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1. 텍스트 언어학의 개념과 전개 = 19
1.1 텍스트 언어학과 텍스트 = 19
1.2 텍스트 언어학의 성립과 발전 = 32
1.3 국내에서의 연구 동향 = 40
2. 텍스트성 = 53
2.1 텍스트성이란? = 53
2.2 의도성 = 58
2.3 용인성 = 64
2.4 정보성 = 68
2.5 상황성 = 74
2.6 텍스트상호성 = 80
2.7 응집성 = 85
2.8 응결성 = 89
3. 텍스트 분석과 텍스트 언어학의 전망 = 91
3.1 텍스트 분석 방법 = 91
3.2 텍스트 언어학과 국어 교육 = 100
3.3 텍스트 언어학의 발전·전망 = 118
참고 문헌 = 129
제2부 텍스트 분석의 실제
1. 시의 언어적 효용성 분석 = 145
1.1 머리말 = 145
1.2 시 텍스트 분석 = 147
1.3 맺음말 = 159
참고 문헌 = 161
2. 21세기 都·農 담론 분석 = 163
2.1 머리말 = 163
2.2 『모내기블루스』란 표제의 이차적 의미 = 165
2.3 『모내기블루스』의 이야기시학 = 166
2.4 맺음말 = 176
참고 문헌 = 178
3. 대화 텍스트의 구조 = 179
3.1 머리말 = 179
3.2 텍스트, 담화, 대화 = 180
3.3 대화 텍스트의 구조 = 188
3.4 맺음말 = 199
참고 문헌 = 201
4. 심리적 갈등 구조와 대화의 구조 = 205
4.1 머리말 = 205
4.2 갈등의 요인 = 208
4.3 남성과 여성의 대화 = 211
4.4 부모와 자녀의 대화 = 215
4.5 친구 사이의 대화 = 222
4.6 맺음말 = 226
참고 문헌 = 231
5. 유머 텍스트의 의도성과 용인성 = 233
5.1 머리말 = 233
5.2 유머 텍스트의 의도성 = 234
5.3 유머 텍스트의 용인성 = 244
5.4 맺음말 = 249
참고 문헌 = 250
6. 관용 표현의 유형과 구조 = 253
6.1 언어 단위와 텍스트 = 253
6.2 관용 표현 말글(텍스트)의 분류 = 257
6.3 전래 관용 표현 = 265
6.4 유행 관용 표현 = 281
6.5 결론 = 301
참고 문헌 = 304
7. 신문 기사문의 텍스트 이해 과정 = 311
7.1 머리말 = 311
7.2 본문 = 316
7.3 맺음말 = 337
참고 문헌 = 339
8. 인터넷 신문의 텍스트적 특성 = 341
8.1 머리말 = 341
8.2 인터넷 신문의 발달 및 특성 = 343
8.3 인터넷 신문의 언어 구조적 특성 = 346
8.4 인터넷 신문의 소통 상황적 특성 = 352
8.5 맺음말 = 355
참고 문헌 = 358
9. 광고 텍스트의 언어 사용 양상 = 359
9.1 광고의 본질 = 359
9.2 인쇄 광고 카피 = 361
9.3 광고 텍스트의 언어 사용 양상 = 364
참고 문헌 = 374
10. 옥외광고와 외래어 = 375
10.1 머리말 = 375
10.2 간판의 외래어 사용 실태 조사 = 377
10.3 간판의 외래어 오용 표기 양상 = 387
10.4 맺음말 = 391
참고 문헌 = 393
11. 대통령 취임사의 국어 표현 = 395
11.1 대통령과 국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 = 396
11.2 어휘 선택 = 399
11.3 문장 표현 = 405
참고 문헌 = 418
12. 동명왕편(東明王篇)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419
12.1 머리말 = 419
12.2 東明王篇의 構造 = 421
12.3 東明王篇에 담긴 意味 解釋 = 436
12.4 맺음말 = 441
13. 신재효본 토별가의 언어 층위 = 443
13.1 머리말 = 443
13.2 토별가 구성 언어의 몇 가지 층위 = 444
13.3 유혹의 말과 인식의 문제 = 448
13.4 맺음말 = 462
14. 16세기에 쓰여진 김성일 언간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465
14.1 머리말 = 465
14.2 조선 시대 언간 텍스트의 일반적 특징 = 466
14.3 김성일 언간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 468
14.4 맺음말 = 478
참고 문헌 = 480
15. 대사헌 민개 등의 상소와 태조의 전교 분석 = 483
15.1 조선왕조 최초의 사헌부 상소 = 483
15.2 민개 등의 상소의 담화 장르적 정체 = 485
15.3 민개 등의 상소의 논증 분석 = 488
15.4 마무리 = 500
참고문헌 = 502
자료 : 민개 등의 상소와 임금의 전교 = 504
16. 경문(經文)의 이해 = 504
16.1 머리말 = 513
16.2 본론 = 517
찾아보기 =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