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53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847307 | |
005 | 20100806090341 | |
007 | ta | |
008 | 031124s2003 ulk 000a kor | |
020 | ▼a 8979436181 ▼g 93350 : ▼c \13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70888 ▼l 111270889 |
082 | 0 4 | ▼a 352.14 ▼2 21 |
090 | ▼a 352.14 ▼b 2003c | |
100 | 1 | ▼a 김길수 ▼0 AUTH(211009)56688 |
245 | 1 0 | ▼a 지방행정 PR : ▼b 이론과 실제 / ▼d 김길수 지음. |
260 | ▼a 서울 : ▼b 세종출판사 , ▼c 2003. | |
300 | ▼a 292 p. ; ▼c 26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14 2003c | Accession No. 1112708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14 2003c | Accession No. 1112708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길수(지은이)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경호고등학교, 경상대학교를 졸업하고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또 경남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동남일보에 입사해 사회부와 사회2부, 교열부를 거쳤으며 1997년 부산일보에 입사, 현재 사회2부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지방행정PR』(2003)과 『지방행정 창조전략-꽃과 똥의 철학』(공저, 2005) 등이 있으며 박사논문으로 “환경행정 서비스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가 있다.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언론재단이 수여하는 ‘이달의 기자상’ 2회(2004년 10월, 2006년 4월), 부산일보 제3회 ‘부일기자상’(2004년 11월), 한국기자협회 부산일보지회 제5회 ‘부일기자상’(2000년 8월) 등을 수상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이론적 기초 1. 서론 = 7 2. 지방행정의 의미 = 9 3. 행정과 PR = 13 4. 행정PR시대 도래 = 16 5. 행정PR 방향 = 23 6. 행정PR 역사 = 25 7. 행정PR 특성 = 30 8. 행정PR 기능 = 33 Ⅱ. PR의 이해 1. PR의 의미 = 37 2. PR관련 용어 = 42 3. PR 이론 = 57 Ⅲ. 행정PR과 언론 1. 국민과 언론 = 69 2. 행정기관과 언론 = 74 3. 언론의 속성 = 77 4. 효과적 언론관계 = 85 5. 언론 관계설정 = 91 6. 기자회견 개최 = 103 7. PR담당자 역할 = 106 8. PR활동 흐름 = 113 9. 언론관계관리와 모니터 = 115 10. 홍보업무 개선방향 = 117 Ⅳ. 지방자치단체 PR 1. 지방자치단체와 PR = 125 2. 고객관리적 접근 = 126 3. 고객관리적 행정PR = 137 4. 지방자치단체 PR체계 = 146 5. 커뮤니케이션 수단 통합 = 149 6. 효과적 지방행정PR 방안 = 157 Ⅴ. 지방자치단체 PR현장 1. 보도자료 작성 = 205 2. 보도자료 실제 = 215 3. 보도자료 분석 = 223 4. 자치단체 PR사례 = 225 5. 보도자료 유형 = 242 6. 시사점 = 280 7. 연구의 한계 = 282 참고 문헌 = 285 부록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