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Ⅰ부
1. 이론 예찬 = 17
무지의 위험 = 17
사람들은 왜 영화 감상 교육을 받지 못하는가? = 18
전반적인 문화의 필요 = 18
창조적인 문화 = 19
새로운 콜럼버스가 된 이론 = 21
놓쳐 버린 절호의 기회 = 22
2. 오래된 역사 = 24
영화와 대규모 산업 = 24
영화로 찍은 연극 = 25
새로운 주제 = 26
새로운 캐릭터 = 27
슬랩스틱 코미디 = 27
사례 = 29
3. 새로운 형식 언어 = 32
4. 시각 문화 = 35
영화 문화 = 36
식민지의 영국인 = 36
시베리아 소녀 = 37
우리는 보는 것을 학습해 왔다 = 38
옛날 영화는 왜 웃기는가? = 39
예술은 발전하지 않는다 = 40
5. 가시적 인간 = 42
6. 창조적인 카메라 = 50
영화 속에 들어간 관객 = 52
동일시 = 52
예술의 새로운 철학 = 53
소우주의 원칙 = 54
개척자의 이데올로기 = 56
7. 클로즈업 = 58
무엇이 분절된 그림을 합성하는가? = 59
사운드는 분리될 수 없다 = 60
공간 속에서의 사운드 = 61
사물의 표현 = 61
시각적인 삶 = 62
클로즈업의 서정적 매력 = 63
〈13인〉 = 64
8. 인간의 얼굴 = 68
새로운 차원 = 69
멜로디와 얼굴 모양 = 70
말없는 독백 = 71
얼굴 표정의 '다성적인' 유희 = 73
미세한 표정 = 75
거울 앞에 앉은 아스타 = 75
〈발트의 대리인〉 = 76
대사와 얼굴 표정 = 78
발성 영화에서의 대사 = 78
아스타가 말을 하다 = 79
러시아의 사례 = 80
무언극 = 81
침묵하는 것이 해결책은 아니다 = 82
흉내의 템포 = 83
무언의 대사 = 84
클로즈업으로 비친 얼굴의 세부 = 85
나는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 87
단순화된 연기 = 88
취향의 변화 = 89
평범한 얼굴 = 89
평범한 목소리 = 90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는 자연 = 90
예술로 눈을 돌린 자연 = 91
관상학에 대한 교육 = 92
어린이와 야만인 = 92
집단의 얼굴 = 93
계층의 얼굴 = 94
우리의 알려지지 않은 얼굴 = 96
제2의 얼굴 = 96
미세연극 = 97
극적인 상태 = 98
카메라의 리듬 = 98
극화된 평범함 = 100
중요한 순간 = 100
진실보다는 현실 = 101
9. 카메라의 설정 변화 = 103
촬영된 이미지의 통합 = 104
대상의 주관성 = 104
데자 부(d e ´ j a ` vu) = 105
동일시에 대한 추가 논의 = 106
사람을 닮은 세계 = 107
영화에 대한 괴테의 생각 = 108
주변과 배경의 모습 = 109
풍경 = 110
현실이 어떻게 해서 주제가 되는가? = 111
노동자와 기계의 모습 = 112
모습과 상징 = 113
리듬을 가속시키는 설정 = 114
왜곡 = 115
친숙하지 않은 것 = 116
알아볼 수 없는 윤곽 = 117
색다른 앵글은 색다른 상황을 표현한다 = 117
영화 캐리커처 = 118
영화에서의 표현주의 = 119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 120
장식적인 배경 = 122
영화 인상주의 = 122
사건의 인상 = 123
주관적인 인상주의 = 124
간접적인 설정 = 125
상징적인 앵글 = 127
거울로서의 인간의 얼굴 = 128
설정의 은유 = 128
이미지에서의 공허한 표현과 '키치' = 131
위험한 아름다움 = 132
대상으로서의 예술 작품 = 132
스타일과 설정 = 133
스타일에 신경 쓰는 영화들 = 134
10. 편집 = 136
불가피한 해석 = 137
가위가 거짓말을 할 때 = 138
이미지에는 시제가 없다 = 139
영화에서의 시간 = 140
주제와 경험으로서의 시간 = 140
형식과 분위기의 연속성 = 142
창조적인 편집 = 142
개념을 연상시키는 편집 = 143
플래시백 = 144
은유적 몽타주 = 145
시적인 몽타주 = 146
우화적 몽타주 = 147
문화적 은유 = 148
개념의 연상 = 148
지적인 몽타주 = 165
몽타주의 리듬 = 166
액션의 스피드와 편집의 스피드 = 166
'리타르단도'의 장면과 '아첼레란도'의 쇼트 = 167
쇼트의 길이 = 168
발성 영화의 리듬 = 170
편집에 있어서 음악적이고 장식적인 리듬 = 170
주관적 편집 = 171
걷기 = 172
영화 속에 나타난 스포츠 = 175
표현력이 부족한 스포츠 = 176
11. 파노라마 = 177
시간의 경험 = 178
파노라마의 극적 성질 = 179
12. 카메라의 표현 기법 = 182
페이딩 = 182
조리개의 비밀 = 183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 주는 카메라 = 184
시간의 원근법 = 185
디졸브의 심리학 = 186
시간과 시퀀스 = 186
그림의 크기와 디졸브 = 187
디졸브와 더 단순한 이야기들 = 188
디졸브와 공간의 연결 = 189
〈나르코시스〉 = 189
움직이지 않고 장면을 바꾸는 법 = 190
디졸브와 마음에 떠오르는 이미지 = 191
촬영된 막 = 192
제Ⅱ부
13. 영화에서 스타일의 문제 = 195
순수 영화 촬영술 = 196
스토리나 주인공이 없는 영화 = 199
주인공이 없는 영화 = 200
기행 영화 = 202
주인공이 있는 교육 영화 = 204
잘 알려지지 않은 가까운 곳 = 205
뉴스 영화 = 207
노동의 서사시 = 208
인간을 보여 주기 = 210
전쟁 영화 = 211
자연을 소재로 한 영화 = 215
14. 아방가르드의 형식주의 = 217
절대 영화 = 218
미학의 인식론 = 220
외부 세계의 모습 = 221
내적인 사건 = 221
개념 영화 = 223
논리는 수단, 심리는 목적이다 = 223
초현실주의 영화 = 224
추상 영화 = 226
발성 추상 영화 = 226
영화 자막 = 227
잘못된 유추 = 228
15. 시각적 트릭, 합성사진, 만화 = 230
카메라 트릭의 의미 = 230
마스크 = 231
영화 코미디 = 234
사진을 죽일 수는 없다 = 235
심리와 길이 = 236
만화 영화 = 237
16. 사운드 = 240
비극적 예언 = 240
막다른 골목 = 241
예언 = 242
우리는 무엇을 요구하는가? = 243
청각적 세계 = 244
소음의 발견 = 244
사운드의 연출법 = 246
사운드가 목소리를 높이다 = 247
등장 인물로서의 사운드 = 248
배경 음악의 영향 = 249
소리들의 싸움 = 249
라디오 극의 문제 = 252
이미지가 사운드를 결정한다 = 253
침묵 = 253
침묵과 공간 = 254
쇼트에서 사운드의 극적 기능 = 256
사운드를 설명해 주는 이미지 = 257
이시성(異時性)의 사운드 = 258
사운드의 친밀성 = 259
사운드는 따로 떼어 놓을 수 없다 = 260
귀를 교육하기 = 261
사운드는 그림자를 드리우지 않는다 = 262
사운드는 면이 없다 = 263
사운드는 공간적인 색깔이 있다 = 264
사운드 재생의 기본 문제 = 265
사운드는 이미지로 표현될 수 없다 = 266
사운드 몽타주 = 266
사운드 디졸브 = 267
이시적인 음향 효과 = 268
가장 효과가 뛰어난 도구 = 268
이시적인 이미지, 동시적인 장면 = 270
17. 대사 = 272
보는 말과 들리는 말 = 276
침묵은 액션이다 = 277
말의 청각적 제스처 = 279
더빙이 불가능한 이유 = 280
불투과성의 미학 법칙 = 281
영화 쇼트와 대사 = 282
비이성적인 음향 효과로서의 대사 = 283
18. 발성 코미디 영화의 문제 = 284
개연성이 없는 사운드 = 285
그로테스크한 대사 = 286
음악적 그로테스크의 문제 = 287
영화 음악 = 288
찰리 채플린의 비밀 = 289
발성 영화의 시각 = 292
절제 있는 사운드 사용 = 293
말의 규칙 = 294
영화 내레이터 = 295
19. 컬러 영화와 입체 영화에 대한 논의 = 296
움직이는 컬러 = 296
컬러 편집 = 297
입체 영화 = 298
컬러 만화 영화 = 299
20. 시나리오 = 300
레싱과 영화 = 306
병치된 액션 = 307
기술적 조건과 예술적 원리 = 309
21. 예술의 형식과 재료 = 314
22. 스타일의 문제 = 323
서사적 스타일 = 323
스타일과 양식화 = 326
주관적이고 전통적인 양식화 = 330
23. 음악적 형식 = 333
영화 오페라 = 337
24. 영웅, 미인, 스타, 그리고 그레타 가르보의 경우 = 342
역자 후기 = 347
색인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