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3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840705 | |
005 | 20100806061008 | |
007 | ta | |
008 | 031105s2003 ulka 000au kor | |
020 | ▼a 8970633529 ▼g 04810 : ▼c \6500 | |
020 | 1 | ▼a 8970633510(세트) |
035 | ▼a KRIC08617283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47006 ▼l 111247007 |
082 | 0 4 | ▼a 897.15 |
090 | ▼a 897.15 ▼b 한용운 2003 | |
100 | 1 | ▼a 김인환, ▼e 지음 |
245 | 1 0 | ▼a 한용운의『님의 침묵』을 읽는다 / ▼d 김인환 지음. |
260 | ▼a 서울 : ▼b 열림원 , ▼c 2003. | |
300 | ▼a 129 p. : ▼b 삽도 ; ▼c 21 cm. | |
440 | 0 0 | ▼a 이 작품을 읽는다 ; ▼v 001 |
600 | 1 4 | ▼a 한용운 ▼d 1879-1944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5 한용운 2003 | 등록번호 1112470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5 한용운 2003 | 등록번호 111247007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2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의 한국문단을 이끄는 문학평론가들이 대거 필진으로 참여하여 한국문학 100년의 성과를 한 자리에 모으는 '이 작품을 읽는다' 총서가 발간되었다. 1차분으로 한용운, 정지용, 서정주, 박완서, 임철우 편이 나왔으며 앞으로 이상, 최인훈, 염상섭, 이광수, 이문열, 정현종, 조세희 등 우리 문학계에 한 획을 그은 작가의 작품이 다뤄질 예정이다.
한용운은 한국 현대시를 개척하는데 많은 기여를 한 시인일 뿐 아니라, 나라를 잃은 비극적 시대에 꿋꿋이 저항한 인간으로 근대 사상사의 중심에 우뚝 서있기도 하다. 이 책에서 지은이 김인환은 한용운의 시를 불교사상에 비추어 풀이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듯 '참된 사람'과 '보통 사람' 역시 하나라는 것. '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인환(지은이)
194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2년 『현대문학』으로 평단에 나왔다. 지은 책으로 『언어학과 문학』 『비평의 원리』 『상상력과 원근법』 『형식의 심연』 『한국고대시가론』 『문학교육론』 『문학과 문학사상』 『다른 미래를 위하여』 『기억의 계단』 『의미의 위기』 『현대시란 무엇인가』 『The Grammar of Fiction』 『과학과 문학』 『타인의 자유』 『새 한국문학사』, 옮긴 책으로 『에로스와 문명』 『주역』 『고려 한시 삼백 수』 『수운선집』 등이 있다. 2001년 김환태평론문학상, 2003년 팔봉비평문학상, 2006년 현대불교문학상, 2008년 대산문학상, 2012년 김준오시학상, 2022년 인촌상(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했다. 고려대학교 국문과 교수(1979~2011)를 거쳐 2023년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다.

목차
목차 책 머리에 = 5 1. 한용운을 읽는 이유 = 11 2. 한용운의 삶 = 16 3. 한용운과 그의 작품론 = 28 1. 비교문학적 고찰 = 28 2. 님의 정체 = 31 3. 이별의 의미 = 35 4. 불교적 사상의 표현 = 38 5. 다른 시인들과의 대비연구 = 40 4. 작품의 관찰과 읽기 = 44 1. 닫힌 체계와 열린 체계 = 47 2. 전통의 실현, 창조 = 69 3. 문학 사상의 상호 반조 = 76 5. 한용운 연보 = 113 6. 서지 목록 =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