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05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842040 | |
005 | 20100806064453 | |
007 | ta | |
008 | 031111s2003 ulka 000a kor | |
020 | ▼a 8930310192 : ▼c \6500 | |
035 | ▼a KRIC08886611 | |
040 | ▼a 225006 ▼c 225006 ▼d 211009 | |
049 | 1 | ▼l 111249567 ▼l 111267965 |
082 | 0 4 | ▼a 331.257 ▼2 21 |
090 | ▼a 331.257 ▼b 2003 | |
100 | 1 | ▼a 박영범 ▼g 朴英凡 , ▼d 1956-, ▼e [저] ▼0 AUTH(211009)134007 |
245 | 1 0 | ▼a 실업대책으로서 한국의 법정기준근로시간 단축 / ▼d 박영범 [저]. |
260 | ▼a 서울 : ▼b 집문당 , ▼c 2003. | |
300 | ▼a 148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아산재단 연구총서 ; ▼v 제125집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 p. 145-148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257 2003 | Accession No. 1112679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331.257 2003 | Accession No. 1112495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257 2003 | Accession No. 1112679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331.257 2003 | Accession No. 1112495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영범(지은이)
미국 코넬대학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에서의 정책연구 활동 후 1997년부터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 및 학회지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공공기관인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원장과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은탑산업훈장, 캄보디아왕국 국가공로훈장, 기업경영학회의 기업경영자대상, 적십자회원유공장 금장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전환기, 한국노동시장의 길을 묻다』(한성대학교 출판부, 2009/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해외진출기업의 고용관계』(한성대학교 출판부, 2010/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노사관계와 커뮤니케이션』(범우사, 2020/공저), 『한국교육의 진로』(박영사, 2021/공저)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단축 연혁 1. IMF 위기 이전의 근로시간 단축의 논의 = 19 2. IMF 위기 이후의 근로시간 단축의 논의 = 20 1)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주요 쟁점과 노·사의 입장 = 23 2)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노사 간 주요 쟁점에 대한 공익위원안 및 노사정위원회 조정안 = 26 제3장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실태 분석 1.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추이 = 31 2. OECD 등 외국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실태 = 33 3. 사업체 특성별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 35 4. 우리나라의 초과근로 및 초과근로수당 현황 = 39 5.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형태 = 41 6. 우리나라의 휴일 및 휴가 = 43 제4장 근로시간 단축의 일자리창출 효과 1.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개념적 고찰 = 49 2. 기준근로시간 단축의 고용창출 효과에 대한 실증적 증거 = 51 3.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고용창출 효과 전망 = 56 1) 산업별 고용함수의 추정 = 57 2) 기타 내생변수의 추정 = 68 3) 모형의 적합성 검정 = 71 4)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고용창출 효과 = 73 제5장 주요 국의 근로시간 관련 법제 및 단축경험과 시사점 1. 외국의 제도와 비교한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제도 = 83 1) 주당 법정근로시간 = 84 2) 초과근로시간 상한 = 85 3) 연장근로 할증률 = 85 4) 연·월차 유급휴가제도 = 86 5)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 86 6) 근로시간제도 적용 제외·특례 = 87 7) 선택적 보상휴가제 = 87 8) 유급주휴제 = 87 9) 유급생리휴가제도 = 88 10) 시사점 = 88 2. 외국의 법정근로시간 단축사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 = 88 1) 근로시간 단축의 목표 = 90 2) 근로시간 단축 일정 = 90 3) 근로시간 단축과 임금 = 91 4) 지원 및 유예 = 92 5) 기타 = 92 6) 시사점 = 92 3. 미국 = 93 1) 근로시간 추이 = 93 2) 근로시간 관련 법제도 = 94 3) 근로시간 실태 = 100 4. 프랑스 = 102 1) 기준근로시간 관련 법제 추이 = 102 2) Aubry법 = 103 3) 탄력적 근로시간제 = 106 4) 초과근무수당 및 보상휴가 = 107 5) 휴일 및 휴가제도 = 107 5. 영국 = 108 1) 근로시간 관련 법제 추이 = 108 2) 근로시간에 관한 규정(The Working Time Regulations, 1998) = 108 3) 근로시간 실태 = 110 6. 독일 = 111 1) 근로시간 관련 법제 추이 = 111 2) 근로시간법 = 112 3) 점포개업법 = 113 4) 근로시간 실태 = 113 7. 일본 = 115 1) 근로시간 관련 법제도 추이 = 115 2) 법정근로시간 = 116 3) 시간 외·휴일근로의 규제 = 117 4) 연차휴가 = 118 5) 변형 근로시간제 = 119 6) 근로시간의 유연화를 위한 새로운 제도의 도입 = 121 7) 노동시간의 단축 촉진에 관한 입시조치법(시단촉진법) = 121 8) 근로시간 추이 = 122 제6장 요약 및 정책제안 부록 = 135 참고문헌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