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855317 | |
005 | 20170501120047 | |
007 | ta | |
008 | 031210s1997 ulk 001ce kor | |
020 | ▼a 8985715569 | |
035 | ▼a KRIC05142999 | |
040 | ▼a 248019 ▼c 248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114707 |
082 | 0 4 | ▼a 844.9 ▼2 21 |
085 | ▼a 844.9 ▼2 DDCK | |
090 | ▼a 844.9 ▼b T728 상a | |
100 | 1 | ▼a Tournier, Michel ▼0 AUTH(211009)126560 |
245 | 1 0 | ▼a 상상력을 자극하는 110가지 개념 / ▼d 미셸 투르니에 지음 ; ▼e 이용주 옮김 |
246 | 1 9 | ▼a Le miroir des idées |
246 | 3 9 | ▼a Miroir des idées |
246 | 3 | ▼a 상상력을 자극하는 백십가지 개념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한뜻, ▼c 1997 | |
300 | ▼a 205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용주, ▼e 역 ▼0 AUTH(211009)116854 |
900 | 1 0 | ▼a 투르니에, 미셸,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44.9 T728 상a | Accession No. 1111147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미셸 투르니에(지은이)
1924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소르본 대학교와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어린 시절부터 철학 교수가 되는 것이 꿈이었으나 스물다섯 살 때 치른 대학교수 자격시험에 실패한 후 에리히 레마르크 등 독일 문학 작품 번역에 몰두하였다. 1954년부터 5년간 유럽 제1방송에서 문화 프로그램 PD로 근무하였으며, 플롱 출판사에서 10년간 문학 편집부장을 지냈다. 1967년에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를 재해석한 데뷔작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발표하면서 아카데미 프랑세즈 소설 부문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이어 20세기 최고의 전쟁 문학으로 평가받는 『마왕』을 발표하여 1970년에 공쿠르상을 수상했고, 1972년에는 공쿠르상을 심사하는 아카데미 공쿠르 종신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유럽의 정신사를 대변하는 지성인이자 증언자 미셸 투르니에는 파리 근교에서 평생 집필 활동에 전념하다 2016년 1월에 사망했다. 대표적인 소설 작품으로 『메테오르』(1975), 『가스파르, 멜쉬오르 그리고 발타자르』(1981), 『질과 잔』(1983) 등이 있으며, 산문집으로 『뒷모습』(1981), 『짧은 글 긴 침묵』(1986), 『예찬』(200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110가지 개념 읽기 = 5 1. 남자와 여자 = 15 2. 사랑과 우정 = 18 3. 돈주앙과 카사노바 = 21 4. 웃음과 눈물 = 25 5. 어린이와 청년 = 28 6. 동족결혼과 족외결혼 = 32 7. 건강과 질병 = 35 8. 황소와 말 = 38 9. 고양이와 개 = 42 10. 목욕과 샤워 = 45 11. 사냥과 낚시 = 51 12. 프로펠러와 지느러미 = 55 13. 버드나무와 오리나무 = 58 14. 동물과 식물 = 62 15. 철도와 도로 = 65 16. 피에로와 아를르캥 = 69 17. 방랑자와 정착자 = 72 18. 주인과 하인 = 76 19. 어릿광대와 백인 익살광대 = 79 20. 나무와 길 = 83 21. 소금과 설탕 = 86 22. 포크와 숟가락 = 89 23. 지하실과 다락방 = 92 24. 물과 불 = 95 25. 척추동물과 갑각류 = 98 26. 환경과 유전 = 101 27. 쾌락과 기쁨 = 104 28. 아폴로와 디오니소스 = 107 29. 공포와 번민 = 110 30. 조롱과 칭찬 = 113 31. 기억과 습관 = 116 32. 말과 글 = 119 33. 재능과 소질 = 122 34. 아름다움과 숭고함 = 126 35. 문화와 문명 = 129 36. 기호와 이미지 = 133 37. 순수성과 순진성 = 136 38. 연대기와 기상학 = 139 39. 1차성 인간과 2차성 인간 = 142 40. 시와 산문 = 145 41. 행위와 열정 = 149 42. 태양과 달 = 153 43. 영혼과 육체 = 156 44. 양과 질 = 159 45. 우측과 좌측 = 162 46. 시간과 공간 = 165 47. 표면과 깊이 = 168 48. 현실태와 가능태 = 171 49. 유개념(類槪念)과 종개념(鍾槪念) = 174 50. 여건과 구축 = 179 51. 이상주의와 사실주의 = 182 52. 선험적 추리와 귀납적 추리 = 185 53. 절대와 상대 = 189 54. 신과 악마 = 192 55. 존재와 무 = 195 역자후기 = 198 색인 =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