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맑스 엥겔스 평전

맑스 엥겔스 평전 (9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emkow, Heinrich 김대웅, 역
서명 / 저자사항
맑스 엥겔스 평전 / 하인리히 겜코브 지음 ; 김대웅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시아,   2003  
형태사항
693 p. : 삽화, 초상화 ; 23 cm
원표제
Unser Leben : eine Biographie über Karl Marx und Friedrich Engels
ISBN
8981441049
서지주기
참고문헌(p. 579-601)과 색인수록
주제명(개인명)
Marx, Karl,   1818-1883  
Engels, Friedrich,   1820-189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39969
005 20160725170949
007 ta
008 030731s2003 ulkac b 001c bkor
020 ▼a 8981441049 ▼g 03990
035 ▼a KRIC08849254
040 ▼a HYUC ▼c HYUC ▼d 211062 ▼d 211009
041 1 ▼a kor ▼h ger
049 1 ▼l 111265349 ▼l 111265350
082 0 4 ▼a 335.4092 ▼2 21
085 ▼a 335.4092 ▼2 DDCK
090 ▼a 335.4092 ▼b 2003
100 1 ▼a Gemkow, Heinrich
245 1 0 ▼a 맑스 엥겔스 평전 / ▼d 하인리히 겜코브 지음 ; ▼e 김대웅 옮김
246 1 9 ▼a Unser Leben : ▼b eine Biographie über Karl Marx und Friedrich Engels
260 ▼a 서울 : ▼b 시아, ▼c 2003
300 ▼a 693 p. : ▼b 삽화, 초상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579-601)과 색인수록
600 1 0 ▼a Marx, Karl, ▼d 1818-1883
600 1 0 ▼a Engels, Friedrich, ▼d 1820-1895
700 1 ▼a 김대웅, ▼e▼0 AUTH(211009)5517
900 1 0 ▼a 겜코브, 하인리히,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092 2003 등록번호 1112653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4092 2003 등록번호 1511766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092 2003 등록번호 1112653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5.4092 2003 등록번호 1511766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 사상사에서 가장 큰 족적을 남겼다 해도 과언이 아닌 맑스와 엥겔스. 맑스주의를 연구해온 독일의 학자 하인리히 겜코브는 이 두 사람에게 덧씌워졌던 왜곡의 굴레를 벗겨내고, 그들의 맨 얼굴을 보여주기 위해 이 평전을 집필하였다.

책은 수많은 편지와 문헌 자료 등의 다양한 사료들을 통해 맑스와 엥겔스의 사상은 물론, 이들 주변에 대한 평가를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한다. 특히 지금껏 맑스의 뒤에 가려져 모방자, 혹은 편집인 정도로 생각되어 오던 엥겔스를 제대로 살펴보려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맑스의 절친한 친구로서, 조력자였던 엥겔스의 삶과 사상을 살펴보는 작업과 함께, 궁핍하고 무능한 가장으로 묘사되어 온 맑스에 대한 진실 등을 함께 밝히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하인리히 겜코브(지은이)

1928년생으로 독일 마르틴 루터 대학교에서 독문학과 역사를 전공하였다. 독일 맑스.레닌주의 연구소 연구위원과 부소장을 지내며 맑스주의를 비롯한 진보적인 학술 연구와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온 지식인이다. 지은책으로 <칼 맑스 전기(Karl Marx Biographie)>, <프리드리히 엥겔스 전기(Friedrich Engels Biographie)>, <사회주의 - 너의 세계(Der Sozialismus Deine Welt)> 등이 있다.

김대웅(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나와 문예진흥원 심의위원, 영상물등급위원회 심의위원, 충무아트홀 갤러리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저서로 《커피를 마시는 도시》 《그리스 신화 속 7여신이 알려주는 나의 미래》 《제대로 알면 더 재미있는 인문교양 174》 등이 있으며, 편역서로 《배꼽티를 입은 문화》 《반 룬의 세계사 여행》, 번역서로 《마르크스 엥겔스 문학예술론》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루카치 사상과 생애》 《영화 음악의 이해》 《무대 뒤의 오페라》 《패션의 유혹》(공역) 《여신들도 본 그리스 로마신화》 《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영어 이야기》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
머리말 = 5
Ⅰ. 혁명가 태어나다
 1. 유망한 시민 계급으로 태어나다 = 17
  「직업 선택을 앞둔 한 젊은이의 성찰」 = 19
  모젤 강변에서 역사의 힘을 느끼다 = 23
  자유로운 시민에서 정복 지역의 노예로 = 25
  아버지와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 = 28
  본에서의 학창 시절 = 31
  영민한 괴짜 소년 = 34
  종교적·금욕적인 집안의 맏아들 = 37
  싹트는 휴머니즘 = 39
  학생용 걸상에서 회계실 회전의자로 = 43
 2. 시민적 민주주의자로 성장하다 = 45
  특별한 소녀의 사랑을 얻다 = 47
  분열의 상징이자 학문의 도시 베를린 = 48
  그러므로 우리 분연히 일어나세 = 51
  헤겔 철학의 발견 = 53
  '박사클럽'의 나이 어린 열혈 토론자 = 57
  지성과 정열을 갖춘 시민적 민주주의자 = 60
  로이폴트 회사의 점원 = 61
  자유 도시 브레멘에서 = 65
  종교와 과학 사이에서의 갈등 = 65
  펜으로 전제 정치에 대항하다 = 68
  왕성한 활동, 젊음의 패기 = 71
 3. 시민적 민주주의자들의 대변지, 『라이니셰 짜이퉁』 = 75
  원대한 계획은 물거품이 되고 = 75
  포이어바흐에 대한 열광 = 77
  24세의 편집장 = 81
  검열과의 투쟁 = 85
  사랑의 결실을 맺다 = 89
  군국주의를 증오하는 한 프로이쎈 근위대 포병 = 90
  베를린 대학 청강생 = 93
  타고나지 않은 자질의 습득 = 94
 4. 미래를 발견한 두 사람 = 97
  혁명의 심장 빠리에서 = 99
  독일에 전쟁을! = 101
  노동자 계급의 '발견' = 103
  결별 = 108
  '나의 시는 더 높은 정치를 호흡하리라' = 109
  이제까지의 철학과 다른 길을 걷다 = 111
  아버지의 요구 = 113
  자본주의의 발상지에서 = 115
  아일랜드의 프롤레타리아 = 119
  전환점에 서다 = 121
  혁명적 노동자들과의 긴밀한 교류 = 124
 5. 평생을 함께한 아름다운 우정의 시작 = 127
  역사적인 만남 = 128
  최초의 공동 저작 = 131
 6. 새로운 세계관의 탄생 = 137
  영국에 관한 최초의 저작 = 139
  새로운 사회의 모습을 알리다 = 142
  추방 = 145
  가족이자 친구이자 동지인 헬레나 데무트 = 147
  쥐가 갉아먹은 초고 = 149
  사회적 존재가 사회적 의식을 규정한다 = 153
Ⅱ. 노동자에게는 노동자의 철학을! 노동자의 조직을!
 7. 프롤레타리아 당을 건설하다 = 163
  최선의 길을 찾아서 = 164
  공산주의자통신위원회 설립 = 165
  무지가 사람에게 유용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 168
  개인적으로는 결코 숭배의 대상이 되지 않겠다 = 171
  다가오는 혁명 = 173
  혁명적 노동자 정당으로의 변모 = 176
  사회주의의 배움터, 독일노동자협회 = 178
  『독일 브뤼셀 신문』 = 183
  혁명적 노동 운동의 목표를 제시하다 = 185
  프롤레타리아가 당을 가지다 = 189
 8. 인류가 나아갈 바를 밝힌 하나의 팸플릿 = 191
  노동자 계급의 강령 = 192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 195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들 = 199
  공산주의자들의 정책과 전술 = 201
  '이 작은 책이 다른 모든 책에 필적한다' = 202
  입증된 미래 사회에 대한 예언 = 204
 9. 유럽 혁명의 불길 속에서 = 209
  극적인 몇주간 = 210
  공산주의자들의 17개 요구 사항 = 213
  『노이에 라이니셰 짜이퉁』의 선봉에서 = 215
  빠리의 6월 봉기 = 223
  점증하는 반혁명 세력에 대항하여 = 226
  노동자들에게는 신뢰를, 반동 세력에게는 두려움을 = 229
  붉은색 폐간호 = 234
  가장 용맹한 병사들 = 239
 10. 혁명의 실패, 그리고 망명 = 245
  영국으로의 망명 = 246
  탈주자들을 원조하다 = 249
  공산주의자동맹을 재건하다 = 250
  프롤레타리아 독재 = 253
  공상적 관념주의자들에 대항하여 = 257
  쾰른 공산주의자 재판 = 259
  공산주의자동맹의 해체 = 265
 11. 처절한 망명 생활 = 267
  망명자의 생활 = 267
  다시 에어멘 앤 엥겔스로 = 269
  세 아이를 가슴에 묻고 = 271
  모든 것을 극복하고 다시 행복한 가장으로 = 275
  변치않는 사랑 = 281
 12. 비할 데 없는 우정 = 285
  1,300여 통의 편지 = 286
  서로를 보완하는 공동 작업 = 290
  맨체스터의 친구들 = 294
  애인이며 동료이자 동지였던 매리 번즈 = 297
  개인적 관심과 공동의 관심 = 300
Ⅲ. 자본주의의 근원적인 모순을 파헤치다
 13. 이것은 우리의 칼이요 갑옷이다! = 305
  당의 승리를 고대하며 = 307
  과학적 이론으로 무장하다 = 309
  대영 박물관의 단골 손님 = 311
  『자본』의 절대적인 조력자 = 315
  '따라서 이 책은 완성된 것이라네' = 315
  『자본』의 확산과 열광 = 316
  잉여 가치의 비밀이 폭로되다 = 321
  착취는 계속되고 있다 = 327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 = 329
  미래의 새로운 사회를 형상화하다 = 331
 14.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 333
  노동 운동을 일깨우다 = 333
  노력이 결실을 맺다 = 336
  새로이 초석을 놓다 = 339
  「임시규약」 = 345
  「창립 선언문」 = 347
  인터내셔널의 기본 원칙, 연대 = 349
  조직의 실질적 핵심 = 350
  떼려야 뗄 수 없는 정치와 경제 = 353
  인터내셔널의 대중성 = 354
  사회주의 강령을 위하여 = 356
 15. '아이제나하 당'의 창건 = 359
  독일 담당 연락 서기 = 360
  베를린에서 연대를 요청하다 = 364
  맨체스터에서의 나날 = 369
  저기 '우리의 당'이 있다 = 372
  혁명가는 의회에서도 투쟁해야 한다 = 375
  전쟁에서 이론을 검증하다 = 376
 16. 꼬뮈나르의 편에 서서 = 383
  오랜 그리움은 끝이 나고 = 383
  황제는 몰락하고 = 385
  빠리 시청에 붉은기가 펄럭이다 = 388
  빠리 민중에 의한 새로운 시도 = 393
  프롤레타리아 국가 건설의 꿈 = 394
  혁명은 압살당하고 = 397
  꼬뮌의 역사적 의의를 밝히다 = 401
  꼬뮌이 남긴 업적과 숙제 = 403
  새로운 사회의 징후 = 406
  프롤레타리아의 연대 활동 = 407
  몰이 사냥의 표적이 되다 = 409
 17. 무정부주의를 거부하다 = 413
  꼬뮌의 자칭 상속인 바꾸닌 = 414
  말뿐인 혁명가 = 415
  헤이그 회의를 준비하다 = 418
  프롤레타리아 당을 요구한 인터내셔널 = 421
  혁명은 연대하여 이루어야 한다 = 425
 18. 가난하지만 마음만은 풍요로운 가족 = 427
  아버지의 길을 따른 세 딸 = 428
  과학적 사회주의의 선전가, 라우라 = 429
  부라보, 예니! = 434
  예니와 샤를르 롱게 = 436
  할아버지와 손자 = 439
  아버지의 모든 것을 그대로 물려받은 엘레노어 = 441
Ⅳ. 우리는 헛되이 살지 않았다
 19. 미래 사회에 대한 조망 = 447
  기회주의적인 정책은 용납할 수 없다 = 448
  빈약한 강령에 대한 강렬한 비판 = 452
  어떻게 새로운 사회로 나아갈 것인가? = 456
 20. 두 사람이 함께 보낸 마지막 나날들 = 461
  마지막 공동 저작 = 462
  영원불변한 도덕률은 없다 = 466
  리디아 번즈의 사망 = 469
  사회주의자 탄압법 = 470
  최고의 과학적 사회주의의 입문서 = 476
  예니 맑스사망하다 = 479
  거인 잠들다 = 482
 21. 친구의 유언을 이행하다 = 485
  고독하지 않은 홀로서기 = 485
  『자본』의 완성 = 489
  인간 사회의 기원 = 493
  새로운 성(性)과 사랑 = 497
 22. 국제 노동 운동의 지도자 = 499
  세계 각국으로 보낸 편지 = 499
  매주 일요일의 식사 모임 = 505
  대중의 지지를 얻다 = 509
  제2인터내셔널의 결성 = 514
 23. 노동자 계급은 평화를 원한다 = 519
  제국주의의 대두 = 520
  전쟁 반대 투쟁 = 523
  사회주의적 군축 방안 = 526
  헬레나 데무트의 죽음 = 530
  에어푸르트 강령의 탄생 = 535
 24. 우리는 헛되이 살지 않았다 = 539
  생을 정리하다 = 540
  절정기를 맞이하다 = 543
  노동자는 농민이, 농민은 노동자가 필요하다 = 551
  혁명에 대한 권리 = 555
  엥겔스의 죽음 = 557
저자의 말 = 566
옮긴이의 말 = 570
부록 = 57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