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1
모듈 1. 직업교육훈련에서의 정부의 역할 관리 = 7
단원 1. 직업교육훈련에서의 정부 역할 = 7
1.1 직업교육훈련의 기능 = 7
1.2 직업교육훈련에서 정부 개입에 대한 논쟁 = 9
1.3 정부 개입의 유형 = 12
1.4 국가직업교육훈련정책 구조 = 17
모듈 2. 직업교육훈련의 관리 개념 = 25
단원 1. 훈련시스템 관리 = 25
1.1 직업교육훈련시스템의 주요 형태 및 훈련방법 = 25
1.2 직업교육훈련시스템의 관리능력과 제한점 = 32
1.3 전략적 관리 = 41
단원 2. 직업교육훈련 관리자의 책임 증진 = 48
2.1 정부의 관리 = 48
2.2 정부 부서 및 대행기관의 책임 증진 = 52
단원 3. 내부 관리정책 개발 = 63
3.1 직업교육훈련시스템의 효과적인 관리정책 = 63
3.2 관리도구로서 성과측정 = 72
모듈 3. 직업교육훈련 관리 및 조직 구조 = 77
단원 1. 조직 및 관리 구조의 개요 = 77
1.1 관리 구조 = 77
1.2 조직 구조 = 78
1.3 직업교육훈련시스템 조직 경향 = 85
1.4 직업교육훈련의 분권화 = 88
단원 2. 직업교육에 있어서 조직 구조 = 91
2.1 정부-관리 직업교육 = 92
2.2 관리 중개기관을 통한 관리 = 100
2.3 개별학교에 권한 위임 = 101
2.4 이원화제도 안내 = 103
단원 3. 노동시장 훈련에서의 조직 구조 = 105
3.1 노동시장 훈련구조의 형태 = 106
3.2 정부-관리 훈련시스템 = 107
3.3 국가훈련기관에 의한 훈련관리 = 114
3.4 관리 중개기관을 통한 훈련관리 = 120
단원 4. 산업기반 훈련조직 = 122
4.1 산업훈련조직의 유형 = 122
4.2 산업훈련기관 = 123
4.3 산업부문별 관리 및 훈련지원 조직 = 128
단원 5. 직업교육훈련 기술지원 조직 및 관리 = 131
5.1 지원구조의 개요 = 131
5.2 국가직업교육훈련 자격관리 = 133
5.3 국가교과과정개발 = 137
5.4 영국의 기술평가 및 인증관리 = 139
5.5 영국 직업훈련교사의 발전 = 142
모듈 4. 직업교육훈련 목표 설정 및 계획 = 145
단원 1. 직업교육훈련 계획 개념 = 145
1.1 계획의 필요성 = 145
1.2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계획 = 146
1.3 개인적 수요에 기반한 계획 = 148
1.4 시장신호에 기초를 둔 계획 = 151
1.5 전략적 국가 계획 = 152
단원 2. 시장신호에 기초를 둔 계획 = 154
2.1 노동시장 정보수집 = 154
2.2 노동시장 신호의 확인 = 159
2.3 노동시장 신호에 대한 대응 = 166
2.4 시장신호에 기반한 계획주기 = 169
단원 3. 전략적 직업교육훈련 계획 = 172
3.1 체계적인 전략적 계획 = 172
3.2 수익률 분석을 수반하는 전략적 계획 = 180
3.3 정책 고려사항과 국제적 비교를 수반하는 전략적 계획 = 184
3.4 전략적 계획에서의 공통문제 = 187
3.5 시스템적 전략적 계획의 예 : 호주 = 189
단원 4. 분석도구 = 206
4.1 프로그램 효율성 측정 = 206
4.2 프로그램 비용-효율성 측정 = 207
4.3 추적연구 = 209
4.4 역추적 연구 = 214
4.5 수익률 분석 = 214
모듈 5. 직업교육훈련 재정 = 223
단원 1. 직업교육훈련 재정의 개념 = 223
1.1 누가 훈련을 재정 지원해야 하는가? = 223
1.2 공공재정계획 = 229
1.3 재정문제와 해결책 = 233
1.4 분권화되고 시장중심적인 재정계획의 위험 = 235
1.5 직업교육훈련 재정 구조의 요건 =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