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WTO와 중국 방송

WTO와 중국 방송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만석 姜晩錫 , 1960-. 이재민
Corporate Author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Title Statement
WTO와 중국 방송 / 강만석 책임연구 ; 이재민 보조연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   2002.  
Physical Medium
173 p. : 삽도 ; 23 cm.
Series Statement
KBI 연구 ; 02-21
ISBN
899045820X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165-173
000 00828namccc200265 k 4500
001 000000849683
005 20100806100330
007 ta
008 030519s2002 ulka 000a kor
020 ▼a 899045820X ▼g 93300 : ▼c \12000
035 ▼a KRIC08708561
040 ▼a 211017 ▼c 211017 ▼d 211009
049 1 ▼l 111255091 ▼l 111255092
082 0 4 ▼a 791.450951 ▼2 21
090 ▼a 791.450951 ▼b 2002
100 1 ▼a 강만석 ▼g 姜晩錫 , ▼d 1960-. ▼0 AUTH(211009)98959
245 1 0 ▼a WTO와 중국 방송 / ▼d 강만석 책임연구 ; ▼e 이재민 보조연구.
260 ▼a 서울 : ▼b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 ▼c 2002.
300 ▼a 173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KBI 연구 ; ▼v 02-21
504 ▼a 참고문헌: p.165-173
536 ▼a 이 책은 방송위원회가 조성 및 관리.운영하는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 발간했음.
700 1 ▼a 이재민
710 ▼a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50951 2002 Accession No. 1112550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50951 2002 Accession No. 1112550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강만석(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KBS 시청자평가원, 한국방송학회 비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2006년 현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Ⅰ. 서론 = 13
 1. WTO와 방송 = 13
 2. 중국방송에 관심을 = 20
Ⅱ. 중국 방송산업 시장동향 = 22
 1. 일반적 시장동향 = 22
 2. 미디어 광고 시장 동향 = 28
 3. 케이블TV 시장 동향 = 34
  1) 상하이 케이블 = 37
  2) 베이징 케이블 = 38
  3) 광둥 케이블 = 39
 4. 디지털 방송 = 41
Ⅲ. 중국 방송 제작 환경의 변화 = 46
 1. 미디어 합병과 그룹화 = 46
  1) 새로운 방송체제 개혁의 핵심 : 방송 그룹화 = 47
  2) 대표적 사례 = 48
  3) 외국자본의 진입과 방송그룹의 역할 = 51
  4) 방송그룹 조직화의 문제점 = 55
 2. 독립제작사들의 위상 변화 = 55
  1) 독립제작사의 부상 = 55
  2) 규모의 대형화 추세 = 57
 3. 전문채널의 등장과 브랜드화 = 63
 4. 프로그램 제작과 방송의 분리 = 65
  1) 제작·방송 분리 사례 = 65
  2) 제자·방송 분리론의 사회적 배경 = 67
  3) 제작·방송 분리의 구체적인 형태 = 70
 5. 자본운영의 수단 : 주식상장 = 72
  1) 중국 증권시장의 초점이 된 방송산업 = 72
  2) 미디어 산업의 증권시장 진입 유형 = 74
Ⅳ. 중국 방송 프로그램 유통구조 변화 = 77
 1. 중국의 지리적 특성 = 77
 2. 중국 방송영상물 유통시장의 특성 = 82
 3. 미디어 그룹화와 유통구조의 혁신 = 85
 4. 유통체계의 집중화 = 89
Ⅴ. 방송 규제 메커니즘의 변화 = 94
 1. 방송 규제기구의 변화 = 94
 2. 해외 드라마 수입관리 방식의 변화 = 99
 3. WTO 가입 전후의 중국 미디어 관련법의 조정 = 103
  1) 외국인 투자산업 지도목록 개방 영역에 대한 규정 = 103
  2) 전면적 허가제를 통한 수입 제한 강화 = 105
  3) 공산당 주도의 미디어 관리 = 106
Ⅵ. 해외 미디어 기업의 중국 진출 = 110
 1. 외국 채널에 대한 중국의 정책적 입장 = 110
 2. 시장진입 형태 = 114
  1) 광고 점유 형식으로의 프로그램 제공 = 116
  2) 프로그램 제작사 합자 설립 = 117
  3) 프로그램 직접 재송신을 통한 중국 진출 = 118
 3. 대표적 사례 = 120
  1) AOL·타임워너 = 121
  2) 뉴스코프 = 122
  3) ESPN = 123
  4) Viacom = 126
Ⅶ. WTO와 방송산업 변화 전망 = 131
 1. 중국 방송계의 주요 현안 = 131
 2. WTO 협약 중 방송관련 주요 내용 = 133
 3. WTO 가입이 중국방송에 미치는 영향 = 136
  1) 인터넷을 통한 우회적 영향 = 137
  2) 음향, 영상, 영화, 광고 등 관련업을 통한 영향 = 138
  3) 기술설비 등 인프라 영역에서의 영향 = 138
 4. 중국의 대응 전략 = 139
  1) 대외적인 제한적 조치의 유지 = 139
  2) 내부적 개혁을 통한 성장 = 141
 5. WTO와 방송영상 시장의 변화 = 143
  1) WTO에 대한 이행 약속 = 143
  2) 중국 방송영상산업의 기회와 도전 = 146
 6. 중국 방송계획의 향방 = 149
  1) 국가 주도 관리체제의 균열 = 151
  2) 방송산업 체제 개혁의 틀 = 154
Ⅷ. 결론 = 157
 1. 한류를 넘어서 = 157
 2. 한·중간 방송문화교류를 위한 정비 = 161
참고문헌 = 16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