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생활경제와 경제학
1. 한국경제와 우리 생활
한국경제의 고도성장 = 14
1997년의 금융위기와 한국경제 = 16
기업 구조조정과 공기업의 민영화 = 16
경제개혁과 새로운 도약 = 19
2. 경제는 생활이다
자원의 희소성과 욕구의 무한성 = 20
세 가지 경제문제 = 23
생산과 소비 = 24
민간부문, 공공부문, 해외부문 = 26
3. 왜 경제학을 공부하는가
경제학이란 = 27
경제학을 공부하면 = 29
경제이론과 모형 = 32
경제학에는 어떤 분야가 있는가 = 33
요약 = 34
복습과 토론하기 = 35
제2장 수요ㆍ공급의 원리와 가격
1. 수요의 원리
수요표 = 36
수요곡선 = 37
수요의 법칙 = 38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39
수요곡선의 이동 = 41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 = 43
2. 공급의 원리
공급표 = 44
공급곡선 = 44
공급의 법칙 = 45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46
공급곡선의 이동 = 47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 50
3. 가격결정의 원리
시장 = 50
균형가격의 결정 = 51
균형가격의 변화 = 53
요약 = 56
복습과 토론하기 = 57
제3장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및 공급 대응의 민감도
1.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 대응의 민감도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 58
수요탄력성값의 측정 = 59
수요탄력성값과 수요곡선 = 61
수요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62
수요탄력성과 판매수입 = 63
2.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 대응의 민감도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란 = 65
공급탄력성값의 측정 = 65
공급탄력성값과 공급곡선 = 67
공급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69
3. 탄력성과 조세부담의 귀착
탄력성과 조세부담의 귀착 = 72
4. 정부의 가격통제 정책
가격상한선 설정 = 73
가격하한선 설정 = 75
요약 = 78
복습과 토론하기 = 79
제4장 상품의 효용과 소비자의 선택
1. 가계와 소비
2. 효용과 한계효용
효용이란 = 81
한계효용 = 82
3. 소비자의 선택
효용의 극대화 = 85
효용극대화가 달성된 상품조합 = 86
4. 수요곡선의 도출
수요의 법칙과 수요곡선 = 90
소득효과과 대체효과 = 91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 93
5. 소비자잉여
소비자잉여란 = 94
가격변화와 소비자잉여 = 96
요약 = 98
복습과 토론하기 = 99
제5장 생산의 원리와 생산비이론
1. 기업과 생산
기업이란 = 100
기업의 형태 = 101
기업의 자금조달 방법 = 105
소유와 경영의 분리 = 106
2. 생산비와 이윤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 및 회계학적 이윤과 경제학적 이윤 = 108
정상이윤 = 111
3. 단기에서의 생산과 생산비
고정요소와 가변요소 및 단기와 장기 = 112
생산함수와 수확체감의 법칙 = 112
비용과 비용곡선 = 116
4. 단기생산비와 장기생산비
포락선과 장기평균비용곡선 = 120
규모의 경제, 규모에 대한 보수불변, 규모의 비경제 = 121
비용곡선의 이동 = 123
요약 = 126
복습과 토론하기 = 127
제6장 경쟁이 완벽한 시장에서의 기업행동
1. 완전경쟁의 의미
2.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균형
이윤극대화 = 132
이윤 또는 손실 = 133
생산계속 또는 생산중단 = 134
3. 완전경쟁기업의 장기균형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 = 136
효율적 규모와 정상이윤 = 137
요약 = 140
복습과 토론하기 = 141
제7장 경쟁이 불완전한 시장에서의 기업행동
1. 독점시장
독점의 의미 = 142
독점기업의 균형 = 146
독점의 문제점 = 148
2. 과점시장
과점의 의미와 특성 = 150
과점시장의 균형 = 151
3. 독점적 경쟁시장
독점적 경쟁의 의미 = 154
독점적 경쟁기업의 균형 = 156
요약 = 158
복습과 토론하기 = 159
제8장 생산요소의 조달
1. 생산요소시장
생산요소란 = 160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 = 161
2. 노동의 수요
기업의 이윤 추구 = 163
노동수요량의 결정 = 164
노동수요곡선 = 166
3. 노동의 공급
노동공급자 = 169
노동공급곡선 = 169
4. 임금의 결정과 한계생산력이론
노동시장의 균형과 임금의 결정 = 170
한계생산력 이론 = 172
타요소와 노동의 차이 = 174
5. 자본시장과 이자율의 결정
자금의 수요와 공급 = 175
균형이자율 = 175
요약 = 178
복습과 토론하기 = 179
제9장 시장일까, 정부일까
1. 시장실패는 왜 일어날까
2. 외부효과와 정부의 역할
환경공해 = 181
정부의 개입 = 182
3. 공공재와 정부의 역할
공공재란 = 184
정부의 개입 = 185
4. 분배개선을 위한 정부의 역할
분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186
균등한 분배와 공평한 분배 = 187
정부의 역할 = 188
5. 정부지출과 조세
정부지출 = 191
조세 = 191
6. 공공선택의 원리
공공선택이론이란 = 193
정치적 시장 = 194
요약 = 196
복습과 토론하기 = 197
제10장 국가경제와 국민생활
1. 국가경제의 순환
생산과 소비의 되풀이 = 198
거시경제학의 주요과제 = 200
2. 총수요와 총공급
총산출과 물가수준 = 202
경기변동 = 205
3. GDP
GDP의 의미 = 208
GDP의 측정 = 208
명목 GDP, 실질 GDP, GDP 디플레이터 = 211
국민소득의 여러 가지 개념 = 214
GDP와 사회후생 = 216
요약 = 218
복습과 토론하기 = 219
제11장 국민소득의 결정과 정부의 재정지출
1. 소득, 소비, 지출
소비와 저축 = 220
한계소비성향과 한계저축성향 = 221
계획된 투자와 실제 투자 = 224
2. 정부와 총지출
정부지출 = 226
총지출 = 227
총소득과 가처분소득 = 230
균형국민소득 = 231
3. 재정정책
지출증가와 균형국민소득 = 235
승수 = 241
해외부문 = 241
요약 = 244
복습과 토론하기 = 245
제12장 화폐와 국민소득
1. 화폐란
화폐의 기능 = 246
화폐의 형태 = 248
화폐의 양 = 249
2. 화폐의 수요와 공급
화폐의 수요 = 250
화폐의 공급 = 253
화폐시장의 균형과 이자율의 결정 = 254
3. 화폐시장과 실물시장의 연결
이자율과 투자 = 255
통화정책과 균형국민소득 = 257
요약 = 260
복습과 토론하기 = 261
제13장 물가와 국민소득수준의 결정
1. 총수요
물가변화와 총지출의 변화 = 262
총수요곡선 = 263
2. 총공급
총공급의 개념 = 264
단기에서의 총공급곡선 = 265
3. 균형물가와 균형국민소득
균형물가의 결정 = 268
잠재 GDP와 장기에서의 총공급곡선 = 269
4. 재정 및 금융정책과 물가
재정 및 금융정책의 단기효과 = 272
재정 및 금융정책의 장기효과 = 273
요약 = 276
복습과 토론하기 = 277
제14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1. 실업
실업의 개념 = 278
실업이 발생하는 이유 = 281
실업의 폐해 = 283
2.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개념 = 285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 = 286
인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 = 288
인플레이션의 폐해 = 291
3.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필립스 곡선 = 294
자연실업률과 필립스 곡선 = 295
요약 = 298
복습과 토론하기 = 299
제15장 개방경제 : 국제무역과 국제금융
1. 국가간의 상품흐름과 화폐흐름
수출과 수입 = 300
무역수지의 흑자와 적자 = 303
2. 국가간에 무역이 이루어지는 이유
비교우위론 = 304
교역조건과 무역으로부터의 이익 = 307
3. 환율과 국제수지
환율의 의미 = 308
환율의 결정원리 = 310
국제수지 = 312
4. 무역정책과 국가경제
무역제한의 수단 = 314
환율과 무역 = 315
수출입과 균형국민소득 = 316
요약 = 318
복습과 토론하기 = 319
제16장 경제성장과 경제발전
1. 경제성장 : 어떤 의미이며 그 원천은
경제성장의 의미 = 320
생산지원과 경제성장 = 323
생산성과 경제성장 = 324
경제성장에 대한 찬반논쟁 = 326
2. 경제발전 : 어떤 의미이며 그 전략은
경제성장과 경제발전 = 327
경제발전전략 = 330
경제발전의 주요 논제 = 330
요약 = 334
복습과 토론하기 = 335
제17장 경제체제의 문제
1. 대전환기
2. 계획경제냐, 시장경제냐
사회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 = 338
칼 마르크스 = 341
3. 소련의 변화
요약 = 348
복습과 토론하기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