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行政學緖論
제1절 현대행정의 특징 = 1
1. 행정부의 우위와 강화 = 2
2. 전문화와 표준화 = 3
3. 계획과 조직 = 4
4. 행정조사 = 4
5. 행정통계 = 4
제2절 행정의 의의 = 5
1. 행정법학적 개념으로서의 행정 = 5
2. 행정학적 개념으로서의 행정 = 6
제3절 행정학의 발달 = 8
1. 관방학 = 8
2. 슈타인의 행정학 = 11
3. 현대행정학 = 12
4. 미국에 있어서의 행정학의 발달 = 14
제4절 공공행정과 사행정 = 16
제2장 各國公務員制度論
제1절 미국의 공무원제도 = 19
1. 제1기(건국이래∼1829년) = 19
2. 제2기(1829년∼1865년) = 20
3. 제3기(1865년∼1883년) = 22
4. 제4기(1883년∼현재까지) = 25
제2절 영국의 공무원제도 = 27
제3절 불란서의 공무원제도 = 35
1. 앙샹레짐(L''Ancien Regime)시대 = 36
2. 대혁명시대(1789년∼1799년) = 36
3. 나폴레옹시대(1799년∼1871년) = 37
4. 제3공화국시대(1875년∼1945년) = 38
5. 1945년 이후 = 39
제4절 일본의 공무원제도 = 41
1. 일본에 있어서의 전근대적 관료 = 42
2. 명치헌법하의 관리제 = 42
3. 1945년 이후의 공무원제도 = 43
제5절 한국의 공무원제도 = 45
1. 우리나라 공무원제도의 발전 = 45
2. 공무원의 범위 = 49
3. 임면제도 = 52
제3장 行政組織論
제1절 조직의 개념 = 60
제2절 행정조직의 원리 = 61
1. 조직의 원리 = 61
2. 행정조직의 원칙 = 70
3. 단독제와 합의제(회의제)의 원칙 = 72
제3절 계선조직과 막료조직 = 74
1. 계선조직 = 74
2. 막료조직 = 74
3. 계선조직과 막료조직과의 관계 = 75
제4절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 = 78
1. 개념 = 78
2. 비공식적 조직의 특징 = 80
3. 비공식적 조직에 관한 제문제 = 82
제5절 위원회제도 = 84
1. 위원회제도의 장단점 = 84
2. 행정위원회 = 86
3. 독립규제위원회 = 88
제6절 행정기구의 개혁 = 90
1. 서론 = 90
2. 영국의 행정기구 개혁 = 92
3. 미국의 행정기구 개혁 = 93
4. 우리나라의 행정기구 개혁 = 102
제4장 行政管理論
제1절 관리의 개념 = 115
제2절 관리의 제원칙과 최근의 동향 = 117
제3절 행정관리 = 120
1. 수반관리 = 120
2. 중견관리 = 122
3. 사무관리 = 124
4. 사무관리의 제문제 = 130
5. 사무관리의 개선 = 143
6. 사무관리자의 임무와 활동 = 146
7. 최근의 사무관리의 동향 = 148
제4절 행정계획 = 149
1. 행정계획의 의의 = 149
2. 행정계획의 목적과 제단계 = 149
3. 기본운영계획제도 = 152
4. 현대국가에 있어서의 계획의 중요성 = 161
제5장 人事行政論
제1절 성적주의 인사행정 = 169
1. 성적주의 인사행정의 의의 = 169
2. 성적주의 인사행정의 요건 = 171
3. 직업공무원 제도의 확립 = 173
제2절 중앙인사행정기관 = 174
1. 미국의 연방인사위원회 = 174
2. 영국의 인사위원회 = 178
3. 불란서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182
4. 일본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183
5. 우리나라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186
제3절 직계제(직위분류제) = 196
1. 직계제의 의의 = 196
2. 직계제의 유래와 발달 = 197
3. 직계제(직위분류제)의 효용 = 198
4. 직계제의 구조와 제정방법 = 200
5. 외국의 직계제 = 205
6. 우리나라의 직계제 = 208
제4절 보수제도 = 218
1. 보수제도의 의의 = 218
2. 보수제도의 표준화 = 219
3. 외국의 공무원 보수제도 = 226
4. 우리나라의 공무원 보수제도 = 234
제5절 시험제도 = 247
1. 시험제도의 의의와 종류 = 247
2. 외국의 시험제도 = 249
3. 우리나라의 시험제도 = 252
제6절 승진제도 = 256
1. 승진제도의 의의와 종류 = 256
2. 미국의 공무원 승진제도 = 257
3. 우리나라의 공무원 승진제도 = 267
제7절 근무성적평정제도 = 277
1.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의의 = 277
2. 근무성적평정의 효과 = 277
3. 근무성적평정의 목표 = 278
4. 근무성적평정요소 = 282
5. 근무평정의 제방법 = 290
6.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운영 = 293
7. 근무성적평정제도의 활용 = 297
제8절 교육훈련제도 = 300
1. 교육훈련제도의 의의와 종류 = 300
2. 외국의 교육훈련제도 = 301
3. 우리나라의 교육훈련제도 = 307
제9절 제안제도 = 315
1. 제안제도의 발달 = 316
2. 제안제도의 목적과 특성 = 317
3. 제안자 = 319
4. 제안내용 = 321
5. 제안방법 = 325
6. 심사 = 326
제6장 財務行政論
제1절 국민경제상에 있어서의 정부의 지위 = 329
제2절 재무행정의 의의 = 334
제3절 재무행정조직 = 335
1. 미국의 재무행정조직 = 335
2. 영국의 재무행정조직 = 337
3. 우리나라의 재무행정조직 = 338
제4절 예산제도의 발달 = 350
1. 재정민주주의와 예산제도 = 350
2. 영국예산제도의 발달 = 352
3. 미국예산제도의 발달 = 354
4. 우리나라 예산제도의 발달 = 357
제5절 예산의 본질 = 363
1. 예산의 개념 = 363
2. 예산의 기능 = 365
3. 예산의 원칙 = 366
4. 예산의 형식과 효력 = 369
5. 예산의 종류 = 372
제6절 예산의 분류 = 374
1. 조직체별 분류 = 375
2. 기능별 분류 = 376
3. 품목별 분류 = 379
4. 경제성질별분류 = 381
제7절 예산의 편성 = 383
1. 예산편성의 의의 = 383
2. 미국의 예산편성 = 384
3. 영국의 예산편성 = 388
4. 우리나라의 예산편성 = 390
제8절 예산의 심의 = 399
1. 예산의정의 의의 = 399
2. 미국의 예산심의 = 400
3. 영국의 예산심의 = 403
4. 우리나라의 예산심의 = 407
5. 예산의 의정에 미치는 제요소 = 412
제9절 예산의 집행 = 414
1. 예산집행의 의의 = 414
2. 미국의 예산집행 = 415
3. 영국의 예산집행 = 417
4. 우리나라의 예산집행 = 418
제10절 결산과 회계검사 = 430
1. 결산 = 430
2. 회계검사 = 437
제11절 성과주의예산 = 443
1. 예산의 현대적 개념 = 443
2. 성과주의예산의 의의와 요건 = 444
3.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달 = 445
4. 우리나라의 성과주의예산제도 = 446
제12절 자본예산 = 449
제13절 국민경제예산 = 455
1. 균형예산 = 455
2. 국민경제예산 = 456
제7장 公企業論
제1절 공기업의 의의 = 461
제2절 공기업의 종류 = 462
제3절 공기업의 발전 = 466
제4절 공기업예산제도 = 467
1. 공기업예산제도의 특질 = 467
2. 우리나라 정부기업의 현행예산제도 = 469
제8장 地方行政論
제1절 개설 = 472
제2절 미국의 지방행정 = 473
1. 미국 지방자치제도의 발달과정 = 474
2. 지방자치단체와 연방정부와의 관계 = 478
3. 지방자치단체의 인사제도 = 480
제3절 영국의 지방행정 = 481
1. 영국 지방자치단체의 발전과정 = 482
2.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관계 = 484
3. 지방공무원제도 = 486
제4절 불란서의 지방행정 = 488
1. 불란서 지방행정제도의 발달과정 = 488
2. 중앙통제 = 490
제5절 일본의 지방행정 = 492
1. 일본지방자치의 발전과정 = 493
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 = 496
3. 지방공무원제도 = 498
제6절 우리나라의 지방행정 = 498
1. 우리나라 지방행정의 발전과정 = 499
2. 5·16 혁명후의 지방행정과 문제점 = 501
3. 우리나라의 지방공무원제도 = 505
제9장 公共關係·人間關係·意思疏通
제1절 공공관계 = 511
1. 공공관계의 개념 = 511
2. 현대적 공공관계의 성립과 발달 = 514
3. 현대행정과 공공관계 = 517
제2절 인간관계론 = 522
1. 인간관계론의 개념 = 522
2. 인간관계론의 발달과 성립 = 524
3. 호오손 연구 = 530
제3절 의사소통 = 536
1. 커뮤니케이션의 의의 = 536
2.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 538
3. 커뮤니케이션의 방법 = 539
4. 커뮤니케이션의 종류 = 540
5. 커뮤니케이션의 지도원리 = 545
6.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소 = 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