 짚을 금으로 바꾸기 = 280 6장 학교를 떠나서 - 홈 스쿨링의 문화정치학 = 295 홈 스쿨링 바로 보기 = 296 악마의 위협과 가정의 방어 = 299 정부 공격하기 = 305 공과 사 = 315 맺으며 = 321 7장 틀린 것을 바로잡기 = 331 문화의 중요성 = 332 모순적인 개혁 = 337 교육개혁을 향한 인종화 = 344 도전을 대중화하기 = 356 다른 나라의 예에서 배우기 = 365 다르게 생각하기 = 367 비판적 교육학을 현실로 = 376 희망 = 378 참고문헌 = 387 옮긴이 후기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