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떨림과 되살림의 풍경교향곡 : 우리시대 문예 창작 스펙트럼

떨림과 되살림의 풍경교향곡 : 우리시대 문예 창작 스펙트럼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길수, 지음
Title Statement
떨림과 되살림의 풍경교향곡 : 우리시대 문예 창작 스펙트럼 / 김길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푸른사상사 ,   2003.  
Physical Medium
305 p. : 도판 ; 23 cm.
ISBN
8956400938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642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842921
005 20100806070829
007 ta
008 031112s2003 ulkf 001a kor
020 ▼a 8956400938 ▼g 03810 : ▼c \1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53264 ▼l 111253265
082 0 4 ▼a 801.9 ▼2 21
090 ▼a 801.9 ▼b 2003
100 1 ▼a 김길수, ▼e 지음 ▼0 AUTH(211009)95096
245 1 0 ▼a 떨림과 되살림의 풍경교향곡 : ▼b 우리시대 문예 창작 스펙트럼 / ▼d 김길수 지음.
260 ▼a 서울 : ▼b 푸른사상사 , ▼c 2003.
300 ▼a 305 p. : ▼b 도판 ; ▼c 23 cm.
500 ▼a 색인수록
740 ▼a 우리시대 문예 창작 스펙트럼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 2003 Accession No. 1112532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801.9 2003 Accession No. 1112532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9 2003 Accession No. 1511580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 2003 Accession No. 1112532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801.9 2003 Accession No. 11125326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9 2003 Accession No. 1511580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길수(지은이)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 교수 순천시립극단 예술감독 역임, 성균관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박사 한국연극학회 이사, 한국드라마학회 이사,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이사, 전국연극제, 광주연극제, 전북연극제 심사위원 역임, 신춘문예 및 각종 문예지 심사위원 저서로는 "우리시대 삶과 연극의 조망 - 해체극, 상황극, 희비극"(현대미학사), "남도의 희곡미학"(도서출판 누리기획). "한국작가론"(공저,평민사),"떨림과 되살림의 풍경교향곡-우리 시대 문예창작 스펙트럼"(푸른사상), "남도의 문예창작 스펙트럼"(도서출판 이유)이 있다. 작품.연출.예술감독 작으로는 "땅이여 사랑일레라", "동승","백베드"외 다수가 있다. 수상경력으로 제3회 여석기연극평론가상 수상(한국연극평론가 협회 주최, 심사위원 - 유민영 단국대 교수 외 6인), 제2회 PAF(Performing Arts and Film Review)비평상(연극 평론부문, 심사위원 - 한상철 한림대 교수 외 4인, 현대미학사 양혜숙 이화여대 교수 외3인), 제1회 국립순천대학교 학술상(인문예체능부문, 국립순천대학교 총장 주관)을 수상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1. 삶과 문학, 그 완결을 향한 운동의 시학 - 릴케의 문학 풍경과 창작 예술관
 A. 릴케의 창작 예술관 = 11
 B. 릴케의 창작 문화관, 그 형성과 토대 : 〈서시〉 - 통찰, 인내, 무소유의 세계 = 18
 C. 릴케의 시 창작 방식 - 시점의 교차와 의인화 처방 - 실존회복을 겨냥한 사물시의 묘미 : 〈로마의 분수〉 = 22
 D. 삶과 문학, 그 완결을 향한 운동의 시학 = 29
2. 절제의 시학, 비어있음의 공법 - 서정춘의 문학 창작 세계
 A. 궁핍의 창작문단을 향한 독백성 절규 - 서정춘의 창작 화두 : 〈아 나의 농사는 참혹하구나〉 = 33
 B. 참 살아가기 방식을 일깨운 시 쓰기 : 〈죽편(竹篇) 1〉 = 36
 C. 구원 회복의 새 지평으로서 시적 변용의 힘 : 〈가뭄타령〉 = 38
 D. 감추기를 거부한 회상의 메아리 : 〈백석 시집에 관한 추억〉 = 43
 E. 감동의 사물체험, 그 되살리기의 시학 : 〈오늘, 그 푸른 말똥이 그립다〉 = 45
 F. 절제의 시학, 비어있음의 공법 : 〈죽편 2〉 = 47
 G. 날숨과 들숨의 선(禪) 세계(世界) : 〈죽편 3〉 = 51
3. 떨림과 되살림의 풍경 교향곡 - 송수권의 서정 세계와 문학 담론
 A. 길의 죽음, 삶의 부활, 신명난 술통 : 〈시골길 또는 술통〉 = 55
 B. 떨림과 되살림의 풍경 교향곡 : 〈눈 내리는 대숲 가에서〉 = 63
 C. 열린 세계를 향한 이름 부르기 : 〈내 이름〉 = 66
 D. 회상의 나래짓, 참다운 만남 : 〈산문(山門)에 기대어〉 = 68
4. 문학의 영속성, 변화의 양면성 - 괴테와 힐데 도민의 창작 스펙트럼
 A. 변화의 양면성, 문학의 영속성 - 괴테의 문학 창작 스펙트럼 : 〈변화 속의 지속〉 = 72
 B. 방관자인가, 참여자인가, 용기 있는 시인인가 - 힐데 도민의 문학 창작 스펙트럼 : 〈용기를 고양시키기 위한 노래Ⅱ〉 = 92
5. 눈물짓기, 뜨거움과 잊어버리기의 양면미학 - 우리시대 서정 문학 담론
 A. 드러내기를 거부한 자기침잠의 시학 : 노향림의〈섬〉 = 106
 B. 실존의 내면 울림 : 고재종의〈강변연가〉 = 109
 C. 눈물짓기, 뜨거움과 잊어버리기의 양면미학 : 김혜순의〈리듬〉 = 112
 D. 비유 기호와 감각 언어의 앙상블 : 김혜순의〈잘 익은 사과〉 = 115
 E. 풀어내기, 하나되기를 겨냥한 창조의 숨결언어 : 최덕원의〈풍각장이〉 = 117
 F. 삽질의 바보 미학, 그 치유의 아리아 : 이성부의〈전라도 7〉 = 121
 G. 호흡, 신바람, 그 열림의 묘미 : 최평호의〈저녁〉 = 123
6. 집단의 부조리와 반 현실적 기괴성 - 현대 소설 풍경 산책 1
 A. 해체구조와 탈 자아 : 〈말테의 수기〉 = 128
 B. 변신을 통해 본 가족 공동체의 부조리 : 카프카의〈변신〉 = 137
 C. 집단의 부조리와 반현실적 기괴성 : 그라스의〈양철북〉 = 143
7. 연민과 광기의 줄다리기 - 현대 소설 풍경 산책 2
 A. 연민과 광기의 줄다리기 : 전경린의〈안마당이 있는 가겟집 풍경〉 = 148
 B. 삶, 죽음, 심판, 그 역설과 부조리 : 카프카의〈심판〉 = 156
8. 형식의 문과 느낌의 문, 그 화두풀이의 미학 - 현대 연극 미학 담론 1
 A. 형식의 문과 느낌의 문, 그 화두풀이의 미학 : 이강백의〈느낌, 극락 같은〉 = 163
 B. 상징극의 아름다움, 그 서정성과 되돌아보기의 맛 : 김정숙의〈몽연(夢戀)〉 = 182
9. 미완의 사랑과 떠올리기 품격 - 현대 연극 미학 담론 2
 A. 눈 떠가기를 향한 탐구 여행, 그 연극적 아리아 : 장정일의〈오이디푸스와의 여행〉 = 196
 B. 미완의 사랑과 떠올리기 품격 : 이윤택의〈어머니〉 = 204
10. 구원과 안식, 나의 문제가, 너의 문제인가 - 우리시대 방송 드라마 풍경과 창작 담론
 A. 비어있음, 독백 기다림의 삼중주 : 〈다향〉 = 218
 B. 감추기와 속이기의 희극 드라마 : 〈훈수〉 = 227
 C. 구원과 안식, 나의 문제인가, 너의 문제인가 : 〈홀리데이〉 = 239
11. 사회의 병리현상, 그 대응의 양면성과 비극성 - 우리시대 방송 드라마 화두 : 〈모래시계〉
 A. 회상과 긴장, 죽음의 서정성 = 249
 B. 저항과 초월, 그 충돌의 미학 = 255
 C. 광주의 진실, 감동과 꿈의 역사 = 262
 D. 사회의 병리현상, 그 대응의 양면성과 비극성 = 270
12. 경계 뛰어넘기의 미학, 그 사랑의 아리아 - 현대 영화 풍경 담론
 A. 신발과 인간 현존, 그 상징의 함수 관계 : 〈천국의 아이들〉 = 280
 B. 경계 뛰어넘기의 미학, 그 사랑의 아리아 : 〈인어공주〉 = 291
찾아보기 = 30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