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39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847027 | |
005 | 20100806085602 | |
007 | ta | |
008 | 031124s2002 ulka 000a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36214 |
082 | 0 4 | ▼a 659.1 ▼2 21 |
090 | ▼a 659.1 ▼b 2002r | |
110 | ▼a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e [편] | |
245 | 1 0 | ▼a EPQ 척도를 이용한 부당표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 ▼d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편]. |
260 | ▼a 서울 : ▼b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 ▼c 2002. | |
300 | ▼a 80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2002 지식기반확충 조사연구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수록 | |
830 | 0 | ▼a 2002 지식기반확충 조사연구(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
950 | 0 | ▼b \250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659.1 2002r | 등록번호 1112362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1. 법학과 사회과학의 영역 = 5 2. 우리나라의 광고규제 = 9 3. 부당표시광고 = 10 1) 『표시·광고법』 = 10 2) 규제 대상 및 운용 = 11 (1) 규제 대상 = 11 (2) 규제 운용 = 11 3) 부당표시광고 관련 연구 = 12 4. 윤리 규범 이론 = 13 1) 의무론적 윤리(deontology) = 14 2) 목적론적 윤리(Teleology) = 16 3) 규율 중심적(rule-oriented) 윤리와 행위 중심적(act-oriented) 윤리 = 17 5. 윤리적 개념 척도(EPQ) = 19 1) 광고 평가에 대한 EPQ의 중재 효과 연구 = 21 2) 광고의 기타 윤리적 이슈 - 유해 상품 광고 = 23 Ⅲ.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 25 1. 연구 문제 = 27 2. 연구 방법 = 28 1) 부당표시광고 유형화 = 28 2) 설문 구성 = 30 3) 연구 대상 = 31 Ⅳ. 연구 결과 = 33 Ⅴ. 결론 = 59 참고문헌 = 65 부록1 = 68 부록2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