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창조력의 본질 = 17
1. 창의력 교육의 필요성 = 17
1) 삶의 즐거움 증진 = 17
2) 공동체 문제해결 = 18
3) 변화에의 적용 = 18
4) 생존의 조건으로서의 창의성 = 18
5) 국가 발전을 위한 창의력 = 19
6) 전문가가 되기 위한 창의력 = 19
7) 교육의 목표로서 창의성 = 20
8) 영재 교육을 위해 = 20
9) 나노가 여는 세상 = 21
10) 미래에 대비한 창의성 교육 = 22
11) 교육과정상의 필요성 = 22
2. 창의력의 교육 가능성 = 23
3. 창조력의 개념 정의 = 27
1) 창의력 = 29
2) 창의적인 인성 = 33
4. 창의력의 적용 영역 = 33
1) 창의력의 두 가지 육성 영역 = 35
2) 가상 공산을 통한 미래 세계의 체험설계 영역 = 37
3) 창의적 인간육성을 위한 교육체제 정비 = 38
제2장 창의력 개념의 오해 현상 = 41
1. 창의력과 교육 철학 = 41
1) 철학사와 두 가지 이론의 갈등 = 41
2) 정치·사회학의 두 조류 갈등 = 43
3) 교육철학에서의 두 가지 조류 = 45
4) 현재 교육현장의 두 조류 갈등 = 46
5) 올바른 교육철학의 탐색 = 49
6) 창의력과 교육철학 = 49
2. 창의력의 수월성 추구 방안 = 50
3. 창의력 교육에 대한 교육계의 동향 = 55
4. 장학진의 창의력 교육의 추진 동향 = 55
5. 시중의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 분석 = 57
1) 활동들 사이에 스토리가 연결되어야 한다 = 58
2) 사고의 구조를 고려한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 59
6. 현행 창의력 교육의 한계 = 61
7. 창의력은 지능과 다르다는 점의 해석상 오류 = 64
제3장 창의적인 인간의 특성과 육성전략 = 65
1. 창의적인 인간의 사례 = 65
1) 증기기관차의 스티븐슨 = 65
2) 원소 주기율의 멘델레프 = 66
3) 신사고 이론의 이면우 = 66
4) 네스카프의 클라크 = 67
5) 뉴턴 = 68
2. 창의적인 인간의 특성 = 69
1) 동기 = 69
2) 윤완의 창의적 성향 = 70
3) 황인각의 창의적 성향 = 71
4) 김재섭의 창의적인 성향 = 71
5) 윤종건의 창의적 성향 = 72
6) 메키논의 창의적 성향 = 73
7) 성취동기 이론 = 73
3. 창의적 인성의 육성 방안 = 74
제4장 창의력 육성의 전략 = 77
1. 창의력의 육성 가능성 = 77
2. 육성 전략의 근간 = 79
3. 수렴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의 상승작용 원리 = 80
1) 사례 1 : 학문에서의 천재적 창의성 발휘 메커니즘 = 80
2) 사례 2 : 기업경영과 기술개발에서의 창의성 발휘 메커니즘 = 82
3) 에드워드 드 보노의 사례연구 = 83
4) 창의적인 성과물에서의 사고과정 = 84
5) 사례 3 : 창조 공학의 창조력 접근 방법 = 86
4. 창의력 발휘에서 수렴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의 역할에 대한 의견 = 87
1) 지능 구성 요소로서의 관계 = 88
2) 천재적 창의성의 본체 = 89
3) 미국의 생존적 창의성을 기르는 교육방법 = 91
4) 새로운 지식 창출에서의 관계 = 94
5) 과학 창의력에서의 관계 = 97
6)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관계 = 98
7) 아이디어 창안과 그 창조적 활동 단계에서의 관계 = 112
8) 학교의 지식 교육을 중시하는 미국 교육 = 118
5. 창의력 프로그램의 개발 = 119
제5장 상상력 개발 전략 = 121
1. 상상력과 창의력 = 121
2. 우뇌 기능(상상력) 증진 기법의 활용 = 123
3. 영성 심신수련 프로그램의 활용 = 124
1) 동서양의 전통적 전인교육 : 창의성 개발의 토대 = 124
2) 창의적 사고개발 기법 = 125
3) 영성심신수련을 통한 SQ·창의성 개발 = 126
4. 심상적 상상력의 발휘 방법의 활용 = 128
1)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상상력의 세계 = 129
2) 지식 개념의 확대 = 131
3) 단절 = 134
5. 직관의 사용 = 137
1) 직관의 정의 = 137
2) 직관의 사용시기 = 141
3) 직관을 이용한 정보 수집 = 142
4) 직관의 사용방법 = 142
5) 직관력을 의사결정에 이용하기 = 144
6) 직관의 언어적 표현 = 146
6. 학파별 시각에서 발상 시각 획득 = 149
1) 해석학의 시각 = 150
2) 구성주의 교육학의 시각 = 152
3) 지식 경영론의 시각 = 154
4) 이슬람 근본주의 = 157
5) 중국사상 = 159
7.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습관 익히기 = 160
1) 상상력 발휘의 기제 = 160
8. 개념 변형과 가시화의 상상력 증진 전략 이용 = 183
1) 개념 변혁의 상상력 = 184
2) 창조적 방법의 가시화 = 190
9. 발상 다양화 기법 활용 = 195
10. 생활 속의 기지 발휘 예의 활용 = 196
11. 논리 조작에서 기지 활용 문항의 이용 = 198
1) 점체계(粘體系) 테스트 = 198
2) 변화 심벌 테스트 = 198
3) 연상유창성(聯想流暢性) 테스트 = 199
4) 표현 유창성(表現流暢性) 테스트 = 199
5) 대체(代替) 사인 테스트 = 199
6) 결과 테스트 = 200
7) 이름짓기(또는 이름 바꾸기) 테스트 = 200
12. 상상력을 사용한 학술적 난제 극복 사례 활용 = 200
13. 영감 계시 획득법 활용 = 202
1) 화상명료화 = 202
2) 창조적 이미지네이션 = 203
3) 마음의 창을 열고 정신을 쉬게 하라 = 204
4) 영감을 얻기 위한 대비사항 = 205
14. 상상력 발휘를 위한 경영 기법 = 207
1) 나선형 지식창조의 과정 = 208
2) 지식창조의 새로운 방법 : 은유, 유추, 모델 = 211
15. 발명 단계에 따른 상상력 발휘 과정 이용 = 215
1) 추상화 = 216
2) 유추 = 218
3) 발명에 있어서의 개념 결합 = 220
4) 상상적 모형과 가시화 = 221
5) 상상적 결합을 이용한 신제품 아이디어 창출 = 222
6) 인큐베이션과 통찰력 = 223
16. 사업에서 상상력을 발휘 = 223
1) 생각을 바꾸면 길이 보인다 = 227
2) 운도 사람보고 따른다 = 235
3) 죽이는 제품 = 237
4) 죽이는 팀 = 238
5) 죽이는 과정 = 239
6) 공유의 원칙 = 244
7) 끊임없이 숙성시켜라 = 245
17. 상품 개발의 상상력 발휘 = 246
1) 구매자와 사용자의 상상적 모형 = 247
2) 혁신적인 제품과 혁신적인 과정 = 247
3) 작은 변화와 큰 이익 = 248
4) 변해야 할 때와 변하지 말아야 할 때 = 249
5) 조직과 개인 = 250
18. 과학과 예술의 상상력 발휘 = 251
1) 화학과 음악의 발견 - 물리스와 폴리메라제 연쇄반응 = 251
2) 베토벤의 '캐논' = 251
3) 과학과 예술 = 252
4) 과학적 과정 = 252
5) 예술적 과정 = 253
6) 과학에 있어서의 예술과 예술에 있어서의 과학 = 253
7) 과학과 예술이 공유하는 것 : 유형, 운동, 그리고 패러다임 = 254
8) 과학과 예술에 있어서의 창조적 인식 = 254
9) 직관과 재구성 - 과학에서의 직관과 재구성 = 254
10) 예술에서의 직관과 재구성 = 255
11) 개념화 유추 = 255
12) 개념결합 = 256
13) 창조성과 지식의 역할 = 258
14) 발견을 위한 지식을 다루는 컴퓨터프로그램 = 258
15) 준비된 정신 = 259
16) 과학적 발견을 위한 형상의 역할 = 260
17) 창조 이전 단계의 형태를 사용한 발견 - 시험된 과학적 '발견' = 260
18) 예술에서의 긴급 구성 = 260
19) 과학과 예술에서의 창조적 현실주의와 구성 = 261
19. 오락의 상상력 발휘 = 262
1) 게임, 스포츠, 그리고 오락 = 262
2) 언어와 함께 하는 더 많은 즐거움 - 합성어와 몰지각 속의 지각 = 266
3) 전문어와 표현 : 스페이드를 쇼빗이라고 부르기 = 268
4) 확장된 말장난의 고통스러운 기쁨 = 270
5) 대화 중 은유 만들기 = 270
6) 대화의 자연스러운 흐름 이용하기 = 271
7) 개인적인 상품을 위한 아이디어 = 272
20. 공상과학과 판타지 소설의 상상력 발휘 = 274
1) 아이디어 창조를 위한 개념 결합 = 275
2) 별로 낯설지 않은 외계인 = 278
3) 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법칙 = 278
4) 지구동물을 모델로 사용하라 = 278
5) 비전형적인 지구 동물의 특이함을 증가시켜라 = 279
6) 추상화를 통한 특이성을 증가시켜라 = 279
7) 지식과 상상적 모형의 체계적 탐구 = 279
8) 새로운 외계인을 탄생시키고 연구하기 위한 유추 = 280
9) 창조적 형상 기술을 통해 지식과 결별하라 = 280
10) 독자를 위한 형상을 창조하라 = 281
11) 외계의 창조물을 넘어서 = 281
21. 서양 문명사의 예술적 상상력 발휘 예시 = 282
제6장 논리적 사고력의 개발 전략 = 283
1. 창의력에서의 상상력과 논리력 = 283
2. 논리적 정당화의 방법 = 286
3. 연역 추리 = 291
1) 타당한 논증 = 291
2) 타당성 : 다음 각 논증은 타당한가? = 291
3) 연역논증의 분석 평가 방법 = 292
4. 귀납 추리 = 292
1) 특수 사실과 일반적 사실 = 292
2) 귀납논증의 분석 평가 방법 = 293
5. 유비 추리 = 293
1) 화성 탐사선과 홀인원 = 293
2) 유비 논증의 분석·평가 방법 = 294
6. 가설 추리 = 294
1) 가설의 탑 = 294
2) 가설 논증의 분석·평가 방법 = 295
7. 논리력 증진을 위한 기법(1) : NIE 탐구 공동체 운영 = 295
1) NIE와 창의성 교육 = 295
2) NIE 탐구공동체 운영을 위한 기본전략 = 298
3) 사이버 탐구공동체 활동 = 302
4) NIE 탐구공동체 활동의 예시(통합 교과 수업) = 304
5) 탐구공동체에서의 토론 진행법 = 310
6) 맺음말 = 315
8. 논리력 증진을 위한 기법(2) : 논술 지도 = 317
9. 논리력 증진을 위한 기법(3) : 과제(문제) 해결 학습 = 318
10. 상상력과 논리력이 연결되는 메커니즘 연구 = 322
1) 연역법과 상상력 = 323
2) 귀납법과 상상력 = 323
3) 가설적 방법과 상상력 = 324
4) 유비법과 상상력 = 325
제7장 창조력 발휘 기법 및 육성의 실제 = 327
1. 창의력 발휘 기법의 실제 = 327
1) 개요 = 327
2) 오스본의 창의 과정 = 327
3) 창의성 계발을 위한 여러 가지 기법 = 328
4) 창의적 진리 탐구의 단계들 = 328
5) 창의성 자극을 위한 수업 기반 = 329
6) 혁신을 다루는 법 - 팀워크 = 331
7) 카네기의 창의기법 = 332
2. 학교 창조력 교육의 실제 = 338
1) 지식 교실 수업에의 창조력 지도 = 338
2) 창조력 교육의 고려점 = 341
3) 국어과의 연역·귀납 교수-학습 과정안 = 343
4) 국어과의 연역·유비 교수-학습 과정안 = 345
5) 국어과의 귀납 교수-학습 과정안 = 347
6) 즐거운 생활과의 유비 교수-학습 과정안 = 348
7) 수학과의 귀납 교수-학습 과정안 = 350
8) 수학과의 연역 교수-학습 과정안 = 352
9) 수학과의 귀납·연역 교수-학습 과정안 = 354
10) 도덕과의 연역·귀납 교수-학습 과정안 = 356
11) 사회과의 귀납·가설 교수-학습 과정안(1) = 358
12) 사회과의 귀납·가설 교수-학습 과정안(2) = 359
13) 미술과의 유비 교수-학습 과정안 = 361
14) 음악과의 연역 교수-학습 과정안 = 363
15) 국어, 음악과의 연역 교수-학습 과정안 = 364
16) 유치원 귀납·유비 일일활동 계획안 = 366
17) 과학과의 가설 교수-학습 과정안 = 369
18) 영어과의 귀납 교수-학습 과정안 = 372
3. 창의적인 환경조성 = 377
1) 사회적 환경 조성 = 377
2) 창의적인 학교 환경 조성 = 384
4. 창의적인 발문법 = 386
1) 과정 진행 발문 = 386
2) 창의적 인성 발문 = 387
3) 논리적 사고 발문 = 388
4) 상상력 신장을 위한 발문 = 395
5. 창의력 평가 = 401
1) 창의적 학습결과물 평가 = 402
2) 길포드 사고요인설에 의한 검사 = 403
3) 창의력 검사도구 활용 = 403
부록
Ⅰ. 발상(상상력) 다양화 기법 = 407
Ⅱ. 논리조작에서의 기지활용 문항 = 440
Ⅲ. 수학적 논리조작에서의 기지(상상력) 활용 문항 = 488
Ⅳ. 상상력사용 학술적 난제 극복 사례 = 549
Ⅴ. 예술사의 상상력 예시 = 570
참고문헌 = 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