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교육평가 탐구 제3판

교육과정 ·교육평가 탐구 제3판 (6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동로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교육평가 탐구 / 신동로 지음.
판사항
제3판.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3.  
형태사항
499 p. : 삽도 ; 23 cm.
ISBN
8982877312
일반주기
찾아보기: p. [493]-499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79]-491
000 00666camccc200241 k 4500
001 000000838926
005 20100806052919
007 ta
008 030826s2003 ulka b 001a kor
020 ▼a 8982877312 ▼g 93370: ▼c \18000
035 ▼a KRIC08884086
040 ▼a HYUC ▼c HYUC ▼d 211062 ▼d 211009
049 1 ▼l 111255900 ▼l 111255901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3b
100 1 ▼a 신동로 ▼0 AUTH(211009)18750
245 1 0 ▼a 교육과정 ·교육평가 탐구 / ▼d 신동로 지음.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3.
300 ▼a 499 p. : ▼b 삽도 ; ▼c 23 cm.
500 ▼a 찾아보기: p. [493]-499
504 ▼a 참고문헌: p. [479]-49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3b 등록번호 11125590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6-12-18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3b 등록번호 1112559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75 2003b 등록번호 1410321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신동로(지은이)

사범대학 은퇴교수이자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전문가입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The University of Kansas, Curtesy Professor,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원장, 전북대학교 입학관리실장을 역임했습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과정
 Ⅰ. 교육과정과 교수 = 15
  A. 학문과 교육과정분야 = 15
  B. 교육과정과 교수의 정의상의 문제점 = 21
  C. 교육과정의 개념체계 = 26
  D. 형식적 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수 = 29
  E. 교육과정과 교수와의 관계 = 33
 Ⅱ. 교육철학과 교육과정 = 41
  A. 항존주의 = 43
  B. 진보주의 = 45
  C. 재건주의 = 47
  D. 본질주의 = 49
  E. 인간주의 = 50
  F. 구성주의 = 53
 Ⅲ. 교육과정의 유형 = 55
  A. 파이데이아 교육과정 = 55
  B. 경험중심 교육과정 = 60
  C. 학문중심 교육과정 = 63
  D. 인간중심 교육과정 = 67
  E. 구성주의 교육과정 = 77
 Ⅳ. 교육과정의 변천 = 83
  A. 제1차 교육과정안 이전 = 84
  B. 제1차 교육과정 개정안 = 88
  C. 제2차 교육과정 개정안 = 89
  D. 제3차 교육과정 개정안 = 90
  E. 제4차 교육과정 개정안 = 91
  F. 제5차 교육과정 개정안 = 91
  G. 제6차 교육과정 개정안 = 94
  H.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 = 97
 Ⅴ. 교육목표 = 117
  A. 교육목표의 설정자원 = 117
  B. 교육목표 진술방법 = 122
  C. Tyler의 교육목표의 이원분류 = 124
  D. 행동목표 = 127
  E. 교육목표 분류학 = 133
 Ⅵ. 교육내용 = 147
  A. 교육내용의 선정 = 147
  B. 교육내용의 조직 = 150
 Ⅶ. 교수방법 = 165
  A. 교수방법의 유형 = 165
  B. 제시방법과 유의미 학습 = 172
  C. 연습방법 = 185
  D. 발견방법과 Bruner의 교수이론 = 188
  E. 강화방법과 프로그램 교수 = 198
 Ⅷ. 수업설계 = 219
  A. 수업설계의 유형 = 219
  B. 교육공학적 차원 = 230
  C. 학습지도안 = 232
 Ⅸ. 학습자와 교사 = 245
  A. 학습자 변인 = 245
  B. 교사유형 = 252
  C. 교사기대 = 255
  D. 교사 효율성 = 260
제2부 교육평가
 Ⅰ. 학교교육과 평가 = 269
  A. 측정과 평가의 의미 = 269
  B. 교육평가의 새로운 동향 = 271
 Ⅱ. 평가와 기초통계 = 283
  A. 측정치의 종류 = 283
  B. 빈도분포 = 289
  C. 그래프 분포 = 293
  D. 집중경향 = 299
  E. 변산도 = 304
  F. 상관계수 = 310
 Ⅲ. 교육평가 유형 = 315
  A. 최대능력평가와 전형행동평가 = 315
  B. 진단, 형성, 총괄평가 = 316
  C. 임의, 상대, 절대평가 = 320
  D. 자기지향평가 = 322
 Ⅳ. 학업성취의 평가절차 = 329
  A. 수업목표의 확인 = 329
  B. 이원목적분류표 = 330
  C. 문항표집방법 = 331
  D. 검사도구의 편집 = 332
  E. 채점방법 = 335
 Ⅴ. 문항의 유형과 제작기법 = 337
  A. 진위형 = 338
  B. 배합형 = 339
  C. 선다형 = 340
  D. 단답형과 완성형 = 341
  E. 단구단답형과 서술단답형 = 342
  F. 논문형 = 343
 Ⅵ. 점수표시방법 = 345
  A. 점수표시방법 = 345
  B. 정상분포와 점수표시 및 종합점수 = 352
 Ⅶ. 문항분석 = 359
  A. 문항난이도 = 361
  B. 문항변별도 = 366
  C. 문항반응분포 = 369
  D. 문항분석 카드와 문제은행 = 371
 Ⅷ. 검사도구의 양호성 = 375
  A. 타당도 = 375
  B. 신뢰도 = 383
  C. 객관도 = 402
  D. 실용도 = 404
 Ⅸ. 표준화 검사 = 407
  A. 표준화 검사의 의미와 제작과정 = 408
  B. 표준화 검사의 한 예 : 지능검사 = 415
  C. 대학수학능력시험 = 420
 Ⅹ. 절대기준평가의 기본가정과 적용 = 429
  A. 상대기준평가와 절대기준평가의 기본적 차이 = 430
  B. 변산도 = 434
  C. 문항제작 = 436
  D. 신뢰도와 타당도 = 438
  E. 문항분석 = 439
 XI. 수행평가 = 443
  A. 수행평가의 정의와 특징 = 443
  B. 수행평가의 유형 = 446
  C. 수행평가의 방법 = 451
  D. 수행평가의 조건 = 459
 XII. 행동발달평가 = 463
  A. 정의의 문제 = 463
  B. 행동발달의 평가방법 = 466
  C. 평정의 오류 = 475
참고문헌 = 479
찾아보기 = 49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