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63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851761 | |
005 | 20100806105139 | |
007 | ta | |
008 | 031205s2002 ulk 000a kor | |
035 | ▼a KRIC08630754 | |
040 | ▼a 224004 ▼c 224004 ▼d 211009 | |
049 | 1 | ▼l 111264995 |
082 | 0 4 | ▼a 089.97 ▼2 21 |
090 | ▼a 089.97 ▼b 2002e ▼c 3 | |
110 | ▼a 방목기념사업회, ▼e [편] | |
245 | 1 0 | ▼a 邦牧 兪尙根 全集. ▼n 3 : ▼p 行政學 (上), 行政學 (下), 韓國 農政의 方向과 敎育 / ▼d 邦牧記念事業會 [編]. |
260 | ▼a 서울 : ▼b 방목기념사업회 , ▼c 2002. | |
300 | ▼a 1책(면수복잡) ; ▼c 23 cm. | |
500 | ▼a 著者: 兪尙根 | |
500 | ▼a '行政學. 上卷'(明知大學行政學會, 1967)과 '行政學. 下卷'(明知大學行政學會, 1967)중 제1편 '農林水産行政論', 그리고 '韓國 農政의 方向과 敎育' (東亞出版社工務部, 1962)를 수록한 것임 | |
600 | 1 4 | ▼a 유상근 ▼c 방목 ▼d 1922-1992 |
700 | 1 | ▼a 유상근, ▼e 저 |
740 | ▼a 행정학 | |
740 | ▼a 한국 농정의 방향과 교육 | |
950 | 1 | ▼a 비매품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 Call Number 089.97 2002e 3 | Accession No. 111264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089.97 2002e 3 | Accession No. 1511292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 Call Number 089.97 2002e 3 | Accession No. 1112649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089.97 2002e 3 | Accession No. 1511292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第1編 行政學序論 제1장 行政權의 優越化 傾向 = 2 제1절 법치행정의 원칙과 행정권의 우월화 경향 = 2 제2절 행정권의 자유재량과 행정입법 = 5 제2장 現代行政의 特徵 = 7 제1절 입법국가로부터 행정국가에로 = 7 제2절 현대행정의 특징 = 8 제3장 公共行政과 私行政 = 9 제1절 의의 = 9 제2절 공공행정과 사행정과의 공통점 = 10 제3절 공공행정과 사행정과의 차이점 = 10 제4장 行政의 槪念 = 11 제1절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 12 제2절 행정학적 행정개념 = 13 제5장 行政學의 發達 = 15 제1절 官房學 = 15 제2절 슈타인의 행정학 = 17 제3절 기술적 행정학적과 기능적 행정학 = 19 제4절 미국에 있어서의 행정학의 발달 = 21 제6장 行政學과 隣接科學과의 關係 = 23 제1절 행정학과 정치학과의 관계 = 23 제2절 행정학과 경제학과의 관계 = 24 제3절 행정학과 사회심리학과의 관계 = 25 第2編 行政學方法論 제1장 方法論에 대한 一般的 考察 = 27 제1절 분석적 방법론 = 27 제2절 질적 및 양적 방법론 = 27 제3절 귀납적 및 연역적 방법론 = 28 제4절 비교적 방법론 = 29 제2장 學術로서의 接近法 = 29 제1절 역사학적 접근법 = 29 제2절 철학적 접근법 = 30 제3절 사회학적 접근법 = 30 제4절 심리학적 접근법 = 31 제3장 行政學의 傳統的 硏究方法 = 32 제1절 기술적 연구방법 = 32 제2절 기능적 연구방법 = 32 제4장 行政學의 새로운 硏究方法 = 33 제1절 논리 실증주의적 연구방법 = 33 제2절 생태학적 연구방법 = 34 第3編 行政組織論 제1장 組織의 原理 = 38 제1절 조정의 원리 = 38 제2절 계서제의 원리 = 39 제3절 기능의 원리 = 41 제4절 통할범위의 원리 = 43 제2장 行政組織의 原則 = 45 제1절 종합의 원칙과 분립의 원칙 = 45 제2절 중앙집권의 원칙 = 46 제3절 단독제와 합의제의 원칙 = 48 제3장 系線組織과 幕僚組織 = 49 제1절 계선조직 = 50 제2절 막료조직 = 50 제4장 公式的 組織과 非公式的 組織 = 54 제1절 개념 = 54 제2절 비공식적 조직의 특징 = 54 제3절 비공식적 조직에 관한 제문제 = 56 제5장 委員會制度 = 57 제1절 위원회제도의 장단점 = 57 제2절 행정위원회 = 59 제3절 독립규제위원회 = 61 제6장 行政機構의 改革 = 63 제1절 기구개혁의 의의 = 63 제2절 영국의 행정기구 개혁 = 65 제3절 미국의 행정기구 개혁 = 66 제4절 우리나라의 행정기구 개혁 = 72 第4編 行政管理論 제1장 管理科學과 管理技術 = 78 제1절 관리의 개념 = 78 제2절 관리과학 = 78 제3절 관리기술 = 79 제2장 科學的 管理法 = 80 제1절 과학적 관리법의 의의 = 80 제2절 과학적 관리법의 성립과 발달 = 81 제3절 과학적 관리법의 내용 = 81 제4절 과학적 관리법 하에서의 관리자의 임무 = 82 제5절 과학적 관리법의 비교 = 82 제6절 과학적 관리법에 대한 비판 = 83 제3장 行政管理 = 83 제1절 首班管理 = 83 제2절 중급관리 = 85 제3절 사무관리 = 87 제4장 行政計劃·行政統制 = 89 제1절 행정계획 = 89 제2절 행정통제 = 91 제5장 行政管理에 있어서의 리더십 = 94 제1절 리더십의 의의 = 94 제2절 리더십의 유형 = 94 제3절 리더십의 자질 = 95 제6장 行政指導에 있어서의 諸問題 = 97 第5編 커뮤니케이션·公共關係·人間關係 제1장 커뮤니케이션 = 102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 102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03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지도원리 = 105 제2장 公共關係 = 106 제1절 공공관계의 의의 = 106 제2절 공공관계의 기능 = 107 제3절 공공관계의 대상 = 108 제3장 人間關係論 = 109 제1절 인간관계론의 의의 = 109 제2절 인간관계론의 발달 = 110 第6編 人事行政論(1) 제1장 科學的 人事行政 = 119 제1절 과학적 인사행정의 의의 = 119 제2절 과학적 인사행정의 성립요건 = 121 제3절 직업공무원 제도의 확립 = 123 제2장 官僚制 = 125 제1절 관료제의 특징 = 125 제2절 관료제의 유형 = 126 제3절 외국 공무원제도의 발달 = 127 제4절 한국 공무원제도의 발달 = 147 第7編 人事行政論(2) 제1장 中央人事行政機關 = 150 제1절 미국의 연방인사위원회 = 150 제2절 영국의 인사위원회 = 153 제3절 불란서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154 제4절 일본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155 제5절 우리나라의 인사행정기관 = 156 제2장 職階制 = 160 제1절 직계제의 의의 = 160 제2절 직계제의 유래와 발달 = 161 제3절 직계제의 효용 = 161 제4절 각 국의 직계제 = 162 제5절 우리나라의 직계제 = 164 제3장 報酬制度 = 164 제1절 보수제도의 의의 = 164 제2절 보수의 결정요인 = 165 제3절 각 국의 공무원 보수제도 = 166 제4절 우리나라의 보수제도 = 169 第8編 人事行政論(3) 제1장 試驗 및 昇進制度 = 170 제1절 시험제도와 시험의 종류 = 170 제2절 각 국의 시험제도 = 171 제3절 승진제도와 그 종류 = 176 제4절 각 국의 공무원 승진제도 = 177 제2장 勤務評定制度 = 179 제1절 근무평정제도의 의의 = 179 제2절 근무평정의 목표 = 180 제3절 근무평정의 제방법 = 180 제3장 敎育訓練制度 = 184 제1절 교육훈련의 의의 = 184 제2절 교육훈련의 종류 = 184 제3절 각 국의 교육훈련제도 = 185 第9編 財務行政論(1) 제1장 財務行政의 意義 = 191 제2장 豫算의 本質 = 192 제1절 예산의 의의 = 192 제2절 예산의 내용 = 196 제3절 예산의 종류 = 198 제3장 豫算의 原則 = 202 제1절 전통적인 예산원칙 = 202 제2절 현대적인 예산원칙 = 204 제4장 豫算의 分類 = 207 제1절 예산분류의 의의 = 207 제2절 조직체별 분류 = 208 제3절 기능별 분류 = 210 제4절 품목별 분류 = 213 제5절 경제 성질별 분류 = 215 제5장 豫算行政 機構 = 219 제1절 개설 = 219 제2절 미국의 연방예산국 = 219 제3절 영국의 大藏省 = 220 제4절 우리나라의 경제기획원 예산국 = 221 제6장 豫算制度의 沿革 = 222 제1절 재정민주주의와 예산제도 = 222 제2절 영국 예산제도의 연혁 = 224 제3절 미국 예산제도의 연혁 = 226 제4절 우리나라 예산제도의 연혁 = 229 第10編 財務行政論(2) 제1장 豫算節次의 四段階 = 232 제1절 예산의 편성 = 232 제2절 예산의 심의 = 233 제3절 예산의 집행 = 233 제4절 회계검사 = 234 제2장 豫算의 編成 = 234 제1절 예산편성의 의의 = 234 제2절 미국의 예산편성 = 235 제3절 영국의 예산편성 = 239 제4절 우리나라의 예산편성 = 241 제3장 豫算의 審議 = 247 제1절 豫算議定의 의의 = 247 제2절 미국의 예산심의 = 248 제3절 영국의 예산심의 = 251 제4절 우리나라의 예산 심의 = 255 제5절 예산의 議定에 미치는 제 요인 = 260 제4장 豫算의 執行 = 262 제1절 예산집행의 의의 = 262 제2절 미국의 예산집행 = 263 제3절 영국의 예산집행 = 265 제4절 우리나라의 예산집행 = 267 제5장 決算 = 275 제1절 결산의 의의 = 275 제2절 결산의 調製 = 275 제3절 결산의 검사·확인 = 276 제4절 결산의 국회제출 = 276 제5절 결산의 심의 = 277 제6장 會計檢査 = 277 제1절 회계검사(감사)의 의의 = 277 제2절 회계검사기관 = 278 제3절 회계감사의 범위 = 281 제4절 회계검사의 종류 = 282 第11編 財務行政論(3) 제1장 成果主義豫算 = 283 제1절 성과주의예산의 의의 = 283 제2절 성과주의예산의 요건 = 284 제3절 성과주의예산의 장단점 = 285 제4절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발달 = 287 제5절 우리나라의 성과주의 예산제도 = 287 제6절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문제점 = 288 제2장 資本豫算과 國民經濟豫算 = 289 제1절 자본예산 = 289 제2절 국민경제예산 = 292 제3장 公企業과 豫算 = 296 제1절 공기업의 의의 = 296 제2절 공기업의 발달 = 296 제3절 공기업의 유형 = 298 제4절 공기업과 예산회계제도 = 300 제4장 購買行政 = 303 제1절 구매의 의의 = 303 제2절 집중구매제도의 장단점 = 304 제3절 구매행정의 절차 = 305 제4절 중앙구매기관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