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관과 자아실현
1. 교육열과 자아실현 = 11
2. 인간존재와 자아실현 = 16
1) 자아실현과 잠재력 개발 = 17
2) 포부와 자아실현 = 24
3) 도덕적 성숙과 자아실현 = 28
4) 정서적 세련화와 자아실현 = 30
3. 사회문화와 자아실현 = 35
1) 유교문화와 자아실현 = 35
2) 한국인의 사회화와 자아실현 = 39
3) 학교문화와 자아실현 = 47
4. 미래사회와 학교의 역할 = 51
1) 학교교육과 자아실현 = 51
2) 자율학습의 풍토 = 54
3) 개인차의 존중 = 57
4) 인간교육의 기회 = 60
제2장 미래사회와 정의교육
1. 자아개념 = 66
1) 자아개념의 구성요인 = 67
2) 자아개념의 수준과 강도 = 71
3) 자아개념 형성과 발달 = 73
4) 자아개념의 역할 = 79
5) 자아개념 연구 = 84
2. 귀인성향 = 89
1) 귀인성향의 개념 = 89
2) 귀인성향의 형성요인 = 99
3) 귀인성향의 역할 = 101
4) 귀인성향과 인구학적 요인 = 109
5) 귀인성향과 정의적 특성 = 113
6) 귀인성향 연구 = 122
참고자료: 귀인성향 검사 = 137
3. 자기효능 = 148
1) 자기효능 개념 = 148
2) 자기효능의 형성과 기능 = 155
3) 자기효능과 적응 = 164
4) 자기효능과 교육 = 166
5) 자기효능 증진과 연구 동향 = 177
참고자료: 자기효능검사 = 185
4. 자존과 인간성장 = 187
1) 자존의 개념 = 188
2) 자존 형성 관련 요인 = 197
3) 자존과 적응 = 213
4) 자존의 증진 = 217
5) 자존 연구 = 227
6) 자존증진 프로그램 예 = 228
참고자료: 자존검사 및 자존 증진 수업 자료 = 242
제3장 환경과 자아실현
1. 환경과 교육 = 263
1) 학교교육의 비일관성 = 263
2) 교육외적 요인에 좌우된 교육 = 270
2. 교육형평과 교육환경 = 282
1) 평등(equality)과 형평(equity) = 283
2) 교육기회와 형평 = 286
3) 교육기회와 개인 특성 = 290
3. 교육형평 평가와 환경 개선 = 294
1) 접근(Access) 영역 = 296
2) 참여(participation) 영역 = 302
3) 산출(products) 영역 = 317
4. 심리적 환경과 인간행동 = 329
1) 심리적 환경의 개념 = 330
2) 학급풍토의 구조 = 336
3) 학급풍토의 유형 = 346
4) 심리적 환경과 성취행동 = 350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