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의미와 의미이론 = 19
1.1 문법이론의 모형 = 19
1.2 의미의 본질 = 20
1.3 여러 가지 의미이론 = 23
1.4 지시의미론과 심리의미론 = 24
연습문제 = 30
2장 지시의미론 : 지시와 지시표현 = 31
2.1 지시 = 31
2.2 한정지시표현 = 32
2.2.1 단칭지시 = 33
2.2.2 이름 = 33
2.2.3 한정기술 = 35
2.3 비한정지시표현 = 37
2.3.1 비한정지시와 정보 = 37
2.3.2 특정지시와 비특정지시 = 38
2.4 총칭지시와 전칭지시 = 40
2.4.1 총칭지시 = 40
2.4.2 총칭과 전칭의 차이 = 41
2.4.3 시제와 총칭지시 = 43
2.5 집합지시와 배분지시 = 44
2.5.1 집합과 배분의 개념 = 44
2.5.2 중의성 = 45
2.6 물질지시, 행위지시, 추상적 개념지시 = 46
2.6.1 물질과 행위의 추상개념 = 46
2.6.2 구체지시와 추상지시 = 47
2.7 수량지시 = 48
2.7.1 양화사 = 48
2.7.2 부정양화사 = 49
연습문제 = 50
3장 대용현상과 지시연결 = 53
3.1 직시와 대용 = 53
3.2 공지시 = 54
3.2.1 공지시표현 = 54
3.2.2 지시집단의 변화 = 55
3.3.3 간접 공지시 = 55
3.3 대명사의 공지시 = 56
3.3.1 공지시의 조건 = 56
3.3.2 양화사와 결속변항 = 57
3.3.2.1 공지시 대명사(태만 대명사) = 57
3.3.2.2 결속변항 = 58
3.3.3 E-형 대명사 = 61
3.3.3.1 E-형 대명사의 지시 = 61
3.3.3.2 E-형 대명사의 검증 = 64
3.3.3.3 Paycheck-문장과 Donkey-문장 = 66
3.3.3.4 Donkey-문장의 특칭해석 = 68
3.3.3.5 대칭해석과 반대칭해석 = 70
연습문제 = 72
4장 종합의미론 : 지시와 의의 = 75
4.1 의의의 필요성 = 75
4.1.1 지시의 문제점 = 75
4.1.2 Frege의 제안 = 79
4.2 지시와 의의의 관계 = 80
4.2.1 의의는 개념 = 80
4.2.2 의의에 대한 의미 구분 = 82
4.3 외연과 내포 = 84
4.3.1 Carnap의 용어 = 84
4.3.2 가능세계와 내포 = 86
4.3.3 내포와 의의 = 87
4.4 불투명구조 = 89
4.4.1 양상구조 = 89
4.4.2 투명구조와 불투명구조 = 90
4.4.3 지시해석과 속성해석 = 91
4.4.4 믿음문장 = 91
연습문제 = 94
5장 의미장과 어휘상하관계 = 97
5.1 단어와 어휘 = 97
5.1.1 단어의 형태 = 97
5.1.2 관용적 구표현 = 98
5.2 어휘의 구조 = 99
5.2.1 어휘의 의의 = 99
5.2.2 의의관계 = 100
5.2.2.1 동일 어휘의 다의성 = 100
5.2.2.2 동류어휘의 의미관계 = 101
5.3 의미장 = 103
5.3.1 어휘의 구조 = 103
5.3.2 계열관계와 결합관계 = 103
5.3.3 Trier의 장이론 = 106
5.3.4 상하관계 = 107
5.3.5 Porzig의 장이론 = 111
5.3.6 의미 변화와 어휘장의 구조 변화 = 112
5.3.7 어휘장과 문화 = 114
5.3.8 의미장과 함의·포용 = 118
연습문제 = 121
6장 의미성분분석과 어휘분해 = 125
6.1 성분분석의 이론적 근거 = 125
6.2 성분분석 = 126
6.2.1 상하관계의 의미성분 = 126
6.2.2 2원 의미성분과 비2원 의미성분 = 128
6.2.3 성분분석과 함의 = 132
6.3 어휘분해와 두 가지 의미론 = 135
6.3.1 해석의미론 = 136
6.3.1.1 어휘의 의미표시 = 136
6.3.1.2 문법표지·의미표지·구별소 = 138
6.3.1.3 투사규칙 = 139
6.3.2 생성의미론 = 146
6.3.2.1 추상성 = 146
6.3.2.2 규칙성 = 150
6.3.2.3 추상어휘 = 151
연습문제 = 155
7장 어휘의 의의관계 = 157
7.1 어휘간의 관계 = 157
7.2 동의성 = 157
7.2.1 동의어의 종류 = 158
7.2.2 동의어와 함의 = 159
7.2.3 동의어의 의의 차이 = 161
7.2.4 완전 동의어 = 163
7.3 반의성 = 166
7.3.1 2원 반의어 = 167
7.3.2 비2원 반의어 = 168
7.3.3 2원 반의어·비2원 반의어·함의 = 171
7.3.4 역행 반의어·환위 반의어 = 172
7.3.5 분류 자매어 = 173
7.3.6 부분어 = 174
7.3.7 비유 = 175
7.3.7.1 은유 = 176
7.3.7.2 반어 = 179
7.3.7.3 환유와 제유 = 179
7.3.7.4 과장 = 181
7.3.7.5 곡언 = 181
7.4 다의성·동음이의성 = 182
7.4.1 정의 = 182
7.4.2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분 = 183
7.4.3 두 가지 분석 = 185
7.4.3.1 다의어적 분석 = 185
7.4.3.2 동음이의어적 분석 = 189
7.4.3.3 의미장 이론·성분분석에 의한 분석 = 191
연습문제 = 194
8장 개념의미론 = 197
8.1 의의와 개념 = 197
8.2 1-개념 = 198
8.3 개념의미론과 인지의미론 = 200
8.4 개념구조·의미자질·논항구조 = 201
8.5 논항구조와 의미역 = 205
8.5.1 의미역 = 205
8.5.2 의미역과 선별제한 = 210
8.5.3 의미역 기준 = 213
8.6 개념구조와 일상영어 = 218
연습문제 = 222
9장 문장의미 : 참·거짓 = 225
9.1 문장과 명제 = 225
9.2 필연진리와 우연진리 = 229
9.3 형식의미론의 특성 = 234
9.4 형식의미론의 기초 개념 = 238
9.4.1 집합과 원소 = 238
9.4.2 관계 = 239
9.4.3 함수 = 241
9.5 명제논리언어(L₁) = 244
연습문제 = 253
10장 모형과 가능세계 = 257
10.1 술어논리언어(L₂) = 257
10.1.1 통사부 = 257
10.1.2 의미 = 260
10.2 모형이론 = 267
10.3 양화술어논리언어 = 269
10.3.1 통사부 = 269
10.3.2 의미부 = 274
10.3.3 새모형 = 280
10.4 가능세계 의미론 : 시간과 양상 = 284
10.4.1 가능세계의 필요성 = 284
10.4.2 세계와 시간 = 286
10.4.3 외연과 내포 = 295
10.5 람다(λ)언어 = 297
10.5.1 집합과 람다(λ) = 297
10.5.2 주어-술어 구문 = 300
10.5.3 성분분석과 λ-연산 = 302
10.5.4 불투명구조 = 303
연습문제 = 305
11장 부정과 부정극어 = 307
11.1 문장의 종류 = 307
11.2 부정문의 역사 = 309
11.3 부정문의 종류 = 311
11.3.1 형태적 분류 = 311
11.3.1.1 전체부정 = 312
11.3.1.2 부정의 영향권과 초점 = 314
11.3.1.2.1 부정의 영향권 = 314
11.3.1.2.2 부정의 초점 = 315
11.3.1.2.3 양화표현의 부정 = 316
11.3.1.3 부분부정 = 322
11.3.1.4 술부부정 = 322
11.4 부정의 의미 = 323
11.4.1 모순명제와 반대명제의 부정 = 324
11.4.2 등급표현과 부정 = 326
11.4.3 접사부정 = 328
11.5 내부부정과 외부부정 = 330
11.6 상위언어 부정 = 335
11.7 부정극어 = 337
11.7.1 NPI 인가표현 = 338
11.7.2 하향함의와 부정함축 = 340
11.7.2.1 Fauconnier의 화용적 하향함의 = 340
11.7.2.2 Ladusaw의 논리적 하향함의 = 342
11.7.2.3 Linebarger의 부정함축 = 344
11.7.2.4 단조성(monotonicity)과 NPI = 346
11.7.2.5 NPI의 세 유형 = 350
연습문제 = 353
12장 문장의 의미관계 = 357
12.1 어휘의미와 문장의미 = 357
12.2 문장의미에 대한 직관 = 358
12.2.1 두 문장의 관계 = 358
12.2.1.1 함의 = 358
12.2.1.2 전제 = 359
12.2.1.3 시사 = 359
12.2.1.4 함축 = 360
12.2.1.5 모순 = 361
12.2.1.6 동의성 = 361
12.2.2 한 문장의 의미 평가 = 362
12.2.2.1 항진명제 = 362
12.2.2.2 모순명제 = 362
12.2.2.3 변칙성 = 363
12.2.2.4 적정성 = 365
12.2.2.5 부적정성의 해소 = 367
12.3 중의성과 애매성 = 369
12.3.1 세 가지 중의성 = 369
12.3.1.1 어휘 중의성 = 369
12.3.1.2 구조 중의성 = 370
12.3.1.3 영향권 중의성 = 370
12.3.2 애매성 = 372
12.3.3 중의성 검사 = 374
12.3.4 부정과 양화사 = 377
12.3.5 의의관계에 의한 간접 검사 = 379
연습문제 = 381
13장 함의·전제·함축 = 383
13.1 용어 정의 = 383
13.2 함의와 전제 = 385
13.2.1 함의와 전제의 전통적 구분 = 385
13.2.2 함의 = 389
13.2.3 전제 = 393
13.2.3.1 전제의 정의 = 393
13.2.3.2 함의와 전제의 구분 = 395
13.2.3.3 전제 유발표현 = 396
13.2.3.4 전제취소 = 398
13.2.3.5 복문의 전제 = 400
13.2.3.5.1 투사문제 = 400
13.2.3.5.2 의미론적 설명 : 마개, 구멍, 여과기 = 403
13.2.3.5.3 화용론적 설명 : 화맥과 적정조건 = 411
13.2.3.5.4 Gazdar의 취소규칙 = 415
13.2.4 함의이론와 전제이론의 설명력 = 417
13.3 함축 = 418
13.3.1 함축의 정의 = 418
13.3.1.1 Grice의 함축이론 = 418
13.3.1.2 격률의 준수로 인한 함축 = 421
13.3.1.3 격률의 의도적 위반으로 인한 함축 = 422
13.3.1.4 고정함축과 대화함축 = 424
13.3.2 전제와 함축의 구분 = 430
13.4 간접의미의 취소이론 = 433
13.4.1 등급함축과 절함축 = 434
13.4.2 취소이론 = 437
연습문제 = 439
14장 화행 = 443
14.1 역사적 배경 = 443
14.2 화행이론 = 443
14.2.1 수행발화의 평가 = 448
14.2.2 적정조건 = 450
14.2.3 명시적 수행발화와 암시적 수행발화 = 451
14.3 수행가설 = 453
14.3.1 상위 수행동사 = 453
14.3.2 수행가설의 문제점 = 454
14.4 화행의 화용적 설명 = 457
14.4.1 관련성 이론 = 457
14.4.2 화맥 변경 이론 = 458
14.5 간접 화행 = 459
연습문제 = 463
연습문제 해설 = 465
참고문헌 = 481
색인 = 503
한·영 색인 = 503
영·한 색인 =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