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개방경제 거시경제론 : 이론과 정책 개정판

개방경제 거시경제론 : 이론과 정책 개정판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동운 , 1941-, 저
Title Statement
개방경제 거시경제론 : 이론과 정책 / 박동운 저.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영지문화사 ,   2002.  
Physical Medium
267 p. : 삽도 ; 26 cm.
ISBN
8971940972 :
General Note
부록 : 종합계정  
000 00657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842458
005 20100806065532
007 ta
008 031111s2002 ulka 000a kor
020 ▼a 8971940972 : ▼c \16000
035 ▼a KRIC08564753
040 ▼a 241044 ▼c 241044 ▼d 211009
049 1 ▼l 111252529 ▼l 111252530
082 0 4 ▼a 339 ▼2 21
090 ▼a 339 ▼b 2002a
100 1 ▼a 박동운 , ▼d 1941-, ▼e▼0 AUTH(211009)37804
245 1 0 ▼a 개방경제 거시경제론 : ▼b 이론과 정책 / ▼d 박동운 저.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영지문화사 , ▼c 2002.
300 ▼a 267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 : 종합계정
740 ▼a 이론과 정책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9 2002a Accession No. 11125253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9 2002a Accession No. 11125252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편 거시경제학의 기초이론
 1장 서론 = 15
  1. 거시경제학이란? = 15
  2. 거시경제학의 쟁점 = 16
   (1) 경제적 이슈에서의 쟁점 = 17
   (2) 학파간 이론에서의 쟁점 = 18
  3. 거시경제학을 공부하는 목적 = 19
  4. 이 책의 접근방법 = 19
  5. 이 책의 순서 = 20
 2장 주요 거시경제변수 = 23
  1. 통화 = 23
  2. 금리 = 26
  3. 재정 = 27
  4. 증권 = 28
  5. 국제수지 = 29
  6. 환율 = 29
  7. 물가 = 32
  8. 고용과 임금 = 33
 3장 국민소득계정 = 35
  1. 국민소득이란 무엇인가? = 35
  2. 국민소득의 여러 가지 개념 = 37
   (1) 국내총생산 = 37
   (2) 국내총소득 = 38
   (3) 총생산과 순생산 = 40
   (4) 시장가격 국민소득과 요소비용 국민소득 = 41
   (5) 처분가능소득 = 42
   (6) 명목국민소득과 실질국민소득 = 43
  3. 국민소득의 추계방법 = 45
   (1) 생산접근방법 = 46
   (2) 지출접근방법 = 46
   (3) 분배접근방법 = 47
  4. 국민계정제표의 활용 = 48
 4장 균형국민소득 결정의 기초이론 = 53
  1. 몇 가지 함수 = 53
   (1) 소비함수 = 53
   (2) 저축함수 = 56
   (3) 투자함수 = 57
   (4) 정부지출함수 = 58
   (5) 조세함수 = 59
   (6) 수출함수 = 60
   (7) 수입함수 = 60
  2. 균형국민소득 결정 = 61
   (1) 균형조건 = 61
   (2) 재고 변동 = 62
   (3) 균형국민소득 결정 = 64
  3. 균형국민소득 변화 = 66
   (1) 승수 = 66
   (2) 균형국민소득 변화 = 69
   (3) 승수와 기간분석 = 72
  4. 완전고용 달성과 거시경제정책 = 73
   (1) 불황 갭 = 73
   (2) 인플레이션 갭 = 75
Ⅱ편 폐쇄경제하의 일반균형
 5장 수요측면의 균형 = 79
  1. 생산물시장의 균형 = 79
   (1) 생산물에 대한 수요 = 79
   (2) 생산물의 공급 = 80
   (3) 생산물시장의 균형 = 81
   (4) IS곡선 유도 = 82
   (5) IS곡선의 기울기 = 85
   (6) IS곡선 이동 = 86
  2. 화폐시장의 균형 = 87
   (1) 화폐에 대한 수요 = 87
   (2) 화폐의 공급 = 89
   (3) 화폐시장의 균형 = 90
   (4) LM곡선 유도 = 91
   (5) LM곡선의 기울기 = 93
   (6) LM곡선 이동 = 94
  3. 수요측면의 균형 = 96
   (1) 수요측면의 균형 = 96
   (2) 총수요곡선 유도 = 97
   (3) 총수요곡선 이동 = 99
 6장 공급측면의 균형 = 103
  1. 노동시장의 균형 = 103
   (1) 노동에 대한 수요 = 103
   (2) 노동의 공급 = 106
   (3) 노동시장의 균형 = 109
   (4) 물가 변화와 노동시장의 균형 = 110
  2. 생산함수 = 114
   (1) 단기생산함수 = 114
   (2) 총공급 결정 = 114
  3. 공급측면의 균형 = 116
   (1) 공급측면의 균형 = 116
   (2) 총공급곡선 유도 = 116
   (3) 총공급곡선 이동 = 118
 7장 폐쇄경제하의 일반균형 = 121
  1. 물가 결정 = 121
   (1) 물가 결정 = 121
   (2) 물가 변화 = 122
  2. 폐쇄경제하의 일반균형체계 = 123
   (1) 수식 = 123
   (2) 그림 = 124
  3. 폐쇄경제하의 일반균형과 거시경제정책 = 126
   (1) 수요측면 : 투자세액공제제도 실시 = 127
   (2) 공급측면 : 노조의 지나친 임금인상 = 128
Ⅲ편 개방경제하의 일반균형
 8장 수요측면의 대내균형 = 133
  1. 한국의 국제수지표 = 133
  2. 생산물시장의 균형 = 136
   (1) 생산물에 대한 수요 = 136
   (2) 생산물의 공급 = 139
   (3) 생산물시장의 균형 = 140
   (4) IS곡선 유도 = 142
   (5) IS곡선의 기울기 = 143
   (6) IS곡선 이동 = 146
  3. 화폐시장의 균형 = 147
   (1) 화폐에 대한 수요 = 147
   (2) 화폐의 공급 = 148
   (3) 화폐시장의 균형 = 148
   (4) LM곡선 유도 = 149
   (5) LM곡선의 기울기 = 150
   (6) LM곡선의 이동 = 150
  4. 수요측면의 대내균형 = 151
 9장 수요측면의 대외균형 = 153
  1. 환율제도 = 153
  2. 외환시장의 균형 = 155
   (1) 외환에 대한 수요 = 155
   (2) 외환의 공급 = 158
   (3) 외환시장의 균형 = 161
   (4) 외환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이동 = 162
  3. 국제수지 균형과 BP곡선 = 163
   (1) 국제수지 방정식 = 164
   (2) BP곡선 유도 = 165
   (3) BP곡선의 기울기 = 169
   (4) BP곡선 이동 = 171
   (5) 대내균형과 국제수지 = 173
 10장 수요측면의 대내·외균형과 국제수지 조정 = 175
  1. 수요측면의 대내·외균형체계 = 175
  2. 수요측면의 대내·외균형 = 176
   (1) 수요측면의 대내·외균형 = 176
   (2) 총수요곡선 유도 = 177
   (3) 총수요곡선 이동 = 178
  3. 국제수지 조정과 대내·외균형 달성 = 180
   (1) 고정환율제도와 화폐적 접근방법 = 180
   (2) 고정환율제도와 직접적 조정수단 = 182
   (3) 변동환율제도 = 184
 11장 공급측면의 균형 = 187
  1. 노동시장의 균형과 고용 = 188
   (1) 노동에 대한 수요 = 188
   (2) 노동의 공급 = 189
   (3) 노동시장의 균형 = 190
   (4) 물가 변화와 노동시장의 균형 = 190
  2. 생산함수 = 191
   (1) 단기생산함수 = 191
   (2) 총공급 결정 = 191
  3. 공급측면의 균형 = 192
   (1) 총공급곡선 유도 = 192
   (2) 총공급곡선 이동 = 192
 12장 개방경제하의 일반균형 = 193
  1. 물가 결정 = 194
   (1) 물가 결정 = 194
   (2) 물가 변화 = 194
  2. 개방경제하의 일반균형체계 = 195
   (1) 수식 = 196
   (2) 그림 = 196
  3. 개방경제하의 일반균형과 거시경제정책 = 199
   (1) 수요측면 : 수출촉진정책 실시 = 199
   (2) 공급측면 : 3D업종 기피와 외국인 근로자 수입 = 201
Ⅳ편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정책
 13장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정책 : 이론 = 205
  1. 거시경제정책의 목표와 수단 = 205
   (1) 정책목표 = 205
   (2) 정책수단 = 207
  2.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정책 구분 = 210
   (1) 총수요관리정책 = 211
   (2) 총공급관리정책 = 212
   (3) 정책결합 : 총수요 및 총공급관리정책의 동시실시 = 213
  3.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정책 효과의 발생경로 = 214
   (1) 총수요관리정책 = 214
   (2) 총공급관리정책 = 217
 14장 개방경제하의 거시경제정책 : 내용 = 221
  1. 총수요관리정책 = 221
   (1) 확장재정정책 = 221
   (2) 긴축통화정책 = 225
  2. 총공급관리정책 = 227
   (1) 노조에 의한 지나친 임금인상과 소득정책 = 227
   (2) 원유가 상승과 원유비축 = 237
   (3) 기술발전정책 = 239
  3. 정책결합 : 사례 = 242
   (1) 정책의 내용 = 242
   (2) 효과분석 = 243
부록 종합계정 = 249
 1. 국내총생산과 지출계정 = 251
 2. 국민처분가능소득과 처분계정 = 253
 3. 자본거래계정 = 254
 4. 금융거래계정 = 255
 5. 국외거래계정 = 25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