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역자서문
1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 3
미리보기 = 4
이론 = 4
이론과 과학 = 5
이론과 실재 = 6
이론의 구성요소 = 7
개념 = 8
가정과 일반화 = 9
이론과 연구 = 10
가설 = 10
이론과 실제 = 12
체제 시각 = 15
합리체제 : 기계모형 = 15
과학적 관리 : 그 출발 = 16
현대의 합리체제 : 구조적 관점 = 18
자연체제 : 유기적 모형 = 21
인간관계 : 그 출발 = 21
현대의 자연체제 : 인간자원 관점 = 24
개방체제 : 통합 = 26
개방체제의 주요 속성 = 29
사회체제 모형 : 기본 가정 = 32
학교사회체제의 주요 요소 = 33
구조 = 35
개인 = 36
문화 = 38
정치 = 39
환경 = 40
결과 = 41
내부 피드백 고리 = 43
외부 피드백 고리 = 43
학습하는 조직으로서의 학교 = 44
비전통적 시각의 출현 = 45
이론의 적용 = 46
요약 및 권장도서 = 49
이 책은 어떻게 사용하면 좋겠는가? = 51
각주 = 52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52
2 핵심 기술 : 학습과 교수 = 57
미리보기 = 57
학습 : 개념 정의 = 59
학습에 대한 행동적 시각 = 60
결과 = 60
강화 = 60
벌 = 62
선행조건 = 64
행동적 접근의 응용 = 66
학습목표 = 67
완전학습 = 68
지시적 교수 = 69
Rosenshine의 여섯 가지 교수 기능 = 70
지시적 교수에 대한 비판 = 71
학습에 대한 인지적 시각 = 72
지식과 학습 = 73
정보처리 모형 = 75
감각기억 = 77
작동기억 = 78
용량과 내용 = 78
작동기억의 정보 보유 = 79
장기기억 = 80
장기기억의 용량과 지속 = 80
장기기억의 내용 = 80
장기기억의 정보저장과 인출 = 83
장기기억으로부터의 정보인출 = 85
망각과 장기기억 = 86
초인지, 조절, 개인차 = 87
초인지와 조절 = 87
초인지의 개인차 = 88
인지적 접근의 응용 = 88
밑줄 긋기와 돋보이게 하기 = 90
노트필기 = 90
시각적 도구 = 91
기억술 = 92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 93
구성주의 유형 = 93
합리적 구성주의 = 94
급진적 구성주의 = 95
변증법적 구성주의 = 95
지식 : 정확성 대 유용성 = 96
상황적 학습 = 97
구성주의적 접근의 응용 = 99
탐구와 문제중심학습 = 100
인지적 도제제 = 102
협동학습 = 103
지그쏘우(Jigsaw) = 104
각본협동 = 104
이론의 적용 = 107
요약 = 108
각주 = 110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111
3 학교 구조 = 115
미리보기 = 115
Weber의 관료제 모형 = 116
분업과 전문화 = 116
非情 지향성 = 117
권위의 위계 = 117
규칙과 규정 = 118
경력 지향성 = 118
효율성 = 118
이상적 형태 = 119
Weber의 관료제 모형 비판 = 119
모형의 순기능과 역기능 = 120
규칙의 순기능과 역기능 = 121
비공식적 조직에 대한 무관심 = 125
비공식적 조직의 발전 = 125
학교 상황에서의 가설적인 예 = 126
관료제 모형의 이중적 구조 = 131
패미니스트의 관료제 비판 = 132
Hirschhorn의 후현대적 비판 = 133
기타 관료적 병폐 = 137
소외 = 137
지나친 순응 = 138
무반응 = 139
냉혹 = 140
두 가지 관료제 유형 = 142
학교의 공식적 구조 = 144
Hall의 관료적 구조 = 145
조직 유형 = 145
학교 구조의 변화 = 148
Mintzberg의 구조 이론 = 151
조정기제 = 151
기본 부분 = 152
Mintzberg 시각의 학교 적용 = 154
이완결합의 시각 = 162
전문적 갈등과 관료적 갈등 = 166
학교의 전문 지향과 관료 지향 = 168
이론의 적용 = 171
요약 및 추천 도서 = 173
각주 = 175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176
4 학교 구성원 = 181
미리보기 = 181
욕구 = 182
욕구의 위계 = 184
욕구와 근로자 만족 = 189
성취욕구 = 191
자율욕구 = 193
목적 = 195
목적설정 이론 = 196
신념 = 200
인과관계에 대한 신념 : 귀인이론 = 201
인과관계 차원 = 201
능력에 대한 신념 = 204
공정성에 대한 신념 : 공평성 이론 = 206
결과에 대한 신념 : 기대이론 = 208
능력에 대한 신념 : 자기-효능감 이론 = 212
자기-효능감의 발전 = 213
교사 효능감 = 216
교사 효능감 모형 = 217
집단적 교사 효능감 모형 = 219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225
외재적 동기의 응용 : 성과급 = 227
연구와 평가 = 227
기타, 외재적 동기의 응용 : 목표관리(MBO) = 228
연구와 평가 = 230
내재적 동기의 응용 : 직무-특성 모형 = 232
연구와 평가 = 234
통합적 접근 : 교사들의 경력계단 = 236
연구와 평가 = 239
이론의 적용 = 241
요약 및 추천도서 = 244
각주 = 245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246
5 학교 문화와 풍토 = 249
미리보기 = 249
조직문화 = 250
조직문화의 정의 = 251
조직문화의 수준 = 252
공유된 규범으로서의 문화 = 253
공유된 가치로서의 문화 = 254
암묵적 가정으로서의 문화 = 257
분석의 수준 = 259
문화의 기능 = 260
문화의 유형 = 260
문화의 공통 요소 = 262
학교문화 = 263
학교문화에 관한 연구 = 267
조직풍토 = 269
조직풍토의 정의 = 269
교사-교장의 행동 : 개방에서 폐쇄까지 = 271
최초OCDQ에 대한 비판 = 271
개정된 초등학교용 OCDQ = 272
개방풍토 = 275
몰입풍토 = 276
일탈풍토 = 276
폐쇄풍토 = 277
OCDQ : 일부 연구결과 = 278
조직 역동성 : 건강에서 불건강으로 = 279
조직건강 조사표(OHI) = 281
건강한 학교풍토 = 284
건강하지 못한 학교풍토 = 285
중등 및 초등학교용 건강 조사표 = 285
OHI : 일부 연구결과들 = 286
학생통제지향성 : 보호감독주의에서 인본주의로 = 288
보호감독적 학교풍토 = 289
인본주의적 학교풍토 = 289
학생-통제이념(PCI) 형 = 290
PCI : 일부 연구결과들 = 290
문화 혹은 풍토 : 비교 = 292
학교 문화와 풍토의 변화 = 293
임상적 전략 = 294
성장중심 전략 = 296
규범-변화 전략 = 296
이론의 적용 = 299
요약 및 추천도서 = 301
각주 = 302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303
6 학교 권력과 정치 = 307
미리보기 = 307
권위의 근원 : 합법적 권력 = 309
학교의 권위와 행정행동 = 311
권력의 근원 = 315
권력의 행정적 사용 = 318
권력에 대한 Mintzberg의 시각 = 321
권력 시각의 비교와 종합 = 324
권력과 합리성 : 비판적 관점 = 326
조직권력과 정치 = 331
외부 연합 = 331
내부 연합 = 332
권력게임 = 334
정치적 전술 = 335
정치게임 = 338
갈등 관리 = 344
이론의 적용 = 348
요약 및 추천 도서 = 351
각주 = 353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353
7 학교의 외부 환경 = 357
미리보기 = 357
정보 시각 = 361
정보 환경의 유형학 = 361
환경의 불확실성 = 363
정보 시각의 연구와 평가 = 364
자원-의존 시각 = 366
자원 의존 시각에 대한 연구와 평가 = 368
정보와 자원 환경의 관리 = 370
내부 대응 전략 = 370
조직간 대응 전략 = 376
제도적 시각 = 380
개념적 토대 = 382
순응과 제도적 환경 = 383
교육의 다양성과 복합적인 제도적 환경 = 385
안정성과 제도적 환경 = 386
제도적 시각에 대한 연구와 평가 = 387
제도적 환경의 관리 = 390
완충 전략 = 391
경계 연결 전략 = 392
정책결정과 교육 환경의 변화 = 394
이론의 적용 = 397
요약 및 추천 도서 = 399
각주 = 400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400
8 학교의 효과성과 질 = 403
미리보기 = 403
학교의 조직 효과성 = 405
목적 모형 = 406
목적의 유형 = 406
가정과 일반화 = 407
목적 접근에 대한 비판 = 408
체제-자원 모형 = 408
가정과 일반화 = 409
체제-자원 접근의 비판 = 410
목적 모형과 체제-자원 모형의 통합 = 410
시간 = 411
다양한 후원자 = 412
복합적 기준 = 413
시간, 다양한 후원자, 및 복합적 기준의 통합 : 목적과 체제-자원 모형 = 415
세 가지 결과 기준 = 416
학업 성취 = 416
투입-산출 연구 = 416
투입-전환-산출 연구 = 419
학교장의 영향 = 422
직무 만족 = 423
정의 = 424
상황적 직무만족 모형 = 424
조직 효과성의 인지 = 426
학교의 질 = 429
총체적 질 관리(TQM) = 429
이론, 연구, 실제 : 몇 가지 관찰 = 433
이론의 적용 = 435
요약 및 추천 도서 = 435
각주 = 437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438
9 학교 의사결정 = 441
미리보기 = 441
고전적 모형 : 최적화 전략 = 442
행정적 모형 : 만족화 전략 = 443
기본 가정 = 443
의사결정 과정 : 행위 싸이클 = 447
단계 1. 문제 혹은 쟁점의 인식과 정의 = 448
단계 2. 현재 상황의 난제 분석 = 450
단계 3. 만족스러운 해결을 위한 기준 설정 = 452
단계 4. 행위 계획 혹은 전략 개발 = 452
단계 5. 행위 계획의 시행 = 458
점진적 모형 : 계속적 제한 비교의 전략 = 460
혼합-탐지 모형 : 적응적 전략 = 462
상황에 맞는 전략 = 466
쓰레기통 모형 : 비합리적 의사결정 = 467
Janis-Mann의 갈등 이론 : 의사결정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성 = 470
의사결정의 참여 = 473
Hoy-Tarter의 참여적 의사결정 모형 = 475
수용 영역 : 그 중요성과 결정 = 475
신뢰와 상황 = 477
의사결정 구조 = 479
지도자 역할 = 480
종합 : 참여적 의사결정 모형 = 481
집단적 의사결정의 주의점 : 집단사고 = 484
집단사고의 촉진조건 = 485
집단사고 피하기 = 486
이론의 적용 = 487
요약 및 추천 도서 = 490
각주 = 492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494
10 학교 의사소통 = 497
미리보기 = 497
의사소통에 대한 이론적 접근 = 499
의사소통 과정의 일반 모형 구성요소 = 502
일방향 의사소통 = 502
양방향 의사소통 = 504
의사소통 채널 : 상징 교환의 방법 = 507
의사소통 과정의 출처 : 발신자와 수신자 = 513
피드백 = 514
전후관계 속의 의사소통 = 515
의사소통에 대한 조직적 시각 = 518
조직 의사소통과 네트워크 = 518
학교조직의 의사소통 목표 = 521
학교의 공식적 의사소통 네트워크 = 522
학교의 비공식적 의사소통 네트워크 = 525
보완적 네트워크 : 공식적 및 비공식적 의사소통 = 527
내용 = 527
방향 = 528
외부 환경과 조직 의사소통 = 531
의사소통 과정의 개선 = 532
이론의 적용 = 538
요약 및 추천 도서 = 542
각주 = 542
주요 개념과 아이디어 = 543
11 학교 리더십 = 547
미리보기 = 547
리더십의 정의 = 548
행정 업무의 본질 = 551
특성과 리더십 = 552
초기 특성 연구 = 553
리더십 특성에 대한 최근의 시각 = 553
상황과 리더십 = 557
행동과 리더십 = 558
오하이오 주립대학과 관련 리더십 연구 = 559
지도자 행동에 대한 최근의 시각 = 560
리더십 효과 = 562
상황 적응적 리더십 모형 = 563
최소선호 동료 이론 = 564
리더십 대체 모형 = 567
개정된 경로-목적 이론 = 568
리더십 시각의 변화 = 571
새로운 리더십 = 572
카리스마적 리더십 = 572
House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 573
카릭스마적 리더십의 상황적 요인 = 575
연구와 평가 = 577
변혁적 리더십 = 577
변혁적 리더십의 상황적 요인 = 581
연구와 평가 = 582
학교 리더십의 개선 = 584
미래 지도자 교육 = 584
평가센터를 통한 새 행정가 선발 = 586
새로운 직위의 인수 : 승계 = 587
선발과정 = 587
승계의 이유 = 588
출신배경 = 588
행위 위임 = 589
상황공학 = 590
학교 변형과 문화 강화 = 590
이론의 적용 = 592
요약 및 추천도서 = 593
각주 = 594
주요개념과 아이디어 = 595
12 종합결론 = 599
종합모형 = 599
학교 구조 = 600
학교 구성원 = 601
학교 문화와 풍토 = 602
학교 권력과 정치 = 604
교수와 학습 = 605
학교의 외부 환경 = 606
학교의 효과성과 질 = 608
피드백 고리 = 608
학교 의사결정 = 609
학교 의사소통 = 610
학교 리더십 = 610
행정적 행동 = 611
조직 딜레마 = 612
조정과 의사소통 = 612
관료적 기율과 전문적 지식 = 613
행정 계획과 개인의 창의 = 614
행동과 인식으로서의 학습 = 615
이론의 적용 = 617
결론 = 620
참고문헌 = 621
찾아보기 = 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