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문학의 이해

현대문학의 이해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민수, 저 엄해영, 저 전기철, 저
서명 / 저자사항
현대문학의 이해 / 박민수 ; 엄해영 ; 전기철 共著.
발행사항
서울 :   느티나무 ,   2003.  
형태사항
321p ; 23cm.
ISBN
8985627260
일반주기
색인 : p.311  
000 00619namccc200229 k 4500
001 000000842904
005 20100806070758
007 ta
008 031112s2003 ulk 001a kor
020 ▼a 8985627260 ▼g 93810 : ▼c \134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50693 ▼l 111250694
082 0 4 ▼a 801 ▼2 21
090 ▼a 801 ▼b 2003c
100 1 ▼a 박민수, ▼e▼0 AUTH(211009)9314
245 1 0 ▼a 현대문학의 이해 / ▼d 박민수 ; ▼e 엄해영 ; ▼e 전기철 共著.
260 ▼a 서울 : ▼b 느티나무 , ▼c 2003.
300 ▼a 321p ; ▼c 23cm.
500 ▼a 색인 : p.311
700 1 ▼a 엄해영, ▼e▼0 AUTH(211009)50904
700 1 ▼a 전기철, ▼e▼0 AUTH(211009)117636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3c 등록번호 1112506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 2003c 등록번호 1112506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민수(지은이)

춘천 출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고, 춘천교육대학교에서 문학을 강의하는 교수로 살아왔다. 1975년부터 문단 활동을 시작하여 이후 <개꿈> <낮은 곳에서> 등 여러 권의 시집을 낸 바 있으나, 한 동안 시를 떠나 뇌의 과학세상에 살며 인간의 존재 근원을 탐구하는 연구 활동에 몰입한 바도 있다. 지금은 '박민수 뇌경영연구소'를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시와의 새로운 만남을 위해 또 다른 시 세상 창조에 열중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문학 이해의 기초
 1. 문학이란 무엇 인가 = 11
  1) 문학의 개념 = 13
  2) 문학의 성격 = 14
 2. 문학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그 특성은 무엇인가 = 30
  1) 문학의 종류 = 30
  2) 문학의 보편성과 개별성 = 33
  3) 문학의 구조와 그 요소 = 37
 3. 문학이 담고 있는 가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45
  1) 언어적 체험과 풍부한 언어 생활의 인간화 = 47
  2) 정서적 체험과 풍부한 감정 생활의 인간화 = 47
  3) 미적 세계 체험과 직관적 상상 능력의 인간화 = 48
  4) 다양한 정신 체험과 자기 사상 확립의 인간화 = 49
  5) 역사적 현실의 통찰과 사회적 인간화 = 49
  6) 인간의 분석적 인식과 참된 가치 지향의 인간화 = 50
 4. 문학의 어떤 방법으로 받아들여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가 = 51
 5. 문학의 가치 평가는 어떤 기준 위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 55
  1) 예술적 메시지, 또는 작가 정신의 측면 = 56
  2) 형식과 표현, 또는 문체의 측면 = 57
  3) 역사적, 사회적 존재성의 측면 = 60
  4) 공감의 측면 = 61
제2부 시(侍)의 이해
 1. 시란 무엇인가 = 67
  1) 시는 운문적 언어 구성체이다 = 68
  2) 시는 서정적 상상의 구성체이다 = 72
  3) 시는 비약적 의미 작용의 구성체이다 = 78
 2. 시를 이루는 요소와 그 기능은 무엇인가 = 81
  1) 담론적 요소 = 82
  2) 허구적 상상 요소 = 89
  3) 수사적 표현 요소 = 94
  4) 형식 요소 = 102
  5) 개념적 의미 요소 = 106
  6) 정서적 요소 = 112
 3. 시가 담고 있는 주된 가치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114
  1) 미적 언어의 체험 요소 = 116
  2) 함축척 의미의 체험 요소 = 118
  3) 직관적, 미적 상상 세계의 체험 요소 = 122
  4) 정서적 체험 요소 = 125
 4. 시는 어떤 방법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가 = 127
  1) 분석과 이해 = 128
  2) 해석과 설명 = 131
  3) 가치 평가 = 133
  4) 가치 수용과 자기화 = 134
 5. 시의 가치 평가는 어떤 기준 위엥서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가 = 137
  1) 예술적 메시지의 측면 = 137
  2) 형식과 표현, 또는 문체의 측면 = 144
  3) 역사적, 사회적 존재성의 측면 = 149
제3부 소설의 이해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156
  1) 소설의 형성과정 = 156
  2) 소설의 개념 및 특성 = 161
 2. 소설의 성격적 특성은 무엇인가 = 164
 3. 소설을 이루는 구성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165
  1) 플롯(plot) = 165
  2) 인물(character) = 177
  3) 주제(theme) = 186
 4. 소설은 어떤 방법으로 주제에 접근하는가 = 193
  1) 서술의 초점으로서의 시점(point of view) = 193
  2) 거리(distance) = 203
  3) 패턴(pattern) = 211
  4) 문체와 톤 = 213
제4부 희곡과 연극의 이해
 1. 희곡이란 무엇인가 = 221
 2. 희곡을 이루는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23
  1) 구상(plot) = 224
  2) 인물의 성격(character) = 227
  3) 주제(theme hought) = 230
  4) 대사(dialogue) = 231
 3. 희곡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그 특성은 무엇인가 = 234
 4. 희곡의 문학적 가치는 무엇인가 = 236
 5. 희곡은 어떻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가 = 238
제5부 수필의 이해
 1. 수필이란 무엇인가 = 245
  1) 수필의 개념 = 245
  2) 수필과 에세이 = 247
 2. 수필의 특성은 무엇인가 = 248
  1) 수필의 형식 = 248
  2) 수필의 개성 = 250
  3) 수필의 제재 = 251
  4) 수필의 문학성 = 252
 3. 수필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54
  1) 경수필 = 254
  2) 중수필 = 256
 4. 수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257
  1) 수필의 주제 = 257
  2) 수필의 구조 = 258
  3) 문체 = 260
제6부 비평의 이해
 1. 비평이란 무엇인가 = 265
 2. 문학 비평과 문학 이론, 문학사와의 관계는 무엇인가 = 267
 3. 비평의 기능은 무엇인가 = 270
  1) 해석 = 271
  2) 가치평가 = 274
  3) 비평 정신 = 278
  4) 비평가의 임무 = 280
 4. 비평의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81
  1) 비평의 좌표 = 281
  2) 비평의 방법 = 287
  3) 비평의 유형 = 30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