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장 중세 음악
1. 그레고리안 성가의 발전 = 13
시대적 배경 = 13
중세 음악 이론 = 14
중세의 선법(mode) = 14
헥사코드 체계 = 16
가톨릭 전례(liturgy) 주간 = 18
평성가의 발달 과정 = 19
성무일도 = 21
안티폰 성가 = 23
미사 = 24
기보법 = 32
전례극 = 33
2. 세속 음악의 발전 = 35
골리아드와 종글레 = 35
세속 노래의 종류 = 35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 36
미네징거와 마이스터징거 = 40
3. 다성 음악의 발전 = 42
중세의 대학 제도 = 42
오르가눔 = 42
리듬의 선법 = 46
쿨라우줄라(clausula) = 47
콘둑투스 = 48
모테트 = 49
프랑코니언 기보법 = 54
4. 아르스 노바 = 56
시대적 배경 = 56
포벨의 이야기 = 58
기욤 드 마쇼(Guilaume de Machaut, 1300경∼1377) = 60
미묘한 기법(Ars subtilior) = 63
5. 14세기 이탈리아 음악 = 65
프란체스코 란디니 = 65
그 밖의 작곡가들 = 66
제2장 르네상스 초기
1. 전환기의 영국 음악 = 71
존 던스터블(John Dunstable, 1390년경-1453) = 71
르네상스 시대 초기의 미사 = 73
뮤지카 픽타(musica ficta) = 73
2. 부르고뉴 악파 = 74
시대적 배경 = 74
기욤 드파이 = 74
드파이의 동시대인 = 77
부르고뉴 샹송 = 78
제3장 르네상스 음악
1. 시대적 배경 = 81
음악적 배경 = 82
음악 이론서 = 82
2. 네덜란드 악파 = 84
요하네스 옥케겜 = 84
조스캥 데 프레 = 86
네덜란드 샹송 = 91
하인리히 이자크 = 93
야콥 오브레흐트 = 95
피에르 드 라 뤼 = 95
조스캥 이후의 작곡가들 = 97
3. 종교 개혁 = 98
마르틴 루터 = 98
칼뱅 = 99
영국 음악 = 101
윌리엄 버드 = 102
4. 트리엔트 종교 회의 = 103
팔레스트리나 = 103
팔레스트리나의 동시대인들 = 106
5. 세속 음악의 발달 = 108
16세기 샹송 = 108
이탈리아의 마드리갈 = 110
영국의 마드리갈 = 115
독일 가곡 = 116
스페인 = 116
6. 기악곡의 발달 = 118
루트 음악 = 118
버지널리스트 = 120
건반 악곡집 = 121
인터메디오 = 122
제4장 바로크 음악
1. 성악 음악의 발달 = 127
오페라의 발전 = 127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129
로마 = 133
베니스 = 133
17세기 말의 오페라 = 135
프랑스 오페라 = 136
영국 = 137
헨리 퍼셀 = 138
2. 종교 음악 = 140
오라토리오 = 140
성악 협주곡 = 141
하인리히 쉬츠 = 142
칸타타 = 143
북스 테후데 = 144
3. 기악 음악의 발달 = 145
조곡(suite) = 145
건반 악기곡 = 147
제5장 18세기 전반
1. 시대적 배경 = 151
대중 연주회의 출현 = 151
2. 오페라의 발전 = 153
정가극(opera seria) = 153
알렉산드로 스카를라티 = 153
희가극 = 154
발라드 오페라 = 155
독일 오페라 = 156
3. 기악 음악 = 157
프랑스 하프시코드 악파 = 157
프랑수아 쿠퍼랑 = 157
17세기 말 영국의 작곡가 = 159
소나타 = 159
아르칸젤로 코렐리 = 160
협주곡 = 161
안토니오 비발디 = 162
4.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164
5.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 171
라모 = 174
6. 전고전주의 = 176
갈랑 양식(Style galant) = 176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 177
교향곡 = 178
오페라 = 180
제6장 고전 음악
1. 시대적 배경 = 185
실내악의 발달 = 186
2. 하이든(Joseph Haydn, 1732∼1809) = 187
생애 = 187
교향곡과 실내악 = 188
오페라 = 193
종교음악 = 194
피아노곡 = 195
기타 = 196
3.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 197
실내악과 교향곡 = 199
오페라 = 202
협주곡 = 204
피아노 소나타 = 205
종교 음악 = 205
제7장 낭만 음악
1. 낭만 시대로의 전환 = 209
시대적 배경 = 209
베토벤과 동시대인들 = 210
루드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212
작품 = 214
2. 성악 음악 = 220
가곡의 발전 = 220
오페라 = 222
종교적 성악 음악 = 226
3. 기악 음악 = 227
피아노 음악 = 227
관현악 작품 = 233
협주곡 = 241
제8장 19세기 후반
1. 민족주의 음악 = 247
러시아 = 247
프랑스 = 255
기타 국가 = 259
2. 오페라의 발전 = 263
이탈리아 = 263
독일 = 266
프랑스 = 269
3. 후기 낭만주의 = 271
휴고 볼프(Hugo Wolf, 1860∼1903) = 271
말러 = 271
리하르트 스트라우스 = 272
라흐마니노프 = 273
신비주의 = 275
제9장 20세기 음악
1. 인상주의 = 279
드뷔시 = 279
라벨(Maurice Ravel, 1875∼1937) = 282
2. 표현주의 = 284
쉔베르크 = 284
알반 베르크(Alban Berg, 1885∼1935) = 287
베버른(Anton Webern, 1883-1945) = 288
3. 신고전주의 = 290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 290
프랑스 6인조 = 292
4. 기타 국가 = 297
민족음악의 절충 = 297
러시아 = 299
영국 = 301
실용 음악 = 304
5. 20세기 후반 = 307
시리얼리즘 = 307
미국 음악 = 309
그 밖의 조류 = 312
참고문헌 = 318
부록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