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7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844460 | |
005 | 20100806074631 | |
007 | ta | |
008 | 031118s2003 ulka 001a kor | |
020 | ▼a 8975487970 ▼g 93370 : ▼c \14000 | |
035 | ▼a KRIC08600913 | |
040 | ▼a 222001 ▼c 222001 ▼d 999999 ▼d 211009 | |
049 | 1 | ▼l 111245031 ▼l 111245032 |
082 | 0 4 | ▼a 371.1 ▼2 21 |
090 | ▼a 371.1 ▼b 2003a | |
100 | 1 | ▼a 한숙경, ▼e 지음 |
245 | 2 0 | ▼a (신)교사론 : / ▼d 한숙경 지음. |
246 | 1 3 | ▼a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를 위한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3. | |
300 | ▼a 410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부록: 내가 선생님이 되려는 이유(예비 교사들의 글모음), 내가 다시 대학생이 된다면(현직 교사들의 글모음) |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393-403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1 2003a | Accession No. 1112450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1 2003a | Accession No. 1112450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한숙경(지은이)
전주교육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를 전공하여 교육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인지양식, 창의성, 상담, 학습장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왔으며, 교육대학,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등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심리, 아동발달, 생활지도와 상담, 학습심리, 특수아의 이해와 상담, 교수학습이론 등을 강의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로 12년 6개월을 재직한 후, 현재는 전라북도교육연수원 장학사, 전주교육대학교 겸임교수로 있으며,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주교육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교육학개론>(공저), <효과적인 학급경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공저), <얼굴 인식의 발달>(공역) 등의 저서와, 인지양식 및 창의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학적 평가 사례, 초등학교 학습장애 아동의 인지특성 및 성격특성 분석, 학습장애 아동의 독해전략 훈련 효과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교직에 대한 이해 = 11 제1장 변화하는 교사 = 13 1. 교사의 중요성 = 15 2. 21세기와 교사 = 19 제2장 교직에 대한 이해 = 23 1. 교직의 장점 = 25 2. 교직의 단점 = 29 3. 보람과 갈등 = 32 제3장 교직생활을 위한 준비 = 41 1. 교원의 종류와 자격 = 43 2. 교원의 권리와 의무 = 57 3. 교사의 역할 = 72 제4장 교원의 사회경제적 지위 = 85 1. 교원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 = 87 2. 교원의 보수 = 90 제5장 교사의 성장 = 99 1. 교직관의 변화 = 101 2. 교직의 전문성 = 106 3. 교사의 전문성 신장 = 111 제6장 교원단체 = 127 1. 교원단체의 의의와 역할 = 129 2. 우리 나라의 교원단체 = 131 3. 문답으로 알아본 교원노조제도 = 139 제2부 학습자에 대한 이해 = 163 제7장 학생들은 서로 어떻게 다른가 = 165 1. 개인차에 대한 인식 = 168 2. 가정환경 = 169 3. 성차 = 172 제8장 지능에서의 개인차 = 179 1. 지능의 의미 = 181 2. 지능이론 = 182 3. 지능검사의 종류와 활용상의 유의점 = 190 제9장 창의성 = 197 1. 창의성의 의미 = 199 2. 창의성의 구성 요인 = 203 3. 창의적인 사람의 특성 = 206 4.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의 방향 = 208 제3부 성공하는 교사 = 217 제10장 교사효과성 = 219 1. 효과적인 교사 = 221 2. 학습부진아의 이해와 지도 = 226 제11장 학급경영 = 257 1. 학급경영의 의미와 중요성 = 260 2. 학급경영의 세 가지 논쟁점 = 262 3. 첫 날 = 265 4. 학생의 행동 관리 - 행동수정기법의 활용 = 270 5. 체벌 = 277 제12장 학교상담 = 293 1.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개념 = 295 2. 학교상담과 생활지도의 필요성 = 300 3. 상담이론 = 302 4. 학교상담의 특징 = 309 5. 학교상담의 영역 = 311 6. 집단지도 프로그램 = 315 제13장 학교에서의 인간 관계 = 329 1. 학생과의 관계 = 331 2. 동료 및 교장과의 관계 = 335 3. 학부모와의 관계 = 338 부록 = 361 내가 선생님이 되려는 이유(예비 교사들의 글모음) = 363 내가 다시 대학생이 된다면(현직 교사들의 글모음) = 379 참고문헌 = 393 찾아보기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