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2
개관 = 8
SCOPE 1 동북아(東北亞)의 지전략 구도 = 13
Theme 1. 동북아와 한반도 안보정세 연도표 = 14
Theme 2. 동북아 지전략(地戰略)과 한반도 = 17
Theme 3. 미국의 세계적 지배와 동북아 구도 = 21
SCOPE 2 분쟁과 협력의 발화점 - 동북아 = 25
Theme 1. 국제 및 동북아 안보정세 = 26
Theme 2. 주요 국가의 국방비 수준과 무기 판매 흐름도 = 27
Theme 3. 동북아 지역의 분쟁과 갈등 = 28
Theme 4. 군사작전의 이해 = 29
SCOPE 3 동북아 국가들의 군사력 = 33
Theme 1. 동북아 지역 군사력 = 34
Theme 2. 미국 군사력 = 35
Theme 3. 일본 자위대 - 첨단무기의 집합체 = 43
Theme 4. 중국 군사력 - 동북아 패권을 노린다. = 57
Theme 5. 러시아 군사력 = 73
Theme 6. 한반도의 군사력 = 81
SCOPE 4 역내(域內) 해양관할권 분쟁 = 89
Theme 1. 유엔해양법협약과 해양안보 = 90
Theme 2. 한반도 주변 배타적경제수역(EEZ) 획정 = 92
Theme 3. 대륙붕 경계획정 = 93
Theme 4. 해양경계 획정(어업협정) = 96
Theme 5. 군도수역 = 98
Theme 6. 무해통항과 통과통항 = 99
Theme 7. 영해 = 100
SCOPE 5 역내(域內) 영토 영유권 분쟁 = 101
Theme 1. 영토영유권 분쟁 - 개요 = 102
Theme 2. 우리의 영토 - 독도 = 103
Theme 3. 일중간 잠재적 영토영유권 갈등 - 센가꾸열도(조어도) = 104
Theme 4. 일러간 영토분쟁 - 남(南) 쿠릴열도(북방4개도서) = 105
Theme 5. 남(南)중국해 갈등과 분쟁의 화약고 = 106
Theme 6. 역사적으로 인정된 표기 - 동해 = 108
Theme 7. 우리가 지배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영토들 = 109
SCOPE 6 균형을 위협하는 무기체계들 = 111
Theme 1. 군사력 균형을 깨려는 무기체계 - 개요 = 112
Theme 2. MD(NMD) = 113
Theme 3. MD(TMD) = 115
Theme 4. 핵무기와 북한의 핵개발 = 121
Theme 5. 탄도유도탄 그리고 북한의 유도탄 = 123
Theme 6. 제3세대 구축함 - 이지스함 = 127
Theme 7. 오오스미함 - 경(輕)항공모함인가? = 134
Theme 8. 호위함으로 위장(?)한 일본의 헬기 탑재 경항모 = 136
Theme 9. 원거리 투사능력 확보 - 공중급유기 = 137
Theme 10. 기술과 성능의 결합 - 일본의 차세대 전투기 = 139
Theme 11. 재래식 잠수함의 혁신 - AIP 시스템 = 140
Theme 12. 대량파괴무기(WMD) = 141
SCOPE 7 한반도 주변 안보관련 구역 = 143
Theme 1. 북한의 군사수역과 NLL = 144
Theme 2. 한반도 주변국의 작전구역(예상) = 145
Theme 3. 공역(空域)과 비행정보구역(FIR) = 147
Theme 4. 과거(현존) 설정구역 그리고 전쟁수역 = 148
Theme 5. 일본의 해상교통로(SLOC) 범위 = 149
SCOPE 8 역내(域內)갈등의 화약고 = 151
Theme 1. 동북아의 영원한 과제 - 민족(언어)갈등 = 152
Theme 2. 풀리지 않는 근본주의 - 종교의 갈등 = 154
Theme 3. 화약고의 도화선 - 영토와 해양관할권 = 155
Theme 4. 미국과 중국의 자존심 대결 - 양안문제 = 158
Theme 5. 동아시아 현 실태반영 - 해적피해 = 159
Theme 6. 동중국해 근해 해양관할권의 갈등 = 160
Theme 7. 표적없는(?) 전쟁 - 테러 = 162
SCOPE 9 동북아 주요 전략요충지 = 165
Theme 1. 해로(海路)와 지전략(地戰略) 요충지 - 개요 = 166
Theme 2. 극동에서의 주요 해상교통로 = 167
Theme 3. 현재는 평온한 한반도 주변 해협 = 169
Theme 4. 동(東)아시아의 요충지 - 오끼나와의 중요성 = 170
SCOPE 10 향후 세계·역내 안보 환경평가 = 171
Theme 1. 향후 25년 후의 세계·역내 안보환경 = 172
Theme 2. 국제정세 전망 = 175
Theme 3. 주요 국가들의 정세 전망 = 177
SCOPE 11 협력과 상호 의존성의 증대 = 179
Theme 1. 갈등은 있어도 협력도...개요 = 180
Theme 2. 세계적인 추세 - 군축 = 181
Theme 3. 한반도와 대륙간 연결철도 = 182
Theme 4. 동북아 국가간 연합 - 공동훈련 = 183
Theme 5. 유엔의 평화유지활동(PKO) = 184
Theme 6. 동아시아의 협의체 = 185
SCOPE 12 결론 그리고 제언 = 187
Theme 1. 향후 분쟁 예상지역과 형태 = 188
Theme 2. 효율적인 군사력 정비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