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4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849128 | |
005 | 20100806095154 | |
007 | ta | |
008 | 031110s2003 ulk 000a kor | |
020 | ▼a 8989938333 ▼g 03330 : ▼c \10000 | |
035 | ▼a KRIC09007638 | |
040 | ▼a HYUA ▼c HYUA ▼d 241050 ▼d 211009 | |
049 | 1 | ▼l 111269959 ▼l 111269960 |
082 | 0 4 | ▼a 331.6209519 ▼2 21 |
090 | ▼a 331.620953 ▼b 2003a | |
100 | 1 | ▼a 리혜선 |
245 | 1 0 | ▼a 코리안 드림, 그 방황과 희망의 보고서 / ▼d 리혜선 지음. |
260 | ▼a 서울 : ▼b 아이필드 , ▼c 2003. | |
300 | ▼a 398 p. ; ▼c 22 cm.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620953 2003a | 등록번호 1112699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620953 2003a | 등록번호 11126996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코리안 드림'을 꿈꾸는 조선족들에 대한 르포다. 조선족 작가가 직접 한국에 나와 취재해 더욱 진솔한 이야기들을 담아냈다. 지은이는 조선족에게 동정과 연민을 보내기 보다는, 국제화시대의 동반자로 이해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장기간의 고달프고 성실한 취재로 엮어낸 보고문학으로, 조선족 동포들에게 가해자와 착취자로 서 있는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한다. 되도록 객관적 시선을 유지하려 애쓴 저자 덕분에 조선족의 생활상은 있는 그대로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다른 한편, 언어의 맛깔스러운 쓰임은 재미있게 느껴진다.
이 책으로 얻는 부외적 수입이라면 재외동포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재외동포법은 외국국적 동포를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했던 자 및 그 직계후손'으로 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선족은 비자 없이 한국 출입국이 불가능했으나 지난 9월 23일 법이 개정되어 2년간 비자없이 체류가 가능하다고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리혜선(지은이)
1956년 중국 연길 출생, 연변대학 漢語학부 졸업, 노신문학원 졸업. 연변일보사, 길림신문사 편집, 기자, 차장 역임, 연변작가협회 전업작가, 창작실 주임 역임, 중국작가협회 전국위원원회 위원 역임. 장편소설 『빨간그림자』, 『紅蝴蝶』(중문), 『생명』, 소설집『푸른잎은 떨어졌다』, 『야경으로 가는 여자』, 아동소설『폭죽소리』, 『사과배 아이들』, 『자유찾아 만리길-김학철이야기』, 장편르뽀 『코리안드림』, 『코리안드림, 희망과 방황의 보고서』, 『두만강의 충청도 아리랑』, 『두만강변의 충북마을』, 『정율성 평전』, 『鄭律成評傳』(중문) 등. 제5회, 제7회 중국소수민족문학창작상 준마상, 2019년도 민족문학상, 제5회, 제6회, 제8회 연변조선족자치주정부 진달래문예상, 제4회 연변작가협회 문학상(소설부문 최우수상), 제1회 단군문학상, 흑룡강신문사 장편 공모상, 기타 간행물 문학상 등 다수 수상.

목차
목차 서문 그해 여름, 그리고 다시 봄 = 5 프롤로그 한국_ 길 수밖에 없는 프롤로그 = 15 1 기회의 땅, 감정 하나를 더 가지고 - 돈 벌러 간 사람들 기회의 땅 = 31 처마 밑에서 비를 긋는 사람들 = 43 딱따구리 아줌마 = 48 마른 벼락과 하느님 = 54 오용 일화1 = 61 오용 일화2 = 73 서울 보모와 아기 = 86 재미있는 후배 = 101 목소리 낮은 여자와 그의 아들 = 106 2 물은 내리흐르고 사람은 올리흐른다 - 한국 국제 결혼의 현장 인간 대 인간을 위한 노력가 = 117 사랑이 별거더냐 = 141 저 산 너머에 무엇이 있을까? = 151 결벽증 언니의 고뇌 = 159 곡절 많은 국제 혼인 중매기 = 175 비즈니스 결혼의 검은 그림자 = 180 3 문이 열리면 좋은 공기, 나쁜 공기 다 들어온다 - 어물전 망신을 시키는 꼴뚜기들 언니 생각이 나게 하는 나라 = 191 검은 궤의 뚜껑이 열리다 - 한국 체류 조선족의 문제점에 대한 토론 = 194 재수 없는 사나이, 열심히 사는 사나이 = 200 교회에 찾아오는 사람들 = 209 4 우산을 들면 비를 탓하지 않는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방어와 면역에 관해 눈썹 밑의 4대 액운 및 그 탈출 방법 = 225 똑순이 이화 = 237 동포 신문사, 동포 언론인들 = 251 조선족인 것이 자랑스러울 때 = 259 5 그러나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 - 불법 체류자 납골당 = 269 외로운 섬나라 = 273 불법 체류 문제, 열쇠 없는 자물쇠인가? = 278 6 준비하는 세대들 - 조선족 유학생들의 또 다른 꿈 한중 문화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하고 싶다 = 299 문화의 벽 앞에서 = 307 우리는 누구인가? = 319 유학의 이유와 역사의식 = 328 어떻게 살 것인가? = 340 조선족의 대외 이미지 희망 사항 - 신(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 354 7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길은 없는가?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길은 없는가? = 369 에필로그 코리안 드림을 넘어서 = 393 발문 부끄러운 우리들의 자화상 / 박완서[소설가]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