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연구의 기초
1. 교육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5
1) 교육연구의 목적 = 15
2) 교육연구의 필요성 = 18
2. 교육연구의 종류 = 18
1) 질적 연구 = 19
2) 양적 연구 = 28
3. 교육연구의 과학적 접근 = 33
1) 교육연구와 과학 = 33
2) 과학적 연구의 목적 = 34
3) 과학적 연구의 과정 = 36
4) 과학적 연구의 한계 = 38
박스 기사 1 - 대학원생들을 위한 쓴 소리 = 40
제2장 교육연구 계획서
1. 연구계획서의 중요성 = 43
2. 연구계획서의 구성 요소 = 44
1) 연구 제목 = 45
2) 연구의 필요성 = 47
3) 연구의 목적 = 47
4) 연구의 문제 및 가설 = 48
5) 연구의 제한점 = 48
6) 이론적 배경 = 49
7) 연구 방법 = 49
8) 기대되는 결과 = 50
9) 참고문헌 = 50
3. 연구계획에서의 유의사항 = 50
박스 기사 2 - 연구계획을 공식화하기 = 52
4. 인터넷 정보 검색 = 52
1) 국내 사이트 검색 = 52
2) 외국논문 검색 방법 = 57
박스 기사 3 - 참고문헌의 고찰 목적 = 61
제3장 교육연구의 변인과 가설
1. 교육연구의 변인 = 65
2. 변인의 유형 = 66
1) 양적 변인과 질적 변인 = 66
2)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 66
3) 연속적 변인과 비연속적 변인 = 66
4) 명명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 67
5) 매개변인 = 68
3. 변인과 통계처리 = 69
4. 교육연구의 가설 = 70
1) 가설의 정의 = 70
2) 가설의 종류 = 71
3) 가설의 진술 요령 = 72
4) 가설의 검증 = 73
5) 유의수준 설정과 해석 = 74
박스기사 4 - 연구설계의 실제 = 75
제4장 연구 도구
1. 검사(test) = 80
1) 검사도구의 선정 기준 = 80
2) 검사점수의 타당도 = 81
3) 검사점수의 신뢰도 = 83
4) 검사의 종류 = 88
5) 검사도구 개발 = 89
6) 검사지 구인단계 = 91
2. 설문지(questionnaire) = 91
1) 설문지의 개념 = 91
2) 설문지법의 장·단점 = 92
3) 설문조사 연구의 흐름도 = 93
4) 설문지 작성을 위한 지침 = 94
5) 설문지 문장의 형태 = 95
6) 자료 수집 방법 = 96
3. 관찰법(observational method) = 97
1) 관찰법의 개념과 의의 = 97
2) 관찰법의 종류 = 98
3) 관찰방법의 적용 절차 = 102
4) 관찰법의 장·단점 = 105
4. SPSS = 107
1) SPSS의 정의 = 107
2) SPSS WIN을 운용하기 위한 컴퓨터의 환경 = 107
3) SPSS WIN 운용 = 108
4) SPSS WIN 다루기 = 109
박스기사 5 - 계속적인 연구의 진행 = 115
제5장 자료의 수집과 분석
1. 연구대상 = 119
1) 모집단과 표본 = 120
2) 표집과정 = 120
3) 표본 크기 = 126
2. 자료의 통계적 분석 = 129
1) 유의수준 = 129
2) 평균 = 130
3) 표준편차 = 131
4) 빈도 분석 = 132
5) 신뢰도 분석 = 136
6) 요인분석 = 139
7) t 검정 = 145
8) F 검정 = 147
9) 상관계수(r) = 151
10) χ² 검정 = 154
11) 회귀분석 = 158
12) 경로분석 = 162
박스기사 6 - 연구자료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 = 166
제6장 연구논문의 실제
1. 서론 = 171
1) 연구의 필요성 = 171
2) 연구의 목적 = 175
3) 연구의 문제 = 176
4) 용어의 정의 = 177
5) 연구의 제한점 = 179
2. 이론적 배경 = 180
1) 연구 방법 = 183
2) 연구 도구 = 188
3. 연구 절차 = 190
1) 예비 조사 = 191
2) 본 조사 = 191
3) 자료 처리 = 192
4. 연구 결과 및 해석 = 194
5. 논의 또는 고찰 = 197
6. 결론 및 부록 = 199
1) 요약 = 199
2) 결론 = 199
3) 제언 = 201
4) 참고문헌 = 202
5) 부록 = 203
제7장 연구 보고서의 작성법
1. 구성 = 207
1) 서두 = 207
2) 본문 = 208
3) 참고 자료 = 209
2. 항목별 작성 요령 = 209
1) 서두 = 209
2) 본문 = 211
3) 참고 자료 = 211
3. 구두점 및 논문 작성 세부 지침 = 212
1) 마침표 = 212
2) 쉼표 = 212
3) 세미콜론 = 213
4) 콜론 = 213
5) 대시 = 213
6) 따옴표 = 214
7) 줄임표 = 214
8) 괄호 = 214
9) 영어의 대문자 = 215
10) 영어의 소문자 = 215
11) 영어의 약어 = 215
12) 인용 = 215
13) 내주 = 218
14) 표와 그림 = 219
4. 참고문헌, 초록 및 부록 기록 방법 = 221
1) 참고문헌 = 221
2) 초록 = 227
3) 부록 = 228
박스기사 7 - 논문 작성 후 점검 방법 = 230
제8장 현장연구 보고서 작성
1. 현장연구의 유형 = 235
1) 조사연구 = 235
2) 진단연구 = 236
3) 실천연구 = 236
4) 실험연구 = 236
2. 현장연구 보고서 체제 = 237
1) 앞 부분 = 237
2) 본문 부분 = 238
3) 끝 부분 = 239
3. 현장연구 대회 = 239
1) 응모자격 = 239
2) 응모분과 = 240
3) 응모방법 및 시기 = 241
4) 응모절차 = 241
5) 응모 유의사항 = 242
6) 심사기준 및 배점 = 243
7) 종합심사평 = 244
4. 현장연구 주제 선정 방법 = 247
1) 주제어 설정 방법 = 247
2) 주제어 설정시의 유의사항 = 249
5. 현장연구 보고서 작성 = 249
1) 서론 = 249
2) 이론적 배경 = 257
3) 기초조사 및 문제분석 = 259
4) 실행중점 = 261
5) 연구의 설계 = 264
6) 결과 분석 = 265
7) 요약·결론·제언 = 267
참고문헌 = 269
찾아보기 =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