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Ⅰ. 서론 = 13
1. WTO와 방송 = 13
2. 중국방송에 관심을 = 20
Ⅱ. 중국 방송산업 시장동향 = 22
1. 일반적 시장동향 = 22
2. 미디어 광고 시장 동향 = 28
3. 케이블TV 시장 동향 = 34
1) 상하이 케이블 = 37
2) 베이징 케이블 = 38
3) 광둥 케이블 = 39
4. 디지털 방송 = 41
Ⅲ. 중국 방송 제작 환경의 변화 = 46
1. 미디어 합병과 그룹화 = 46
1) 새로운 방송체제 개혁의 핵심 : 방송 그룹화 = 47
2) 대표적 사례 = 48
3) 외국자본의 진입과 방송그룹의 역할 = 51
4) 방송그룹 조직화의 문제점 = 55
2. 독립제작사들의 위상 변화 = 55
1) 독립제작사의 부상 = 55
2) 규모의 대형화 추세 = 57
3. 전문채널의 등장과 브랜드화 = 63
4. 프로그램 제작과 방송의 분리 = 65
1) 제작·방송 분리 사례 = 65
2) 제자·방송 분리론의 사회적 배경 = 67
3) 제작·방송 분리의 구체적인 형태 = 70
5. 자본운영의 수단 : 주식상장 = 72
1) 중국 증권시장의 초점이 된 방송산업 = 72
2) 미디어 산업의 증권시장 진입 유형 = 74
Ⅳ. 중국 방송 프로그램 유통구조 변화 = 77
1. 중국의 지리적 특성 = 77
2. 중국 방송영상물 유통시장의 특성 = 82
3. 미디어 그룹화와 유통구조의 혁신 = 85
4. 유통체계의 집중화 = 89
Ⅴ. 방송 규제 메커니즘의 변화 = 94
1. 방송 규제기구의 변화 = 94
2. 해외 드라마 수입관리 방식의 변화 = 99
3. WTO 가입 전후의 중국 미디어 관련법의 조정 = 103
1) 외국인 투자산업 지도목록 개방 영역에 대한 규정 = 103
2) 전면적 허가제를 통한 수입 제한 강화 = 105
3) 공산당 주도의 미디어 관리 = 106
Ⅵ. 해외 미디어 기업의 중국 진출 = 110
1. 외국 채널에 대한 중국의 정책적 입장 = 110
2. 시장진입 형태 = 114
1) 광고 점유 형식으로의 프로그램 제공 = 116
2) 프로그램 제작사 합자 설립 = 117
3) 프로그램 직접 재송신을 통한 중국 진출 = 118
3. 대표적 사례 = 120
1) AOL·타임워너 = 121
2) 뉴스코프 = 122
3) ESPN = 123
4) Viacom = 126
Ⅶ. WTO와 방송산업 변화 전망 = 131
1. 중국 방송계의 주요 현안 = 131
2. WTO 협약 중 방송관련 주요 내용 = 133
3. WTO 가입이 중국방송에 미치는 영향 = 136
1) 인터넷을 통한 우회적 영향 = 137
2) 음향, 영상, 영화, 광고 등 관련업을 통한 영향 = 138
3) 기술설비 등 인프라 영역에서의 영향 = 138
4. 중국의 대응 전략 = 139
1) 대외적인 제한적 조치의 유지 = 139
2) 내부적 개혁을 통한 성장 = 141
5. WTO와 방송영상 시장의 변화 = 143
1) WTO에 대한 이행 약속 = 143
2) 중국 방송영상산업의 기회와 도전 = 146
6. 중국 방송계획의 향방 = 149
1) 국가 주도 관리체제의 균열 = 151
2) 방송산업 체제 개혁의 틀 = 154
Ⅷ. 결론 = 157
1. 한류를 넘어서 = 157
2. 한·중간 방송문화교류를 위한 정비 = 161
참고문헌 =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