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70n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00851807 | |
005 | 20100806105253 | |
007 | ta | |
008 | 031205s2002 ulk 000a kor | |
035 | ▼a KRIC08630757 | |
040 | ▼a 224004 ▼c 224004 ▼d 211009 | |
049 | 1 | ▼l 111264997 |
082 | 0 4 | ▼a 089.97 ▼2 21 |
090 | ▼a 089.97 ▼b 2002e ▼c 5 | |
110 | ▼a 방목기념사업회, ▼e [편] | |
245 | 1 0 | ▼a 邦牧 兪尙根 全集. ▼n 5 : ▼p 敎育行政의 理論과 實際, 法學通論 / ▼d 邦牧紀念事業會 [編]. |
260 | ▼a 서울 : ▼b 방목기념사업회 , ▼c 2002. | |
300 | ▼a 1책(면수복잡) ; ▼c 23 cm. | |
500 | ▼a '敎育行政의 理論과 實際' (明知大學行政學會, 1967)과 '法學通論' (明知大學出版部, 1994)을 수록한 것임 | |
500 | ▼a 부록수록 | |
500 | ▼a 共著者: 兪尙根, 黃聖秀, 愼斗範 | |
600 | 1 4 | ▼a 유상근 ▼c 방목 ▼d 1922-1992 |
700 | 1 | ▼a 유상근, ▼e 저 ▼0 AUTH(211009)53027 |
700 | 1 | ▼a 황성수, ▼e 저 |
700 | 1 | ▼a 신두범, ▼e 저 ▼0 AUTH(211009)81096 |
740 | ▼a 법학통론 | |
740 | ▼a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 |
950 | 1 | ▼a 비매품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 Call Number 089.97 2002e 5 | Accession No. 1112649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089.97 2002e 5 | Accession No. 1511292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 Call Number 089.97 2002e 5 | Accession No. 1112649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089.97 2002e 5 | Accession No. 1511292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總說 Ⅰ. 민주주의와 교육 = 1 1. 민주주의의 전제로서의 교육 = 1 2. 民主主義의 理論的 實際的 要求로서의 敎育 = 3 3. 後進國家에 있어서의 社會敎育 = 5 Ⅱ. 우리나라 憲法에 表現된 民主主義 原理 = 8 1. 憲法前文에 나타난 民主主義 原理 = 8 2. 國民主權主義의 採擇 = 9 3. 法治主義 採擇 = 9 4. 三權分立制度의 採擇 = 9 5. 政治的 民主主義의 採擇 = 10 6. 經濟的 民主主義의 採擇 = 10 7. 社會的 民主主義 採擇 = 11 8. 平和主義의 採擇 = 11 Ⅲ. 行政의 現代的 意義 = 11 1. 槪說 = 11 2. 行政學 發達의 主要原因 = 12 3. 技術的 行政學과 機能的 行政學 = 14 4. 人間關係論의 意義 = 15 5. 行政에 있어서의 生態學的 接近法 = 16 Ⅳ. 公共行政과 私行政 = 18 1. 意義 = 18 2. 公共行政과 私行政의 共通點 = 19 3. 公共行政과 私行政의 差異點 = 19 Ⅴ. 綜合行政의 原理 = 20 1. 法治行政의 原理 = 21 2. 國民平等主義 = 22 3. 私有財産制度 = 24 4. 文化國家主義 = 25 5. 中央集權主義 = 26 제2부 敎育行政의 意義와 原理 Ⅰ. 敎育行政의 意義 = 27 1. 敎育行政의 公法學的 意義 = 28 2. 敎育行政의 機能的 意義 = 29 Ⅱ. 敎育行政의 性格과 內容 = 30 1. 敎育行政의 性格 = 30 2. 敎育行政의 內容 = 30 Ⅲ. 敎育行政의 機能과 作用 = 31 1. 敎育行政 機能 = 31 2. 敎育行政 作用 = 33 Ⅳ. 民主的 敎育行政의 原理 = 34 1. 敎育行政 地方分權化의 原理 = 34 2. 敎育行政 民主化의 原理 = 35 3. 敎育行政 獨立의 原理 = 36 Ⅴ. 敎育行政과 學校管理 = 37 1. 敎育行政과 學校管理 = 37 2. 學校管理의 基本原理 = 38 3. 學校管理의 領域 = 39 4. 學校管理와 地域社會 = 41 제3부 敎育自治制 Ⅰ. 民主主義와 地方自治 = 42 Ⅱ. 敎育自治制의 意義와 原理 = 44 Ⅲ. 敎育自治制에 對한 贊否論 = 46 Ⅳ. 우리나라의 敎育自治制 = 49 1. 5·16革命前의 敎育自治制와 問題點 = 50 2. 5·16革命後의 敎育自治制의 廢止 = 51 3. 敎育自治制의 復活과 問題點 = 52 제4부 敎育行政組織 Ⅰ. 美國의 敎育行政組織 = 53 1. 中央敎育行政組織 = 53 2. 地方敎育行政組織 = 58 Ⅱ. 英國의 敎育行政組織 = 67 1. 中央敎育行政組織 = 67 2. 地方敎育行政組織 = 72 Ⅲ. 불란서의 敎育行政組織 = 82 1. 中央敎育行政組織 = 82 2. 地方敎育行政組織 = 86 Ⅳ. 西獨의 敎育行政組織 = 93 1. 中央敎育行政組織 = 93 2. 地方敎育行政組織 = 96 Ⅴ. 蘇聯의 敎育行政組織 = 98 1. 中央敎育行政組織 = 98 2. 地方敎育行政組織 = 102 Ⅵ. 日本의 敎育行政組織 = 104 1. 中央敎育行政組織 = 104 2. 地方敎育行政組織 = 107 Ⅶ. 우리나라의 敎育行政組織 = 115 1. 中央敎育行政組織 = 115 2. 地方敎育行政組織 = 129 제5부 敎育制度 Ⅰ. 美國의 敎育制度 = 141 1. 初等敎育制度 = 141 2. 中等敎育制度 = 143 3. 高等敎育制度 = 145 Ⅱ. 英國의 敎育制度 = 147 1. 初等敎育制度 = 147 2. 中等學校制度 = 149 3. 大學敎育制度 = 151 Ⅲ. 佛蘭西의 敎育制度 = 152 1. 初等敎育制度 = 152 2. 中等敎育制度 = 154 3. 대학교육제도 = 155 Ⅳ. 西獨의 敎育制度 = 156 1. 初等敎育制度 = 156 2. 中等敎育 및 高等敎育制度 = 159 3. 大學敎育制度 = 160 Ⅴ. 蘇聯의 敎育制度 = 161 1. 初等敎育制度 = 161 2. 中等敎育 및 職業敎育制度 = 162 3. 高等敎育制度 = 164 제6부 우리나라 敎育行政上의 諸問題 Ⅰ. 行政改革의 意義와 必要性 = 166 Ⅱ. 敎育行政을 위한 計劃의 重要性 = 168 Ⅲ. 敎育人事行政의 實態와 問題點 = 169 Ⅳ. 財務行政의 實態와 問題點 = 174 Ⅴ. 組織管理의 實態와 問題點 = 182 제7부 敎育機能의 限界 Ⅰ. 敎育의 本質 = 186 Ⅱ. 교육제도의 본질 = 187 Ⅲ. 國家의 敎育機能의 限界 = 189 Ⅳ. 敎育의 目的과 自由敎育 = 192 Ⅴ. 學校를 통한 自由敎育 = 194 Ⅵ. 共同福祉社會 = 195 제8부 行政改革의 理論과 實際 Ⅰ. 行政改革의 意義 = 197 Ⅱ. 美國의 行政改革 = 199 Ⅲ. 英國의 行政改革 = 203 Ⅳ.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 207 제9부 學校體系와 敎育政策 Ⅰ. 單線型과 複線型 = 210 Ⅱ. 學校體系의 構造와 類型 = 214 Ⅲ. 學校體系를 規定하는 要因 = 218 Ⅳ. 學校體系와 就學政策 = 222 Ⅴ. 學校體系와 敎育形態 = 225 제10부 美國의 敎育改革 Ⅰ. 敎育改革의 歷史的 背景 = 229 Ⅱ. 敎育改革의 背景과 學敎制度의 改革 = 234 1. 美國에 있어서의 學制改革의 背景 = 234 2. 美國의 學敎制度의 性格 = 236 3. 美國에 있어서의 學敎制度의 改革 = 236 Ⅲ. 中等敎育改革을 위한 諸提案 = 240 1. 릭코버(H. G. Rickover)의 提案 = 240 2. 코난트(J. B. Conant)의 提案 = 241 3. 드럭커(P. F. Drucher)의 提案 = 243 Ⅳ. 國防敎育法成立의 意味와 問題點 = 244 Ⅴ. 美國敎育改革의 問題點 = 247 제11부 英國의 敎育改革 Ⅰ. 敎育改革의 歷史的 背景 = 250 Ⅱ. 國民敎育制度의 發展과 學制改革 = 251 1. 國民敎育制度의 發展 = 251 2. 學校制度의 性格 = 254 3. 新敎育法(1944년)의 特別措置 = 257 Ⅲ. 義務敎育의 延長과 技術敎育의 問題點 = 260 제12부 西獨의 敎育改革 Ⅰ. 戰後의 敎育改革의 動向 = 263 Ⅱ. 學校制度 改革案의 內容 = 275 1. 中央敎育審議會의 性格 = 275 2. 改革案의 內容 = 276 3. 學校制度 改革에 대한 反響 = 287 제13부 佛蘭西의 敎育改革 Ⅰ. 敎育改革에 대한 史的 考察 = 294 Ⅱ. 學校制度改革의 內容 = 300 1. 統一學校運動 = 300 Ⅲ. 드·골의 敎育改革 = 305 제14부 日本의 敎育改革 Ⅰ. 學校制度의 改革 = 307 Ⅱ. 敎育制度의 改革 = 310 제15부 蘇聯의 敎育改革 Ⅰ. 敎育改革의 史的 考察 = 313 Ⅱ. 學校制度의 改革 = 318 제16부 우리나라의 敎育改革 Ⅰ. 槪說 = 320 Ⅱ. 우리나라 敎育制度의 現況과 改革의 問題點 = 321 제17부 유네스코의 敎育改革을 위한 努力 Ⅰ. 유네스코 誕生의 意義와 目的 = 328 Ⅱ. 유네스코의 組織 = 329 Ⅲ. 유네스코의 敎育活動 = 330 Ⅳ. 유네스코韓國委員會의 敎育活動 = 334 제18부 國家와 社會 Ⅰ. 國家의 目的 = 338 Ⅱ. 國家와 社會 = 339 1. 多元論과 一元論(多元主義와 一元主義) = 339 2. 國家와 社會에 대한 歷史的 考察 = 342 3. 國家와 社會에 대한 現代的 意義 = 352 【부록】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