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06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851342 | |
005 | 20100806104119 | |
007 | ta | |
008 | 030414s2003 ulka 000a kor | |
020 | ▼a 8973005065 ▼g 93800 : ▼c \17000 | |
035 | ▼a KRIC08634099 | |
040 | ▼d 211048 ▼d 211009 ▼a 211048 ▼c 211048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254841 ▼l 111254842 |
082 | 0 4 | ▼a 801 ▼2 21 |
090 | ▼a 801 ▼b 2003b | |
100 | 1 | ▼a Fontanille, Jacques ▼0 AUTH(211009)17347 |
245 | 1 0 | ▼a 기호학과 문학 / ▼d 자크 퐁타니유 지음 ; ▼e 김치수, ; ▼e 장인봉 [공]옮김. |
246 | 1 9 | ▼a Semiotique et litterature : essais de methode |
260 | ▼a 서울 : ▼b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c 2003. | |
300 | ▼a 345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42-345 | |
520 | ▼a 자크 퐁타니유의 기호학은 독창적이지만 대단히 추상적인 개념화의 작업이다. 그의 추상적 개념들은 접근하기 쉽지 않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해의 단계에 들어가면 그 적용 범위가 넓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그는 이 책에서 많은 구체적인 작가와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자신의 방법론을 개발하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모든 문학은 본질적으로 '담화(discours)'라는 것을 상기시킨다. | |
700 | 1 | ▼a 김치수 ▼g 金治洙 , ▼d 1940- ., ▼e 옮김 ▼0 AUTH(211009)37747 |
700 | 1 | ▼a 장인봉 ▼g 張仁鳳, ▼e 옮김 ▼0 AUTH(211009)62151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2003b | Accession No. 1112548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2003b | Accession No. 11125484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3-06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자크 퐁타니유(지은이)
<기호학과 문학>
김치수(옮긴이)
서울대학교 문리대 불문과를 졸업한 후 같은 학교 대학원 불문과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프로방스 대학에서 「소설의 구조」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문학평론가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삶의 허상과 소설의 진실』(문학과지성사, 2000), 『공감의 비평을 위하여』(문학과지성사, 1991), 『문학과 비평의 구조』(문학과지성사, 1982), 『박경리와 이청준』(민음사, 1982), 『문학사회학을 위하여』(문학과지성사, 1979), 『한국소설의 공간』(열화당, 1976), 『현대 한국소설의 이론』(민음사, 1972) 등의 평론집과 『누보 로망 연구』(서울대출판부, 2001), 『표현인문학』(생각의나무, 2000), 『현대 기호학의 발전』(서울대출판부, 1998) 등의 학술서 그리고 편저서 『구조주의와 문학비평』(홍성사, 1981), 역서 『기원의 소설 소설의 기원』 (문학과지성사, 1999), 『새로운 소설을 찾아서』(문학과지성사, 1996), 『누보 로망을 위하여』(문학과지성사, 1976)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말 = 5 기호학과 문학 = 15 담화의 기호학 = 15 기호학적 사각형, 발생의 경로, 서술성 = 17 진행중인 담화 = 23 현존, 정체성, 정의성 = 26 에상되는 방법 = 29 동위성 : 일관성, 응집, 결합 - 모리스 세브, 「젖가슴」 = 33 동위성 = 33 일관성과 응집의 문제 = 33 텍스트와 담화 = 34 부분들과 전체 = 37 모리스 세브의 「젖가슴」 = 42 블라종과 분할 = 44 분할하기 = 46 주제분석 = 50 1 관조 = 50 2 성스런 것의 숭배 = 51 3 논쟁적 대결 = 53 4 설득적 의사 소통 = 53 서술적 양자 택일 : 선물 혹은 시련 = 55 거리의 가치론 = 58 「젖가슴」에서 웅집, 일관성, 결합 = 61 열기 = 65 관점 : 지각과 의미 작용 - 아라공, 『성 주일』 = 68 관점 = 68 두가지 어려움 = 68 하나의 주체와 하나의 객체 : 상호 작용의 조정 = 71 유형학 시도 = 78 막도날드의 관점 : 아라공의 『성 주일』 = 85 전략적 경로 = 87 의미의 복원 = 92 결론 = 94 열정파 감동 - 라 파예트 부인, 『클레브 공작부인』 = 96 담화의 감성적 차원 = 96 "감정들"과 "열정들"에 관심을 갖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일까? = 96 정신(Psy) 혹은 기호(Semio)? = 98 담화의 감성적 어휘로부터 감성적 차원으로 = 99 양태적 장치들 = 100 상적·리듬적 도식들 = 103 관점화 = 104 신체적 표현들 = 105 전형적 인상과 장면들 = 107 담화의 조절 아래 있는 열정 = 109 감성적 차원의 구성 요소들과 노출 요소들 = 111 양태적 구성 요소들 = 112 긴장 노출 요소들 = 114 규범적인 열정의 도식 = 117 감성적 각성 = 117 기분 = 118 열정의 기준점 = 118 감동 = 119 도덕적 반성 = 119 감성적 의사 전달 : 라 파예트 부인, 『클레브 공작부인』 = 120 사회적 양태화와 개인적 양태화 = 122 양태적 상관 관계 = 124 규범적 열정의 도식 = 127 양태적 소동 : 긴장과 현존 = 128 복수의 주체 = 131 발화 작용, 수사학 그리고 형상성 - 아폴리네르, 『알코올』 = 134 서론 = 134 수사학과 발화 작용 = 137 위치 행위자 = 138 규범적인 수사학 도식 = 142 수사학과 형상성 = 145 문채와 전의, 감각성과 지각 = 145 강도와 규모의 수사학적 변화 = 147 네 가지 수사학 유형 = 150 발화 작용과 형상성 = 151 아폴리네르의 정신적 장면들 = 152 『알코올』에 대해 = 152 시적·문채적 발화 작용의 조건인, 비주관적 인물 영역의 구성 = 154 "너 - 심정"에서 문체의 정착 = 158 시적 담화의 문채 = 165 기술에서 전의-심정으로 = 165 상징화 = 169 조롱 = 172 발화적 결합가와 문채적 가치들 = 175 상호 텍스트성 - 르네 샤르와 소크라테스 이전 사람들, 『졸음의 신의 수기』와 『형식적 공유』 = 181 상호 텍스트성과 발화 작용 = 181 상호 텍스트적 중재 = 182 상호 텍스트성과 지시 작용 = 184 르네 샤르와 소크라테스 이전 사람들에게서의 자연 세계 기호학 = 187 르네 샤르, 소크라테스 이전 사람들의 독자 = 187 소크라테스 이전 사람들의 몇몇 문제 = 189 생명의 고고학 = 189 무한, 수, 양, 규모 = 192 기본 작용 = 192 르네 샤르에게서의 발화 작용과 삶의 형태 = 195 발화적 분리와 로고스의 저장고 = 195 시적 담화의 영역 = 199 진실화 = 203 양화 = 205 자연 요소들과 형상성 = 208 상호 기호적 도식과 삶의 형태 = 213 진실화와 발화 작용 = 213 자연 요소들 = 217 결론 = 218 장르 - 르네 샤르의 『졸음의 신의 수기』에서의 격언 장르 = 220 장르의 불안정성 = 220 기준 결정 = 223 격률과 경구 : 르네 샤르의 『졸음의 신의 수기』 = 231 격언 장르 = 231 르네 샤르에게서 격언 장르의 형태와 사용 = 237 격언 = 238 간결성 = 241 언어 활동 행위 = 244 담화 유형 : 언어 사용역, 가치, 수용된 유형들 = 249 검증 : 예 = 254 문체 - 『졸음의 신의 수기』에서 간질(間質) 긴장 = 258 차이와 반복 = 258 문체와 발화 작용 = 262 문체와 정체성 = 264 텍스트 정체성 = 265 담화적 정체성들 = 267 문체와 미학 = 271 르네 샤르의 『졸음의 신의 수기』에서 간질(間質) 긴장 = 272 서론 : 문체와 삶의 형태 = 272 발화체 주제로서의 시제 = 274 시간적 분절 = 274 현존 = 276 동사 시제에 대한 지적 = 280 단순 과거와 반과거 = 281 현재, 복합 과거, 미래 = 283 상성(相性, aspectualite) = 285 시간적 간격 = 291 문체적 정체성 = 296 현상학 - 셀린, 『밤 끝으로의 여행』 = 299 문학 텍스트의 현상학 = 299 경험의 한가운데 = 299 인상적인 포착 = 302 현존과 감각 능력 = 304 감각 능력, 불완전, 가치들 = 305 현존 = 311 현존 영역의 깊이 = 313 가치, 결합가, 믿음 = 315 현존과 미적 감정 = 316 페르디낭 셀린의 『밤 끝으로의 여행』에서의 공포, 불안, 비천 = 318 존재 결함 : 미완성 운집 = 319 부조리의 세미오시스 = 324 불안 = 327 고독 = 329 타락 = 333 깊이의 불안 = 337 참고 문헌 =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