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 제5판

거시경제학 / 제5판 (64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ankiw, N. Gregory, 1958- 이병락, 李秉洛, 1955-, 역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N. Gregory Mankiw 지음 ; 이병락 옮김
판사항
제5판
발행사항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3  
형태사항
xvi, 606 p. : 삽화 ; 26 cm
원표제
Macroeconomics
ISBN
8990685435
일반주기
찾아보기 : p.[603]-606  
권말에 "용어해설" 및 "도표로 보는 한국 경제"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00838682
005 20220829093956
007 ta
008 030930s2003 ulka 001c kor
020 ▼a 8990685435 ▼g 93320
035 ▼a KRIC08907442
040 ▼a 211019 ▼d 211009 ▼d 244002 ▼c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262613 ▼l 111265420 ▼l 111265421 ▼l 121092384 ▼f 과학 ▼l 121092385 ▼f 과학
082 0 4 ▼a 339 ▼2 22
085 ▼a 339 ▼2 DDCK
090 ▼a 339 ▼b 2003b
100 1 ▼a Mankiw, N. Gregory, ▼d 1958- ▼0 AUTH(211009)111440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N. Gregory Mankiw 지음 ; ▼e 이병락 옮김
246 1 9 ▼a Macroeconomics
250 ▼a 제5판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03
300 ▼a xvi, 606 p. : ▼b 삽화 ; ▼c 26 cm
500 ▼a 찾아보기 : p.[603]-606
500 ▼a 권말에 "용어해설" 및 "도표로 보는 한국 경제" 수록
700 1 ▼a 이병락, ▼g 李秉洛, ▼d 1955-, ▼e▼0 AUTH(211009)55064
900 1 0 ▼a 맨큐, 그레고리,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112626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1126542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7-03-10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112654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210923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21092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511505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511505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112626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1126542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7-03-10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112654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210923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21092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511505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03b 등록번호 1511505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그레고리 맨큐(지은이)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Robert M. Beren 석좌교수이다.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1980년에 A.B.를 취득하였다. MIT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1985년부터 하버드대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였으며, 1987년에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하버드대학교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의 거시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또한 베스트셀러인 『경제학원론』(Cengage 출판사 간행)을 저술하였다. Mankiw 교수는 학술 및 정책 토론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거시경제학 전반에 걸쳐 있으며, 가격조정, 소비자행태, 금융시장, 금융 및 재정 정책, 경제성장 등이 포함된다. 하버드대학교에 근무하는 것 이외에도,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연구원, Brookings Panel on Economic Activity 회원, Urban Institute 이사, Congressional Budget Office 고문, 보스턴 및 뉴욕 Federal Reserve Bank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President’s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의장으로 재임하였다.

이병락(옮긴이)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교수 역임 주요 저서 및 역서  국제경제학(1999, 2007, 시그마프레스) 경기전망지표(1999, 시그마프레스) 무역실무(2008, 시그마프레스) 계량경제학(2003, 2010, 2020, 시그마프레스) 거시경제학 해법(2004, 2007, 2010, 2014, 2016, 2020, 2023, 시그마프레스) 미시경제학(2004, 2010, 2015, 2022, 시그마프레스) 문제 풀며 정리하는 미시경제학(2011, 2015, 시그마프레스) 통계학(2014, 2022, 시그마프레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서론 = 1
 제1장 과학으로서의 거시경제학 = 3
  1-1 거시경제학자는 무엇을 연구하는가 = 3
   사례연구 : 미국 경제의 역사적 성과 = 5
  1-2 경제학자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8
   모형수립으로서의 이론 = 8
    FYI : 변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의 사용 = 12
   다양한 모형 = 12
   가격 : 신축성 대 비신축성 = 13
   거시경제학에 있어서 미시경제학의 역할 = 13
  1-3 본서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14
   요약 = 15
   문제와 응용 = 16
   주요개념 = 16
   복습용 질문 = 16
 제2장 거시경제학의 자료 = 17
  2-1 경제활동가치의 측정 : 국내층생산 = 18
   소득, 지출, 순환경로 = 19
   GDP 계산의 규칙 = 20
    FYI : 저량과유량 = 21
   실질 GDP 대 명목 GDP = 24
   GDP 디플레이터 = 26
   실질 GDP의 연쇄가중 측정방법 = 26
   지출의 구성요소 = 27
    FYI : 백분율 변화와 관련된 두 가지 산술 요령 = 28
    FYI : 투자란 무엇인가? = 29
    사례연구 : GDP와 구성요소 = 29
   소득의 기타 측정방법 = 30
    사례연구 : 계절 변동과 계절 조정 = 33
  2-2 생활비의 측정 : 소비자 물가지수 = 33
   상품바스켓의 가격 = 33
   CPI 대 GDP 디플레이터 = 34
   사례연구 : CPI는 인플레이션을 과장하였는가? = 36
  2-3 실직상태의 측정 : 실업률 = 37
   사례연구 : 실업, GDP, 오쿤의 법칙 = 39
  2-4 결론 : 경제통계에서 경제모형으로 = 40
   요약 = 41
   주요개념 = 41
   복습용 질문 = 41
   문제와 응용 = 42
제2편 고전파 이론 : 장기적으로 본 경제 = 45
 제3장 국민소득 : 생산과 분배 = 47
  3-1 재화 및 용역 생산 = 49
   생산요소 = 49
   생산함수 = 50
   재화 및 용역의 공급 = 51
  3-2 생산요소에 대한 국민소득의 분배 = 51
   요소가격 = 51
   경쟁상태 하의 기업이 직면하는 결정 = 52
   요소에 대한 기업의 수요 = 53
   국민소득의 분배 = 57
    사례연구 : 혹사병과요소가격 = 59
  3-3 재화 및 용역에 대한 수요 = 69
   소비 = 60
   투자 = 61
    FYI : 많은 다른 종류의 이자율 = 62
   정부구매 = 63
  3-4 재화 및 용역에 대한 공급과 수요의 균형 = 64
   재화 및 용역시장의 균형 : 경제 생산량의 공급과 수여 = 65
   금융시장의 균형 : 대부자금의 공급과 수요 = 66
   저축의 변화 : 재정정책의 효과 = 68
    사례연구 : 전쟁과 이자율의 변화 : 영국의 경우(1730~1920) = 69
   투자수요의 변화 = 70
    FYI : 식별문제 = 72
  3-5 결론 = 74
   요약 = 75
   주요개념 = 75
   복습용 질문 = 76
   문제와 응용 = 76
  부록 : 콥-더글라스 생산함수 = 78
   추가문제와 응용 = 81
 제4장 화폐와 인플레이션 = 83
  4-1 화폐란 무엇인가? = 84
   화폐의 기능 = 84
   화폐의 형태 = 85
    사례연구 : 포로수용소 내에서의 화폐 = 86
   법정불환지폐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 87
    사례연구 : 화폐와 얍 섬의 사회적 관습 = 87
   통화량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 88
   통화량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89
  4-2 화폐수량이론 = 90
   거래와 수량방정식 = 90
   거래에서 소득으로의 전환 = 91
   통화수요함수와 수량방정식 = 92
   일정한 유통속도에 대한 가정 = 93
   화폐, 가격, 인플레이션 = 94
    사례연구 : 인플레이션과 통화중가 = 95
  4-3 화폐주조세 : 화례발행에 따른 수입 = 97
   사례연구 : 미국혁명의 대가 = 98
  4-4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98
   두 가지 종류의 이자율 : 실질과 명목 = 98
   피셔효과 = 99
    사례연구 : 인플레이션과 명목이자율 = 100
   두 개의 실질이자율 : 사전적 및 사후적 = 101
    사례연구 : 19세기의 명목이자율 = 102
  4-5 명목이자율과 통화수요 = 103
   화폐를 소지하는 비용 = 103
   장래의 통화공급과 현재가격 = 103
  4-6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105
   일반인의 견해와 고전파의 대응 = 105
    사례연구 : 경제학자 및 일반인들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사고 = 106
   기대한 인플레이션의 비용 = 107
   기대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의 비용 = 108
    사례연구 : 은화 자유주조운동, 1896년 선거, 오즈의 마법사 = 110
   인플레이션의 한 가지 이점 = 111
    FYI : 인플레이션의 비용에 관한 케인즈(및 레닌)의 견해 = 112
  4-7 초인플레이션 = 112
   초인플레이션의 비용 = 112
    사례연구 : 볼리비아 초인플레이션 기간 동안의 생활 = 114
   초인플레이션의 원인 = 115
    사례연구 : 양 대전 사이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 116
  4-8 결론 : 고전파의 이분법 = 118
   요약 = 119
   문제와 응용 = 120
   복습용 질문 = 120
   주요개념 = 120
  부록 : 케이건 모형 : 현재 및 장래통화가 물가수준에 미치는 영향 = 122
   추가문제와 응용 = 124
 제5장 개방경제 = 125
  5-1 자본 및 재화의 국제적 이동 = 127
   순수출의 역할 = 127
   국제자본이동과 무역수지 = 128
    FYI : 재화 및 자본의 국제적 이동:실례 = 130
  5-2 소국개방경제하에서의 저축과 투자 = 131
   자본 이동과 세계이자율 = 131
   모형 = 132
   경제정책은 무역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134
   경제정책의 평가 = 136
    사례연구 : 미국의 무역적자 = 137
  5-3 환율 = 139
   명목 및 실질환율 = 139
    FYI : 일간신문이 환율을 발표하는 방법 = 141
   실질환율과 무역수지 = 142
   실질환율의 결정요인 = 142
   경제정책은 실질환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144
   무역정책의 영향 = 146
   명목환율의 결정요소 = 148
    사례연구 : 인플레이션과 명목환율 = 149
   구매력 평가의 특수한 예 = 150
    사례연구 : 전세계의 빅맥 가격 = 152
  5-4 결론 : 대국개방경제인 미국 = 154
   요약 = 155
   주요개념 = 155
   복습용 질문 = 156
   문제와 응용 = 156
  부록 : 대국개방경제 = 158
   순자본유출 = 158
   모형 = 160
   대국개방경제 하에서의 정책 = 162
   결론 = 167
   추가문제와 응용 = 167
 제6장 실업 = 169
  6-1 실직, 구직, 자연실업를 = 170
  6-2 구직과 마찰적 실업 = 173
   공공정책과 마찰적 실업 = 174
    사례연구 : 실업보험과 구직률 = 175
  6-3 실질임금 경직성과 구조적 실업 = 175
   최저 임금법 = 176
    사례연구 : 최저임금 수정론자의 견해 = 178
   노동조합과 단체교섭 = 179
   효율성 임금 = 180
    사례연구 : 헨리 포드의 일당 5달러 = 181
  6-4 실업의 형태 = 182
   실업의 지속기간 = 182
   연령집단별 실업률의 변화 = 183
   미국 실업의 추세 = 184
   노동인구로의 편입 및 철수 = 186
   유럽 실업의 증가 = 187
    사례연구 : 행복으로의 비밀 = 188
  6-5 결론 = 189
   요약 = 190
   주요개념 = 190
   복습용 질문 = 191
   물제와 응용 = 191
제3편 성장이론 : 최장기적으로 본 경제 = 193
 제7장 경제성장 Ⅰ = 195
  7-1 자본축적 = 195
   재화의 공급 및 수요 = 197
   자본량의 성장과 안정상태 = 199
   안정상태의 도달 : 숫자를 이용한 예 = 202
    사례연구 : 일본의 기적과 독일의 성장 = 204
   저축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 205
    사례연구 : 세계의 저축과 투자 = 206
  7-2 자본의 황금률수준 = 208
   안정상태의 비교 = 208
   황금률 안정상태 : 숫자를 이용한 예 = 211
   황금률의 안정상태로의 전환 = 213
  7-3 인구성장 = 216
   인구증가를 고려한 안정상태 = 216
   인구증가의 효과 = 218
    사례연구 : 전세계의 인구증가 = 219
  7-4 결론 = 221
   요약 = 221
   주요개념 = 222
   복습용 질문 = 222
   문제와 응용 = 222
 제8장 경제성장 Ⅱ = 225
  8-1 솔로우 모형에서의 기술 진보 = 226
   노동의 효율성 = 226
   기술진보를 고려한 안정상태 = 227
   기술진보의 효과 = 228
  8-2 성장을 측진하는 정책 = 229
   저축률의 평가 = 229
   저축률의 변화 = 231
    사례연구 : 사회보장제도는 개선되어야 하는가? = 231
   경제 내 투자의 배분 = 232
   기술진보의 촉진 = 234
    사례연구 : 전세계적인 경제성장의 둔화 = 234
    사례연구 : 정보기술과 신경제 = 236
  8-3 성장이론에서 성장경험으로 전환 = 238
   균형성장 = 238
   수렴 = 239
   요소축적 대 생산효율성 = 240
  8-4 솔푼우모형 아훈의 성장아르 ; 내생적 성장이론 = 241
   기본모형 = 242
   2부문 모형 = 243
   연구 개발의 미시경제학 = 244
  8-5 결론 = 245
   요약 = 246
   문제와 응용 = 247
   복습용 질문 = 246
   주요개념 = 246
  부록 : 경제성장의 근원에 대한 설명 = 249
   생산요소의 증가 = 249
   기술진보 = 251
   미국성장의 원천 = 253
    사례연구 : 동아시아 호랑이들의 성장 = 253
   추가문제와 응용 = 254
제4편 경기순환이론 : 단기적으로 본 경제 = 251
 제9장 경제변동입문 = 259
  9-1 거시경제학의 단기 및 장기 = 251
   단기와 장기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 261
    사례연구 : 비신축적인 잡지가격의 수수께끼 = 262
   총공급 및 총수요 모형 = 262
  9-2 총수요 = 263
   총수수요로서의 수량방정식 = 263
   총수요곡선은 왜 하향하는가 = 264
   총수요곡선의 이동 = 265
  9-3 총공급 = 266
   장기 : 수직적인 총공급곡선 = 267
   단기 : 수평적인 총공급곡선 = 268
   단기에서 장기로= 270
    사례연구 : 금, 미국 지폐, 1870년대의 경기수축 = 271
  9-4 안정화정책 = 272
   총수요에 대한 충격 = 272
   총공급에 대한 충격 = 273
    사례연구 :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과 1980년대의 행운에 석유수출국기구는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 275
  9-5 결론 = 277
   요약 = 277
   주요개념 = 278
   복습용 질문 = 278
   문제와 응용 = 278
 제10장 총수요 Ⅰ = 279
  10-1 재화시장과 IS 곡선 = 281
   균형 국민소득 결정모형 = 281
    사례연구 : 조세삭감을 통한 경제 확성화 = 288
   이자율, 투자, IS 곡선 = 289
   재정정책은 IS 곡선을 어떻게 이동시키는가 = 290
   대부자금을 이용한 IS 곡선의 해석 = 292
  10-2 화례시장과 LM 곡선 = 293
   유동성 선호이론 = 293
    사례연구 : 폴 보커가 통화를 수축시켰을 때 이는 이자율을 상승시켰는가 또는 하락시켰는가? = 296
   소득, 통화수요, LM 곡선 = 296
   금융정책은 어떻게 LM 곡선을 이동시키는가 = 297
   수량방정식을 이용한 LM 곡선의 해석 = 298
  10-3 결론 : 단기균형 = 299
   요약 = 301
   주요개념 = 302
   복습용 질문 = 302
   문제와 응용 = 302
 제11장 총수요 Ⅱ = 305
  11-1 IS-LM 모형을 이용한 경제변동 설명 = 305
   재정정책의 변화에 따른 IS 곡선의 이동 및 단기균형의 변화 = 306
   금융정책의 변화에 따른 LM 곡선의 이동 및 단기균형의 변화 = 307
   금융 및 재정정책의 상호작용 = 309
    사래연구 : 거시계량경제 모형을 이용한 정책분석 = 311
   IS-LM 모형에 있어서의 충격 = 312
    사례연구 : 2001년에 발생한 미국의 경기후퇴 = 314
   연방준비은행의 정책 지표는 통화공급인가 또는 이자율인가? = 314
  11-2 총수요 이론으로서의 IS-LM 모형 = 316
   IS-LM 모형에서 총수요곡선으로 = 316
   단기 및 장기에 있어서의 IS-LM 모형 = 318
  11-3 대공황 = 320
   지출가설 : IS 곡선에 대한 충격 = 322
   통화가설 : LM 곡선에 대한 충격 = 323
   다시 검토하는 통화가설 : 물가하락의 효과 = 324
   공황은 다시 일어날 수 있을까? = 326
    사례연구 : 1990년대 일본의 경기침체 = 327
  11-4 결론 = 328
   FYI : 유동성 함정 = 329
   요약 = 329
   문제와 응용 = 330
   복습용 질문 = 330
   주요개념 = 330
  부록 : IS-LM 모형과 총수요곡선의 간단한 대수 = 333
   IS 곡선 = 333
   LM 곡선 = 335
   총수요곡선 = 336
    사례연구 : 금융 및 재정정책의 효과 = 336
   추가문제와 응용 = 337
 제12장 개방경제 하에서의 총수요 = 339
  12-1 먼델-플레밍 모형 = 340
   주요 가정 : 완전자본이동 하에서의 소국개방 경제 = 340
   재화시장과 I$$S^{*}$$ 곡선 = 341
   화폐시장과 L$$M^{*}$$ 곡선 = 341
   모형의 구성 = 343
  12-2 변동환율제하에서의 소국개방경제 = 344
   재정정책 = 344
   금융정책 = 346
   무역정책 = 347
  12-3 고정환율제 하에서의 소국개방경제 = 348
   고정환율제는 어떻게 운용되는가 = 348
    사례연구 : 국제금본위제도 = 350
   재정정책 = 351
   금융정책 = 351
    사례연구 : 평가절하와 대공황으로부터의 회복 = 352
   무역정책 = 353
   먼델-플레밍 모형에서의 정책 : 요약 = 353
  12-4 이자율 차이 = 354
   국가위험과 환율기대 = 355
   먼델-플레밍 모형에서의 이자율 차이 = 355
    사례연구 : 국제금융 위기 : 멕시코의 경우(1994~1995) = 357
    사례연구 : 국제 금융 위기 : 아시아의 경우(1997~1998) = 358
  12-5 변동환율제이어야 하는가 또는 고정환율제이어야 하는가? = 359
   상이한 환율제도에 관한 찬반논의 = 359
    사례연구 : 미국 및 유럽의 통화연합 = 361
   투기적 공격, 통화위원회, 달러화 정책 = 362
 12-6 가격이 변화하는 경우의 먼델-플레밍 모형 = 363
 12-7 결론 = 300
  요약 = 366
  주요개념 = 367
  복습용 질문 = 367
  문제와 응용 = 367
 부록 : 대국개방경제의 단기모형 = 309
  재정정책 = 371
  금융정책 = 372
  경험법칙 = 373
  추가문제와 응용 = 373
 제13장 총공급 = 375
  13-1 총공급곡선에 관한 세 가지 모형 = 375
   비신축적 임금모형 = 377
    사례연구 : 실질임금의 경기순환적 행태 = 379
   불완전 정보모형 = 381
   비신축적 가격모형 = 382
    사례연구 : 총공급곡선의 국제적 차이 = 385
   요약과 의미 = 386
  13-2 인플레이션, 실업, 필립스곡선 = 388
   총공급곡선으로부터 필립스곡선의 도출 = 388
    FYI : 최근 필립스곡선의 역사 = 390
   적응적 기대와 인플레이션 관성 = 390
   상승하고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의 두 가지 원인 = 392
    사례연구 :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실업 = 392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단기적 상충 = 394
   디스인플레이션과 희생률 = 395
    FYI : 자연실업률의 추정값은 얼마나 정확한가? = 396
   합리적 기대와 고통없는 디스인플레이션의 가능성 = 397
    사례연구 실제에 있어서의 희생률 = 399
   이력현상과 자연율 가설에 대한 도전 = 400
  13-3 결론 = 402
   요약 = 402
   주요개념 = 403
   복습용 질문 = 403
   문제와 응용 = 403
  부록 : 대규모 포괄 모형 = 406
   추가문제와 응용 = 408
제5편 거시경제정책 논의 = 409
 제14장 안정화정책 = 411
  14-1 정책은 적극적이어야 하는가 또는 수동적이어야 하는가? = 412
   시행상의 시차와 정책효과 = 413
   경제예측의 어려움 = 414
    FYI : 선행경제지표의 지수는 무엇인가? = 415
    사례연구 : 경제예측상의 착오 = 415
   무지, 기대, 루카스 비판 = 417
   역사적 기록 = 418
    사례연구 : 경제 안정화는 자료의 허구인가? = 419
    사례연구 : 1990년대 미국 경제의 주목할 만한 안정성 = 420
  14-2 경제정책은 규칙에 따라야 하는가 또는 자유재량에 따라야 하는가? = 421
   정책입안자의 불신과 정치과정 = 421
    사례연구 : 공화당 행정부 및 민주당 행정부하에서의 경제 = 422
   자유재량정책의 시간 불일치성 = 424
    사례연구 : 알렉산더 해밀턴 (Alexander Hamilton) 대 시간 불일치성 = 426
   금융정책에 대한 규칙 = 426
    사례연구 : 인플레이션 표적화 : 규칙 또는 제한적인 자유재량? = 427
    사례연구 : 존 테일러(및 앨런 그린스펀?)의 통화정책 규칙 = 428
    사례연구 : 중앙은행의 독립성 = 430
  14-3 결론 : 불확실한 세계에서의 정책수립 = 432
   요약 = 432
   주요개념 = 433
   복습용 질문 = 433
   문제와 응용 = 434
  부록 : 시간 불일치와 인플레이션 및 실업 사이의 상충관계 = 435
   추가문제와 응용 = 418
 제15장 정부부채 = 439
  15-1 정부부채의 규모 = 440
   사례연구 : 재정의 장래 :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 442
  15-2 측정상의 문제 = 444
   측정상의 문제 1번 : 인플레이션 = 444
   측정상의 문제 2번 : 자본자산 = 445
   측정상의 문제 3번 : 계산되지 않은 부채 = 446
   측정상의 문제 4번 : 경기순환 = 447
   요약 = 447
    사례연구 : 세대 간 회계방식 = 448
  15-3 정부부채에 관한 전통적인 견해 = 449
  15-4 정부부채에 관한 리카디언 견해 = 451
   리카디언 둥가의 기본논리 = 451
   소비자와 장래조세 = 452
    사례연구 : 조지 부시(George Bush)의 보류된 실험 = 453
    사례연구 : 부모는 왜 유산을 남기는가? = 455
   선택하기 = 456
    FYI : 리카도와 리카디언 등가 = 457
  15-5 정부부쾌에 관한 기타 견해 = 468
   균형재정 대 최적의 재정정책 = 458
   금융정책에 대한 재정효과 = 459
   부채와 정치과정 = 460
   국제적인 차원 = 461
    사례연구 : 지수화된 채권의 이점 = 462
  15-6 결론 = 463
   요약 = 463
   주요개념 = 464
   복습용 질문 = 464
   문제와 응용 = 465
제6편 거시경제학 이면에 있는 미시경제학 분석 = 467
 제16장 소비 = 469
  16-1 존 메이너드 케인즈와 소비함수 = 470
   케인즈의 추측 = 470
   초기 실증분석의 성공 = 472
   지속적 불경기, 사이먼 쿠즈네츠, 소비의 수수께끼 = 472
  16-2 어빙 피셔와 기간 간 선택 = 474
   기간 간 예산제약 = 474
    FYI : 현재가치 또는 1,000,000달러 상금이 623,000달러 가치밖에 되지 않는 이유 = 476
   소비자선호 = 477
   최적화 = 479
   소득변화는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479
   실질이자율의 변화는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481
   차용에 대한 제약 = 482
    사례연구 : 일본의 높은 저축률 = 484
  16-3 프랑코 모디글리아니와 생애소득가설 = 485
   가설 = 485
   의미 = 486
    사례연구 : 노년층의 소비와 저축 = 488
  16-4 밀턴 프리드먼과 항상소득가설 = 489
   가설 = 490
   의미 = 491
    사례연구 : 1964년의 조세삭감과 1968년의 가중과세 = 492
  16-5 로버트 흘과 획률보행 가설 = 49B
   가설 = 493
   의미 = 493
    사례연구 : 예측할 수 있는 소득변화는 예측할 수 있는 소비변화로 이어지는가? = 494
  16-6 데이비드 레입슨과 즉각적인 만족의 표출 = 495
  16-7 결론 = 496
   요약 = 497
   주요개념 = 498
   복습용 질문 = 498
   문제와 응용 = 498
 제17장 투자 = 501
  17-1 기업 고정투자 = 502
   자본의 임대가격 = 503
   자본의 비용 = 504
   투자의 결정요소 = 506
   조세와 투자 = 508
   주식시장과 토빈의 q = 509
    사례연구 : 경제지표로서의 주식시장 = 511
   금융제약 = 512
    사례연구 : 은행위기와 신용붕괴 = 513
  17-2 주택투자 = 514
   저량균형과 유량공급 = 514
   주택수요의 변화 = 515
    FYI : 귀하는 어떤 가격에 주택을 구입할 수 있습니까? = 516
   주택의 조세처리 = 517
  17-3 재고투자 = 517
   재고보유의 원인 = 518
   재고의 가속도 모형 = 518
    사례연구 : 가속도 모형의 실증자료 = 519
   재고와 실질이자율 = 520
  17-4 결론 = 521
   요약 = 521
   주요개념 = 522
   복습용 질문 = 522
   문제와 응용 = 522
 제18장 통화긍급과 통화수요 = 525
  18-1 통화공급 = 525
   100퍼센트 지불준비 은행제도 = 526
   부분준비 은행제도 = 527
   통화공급 모형 = 529
   금융정책의 세 가지 수단 = 531
    사례연구 : 1930년대 은행파산과 통화공급 = 532
  18-2 통화수요 = 534
   통화수요에 관한 자산선택이론 = 534
    사례연구 : 현금과 지하경제 = 536
   통화수요에 관한 거래이론 = 536
   현금관리에 관한 보몰-토빈 모형 = 537
    사례연구 : 통화수요의 실중연구 = 540
  18-3 금융혁신, 준화폐, 층통화의 소멸 = 541
  18-4 결론 = 642
   요약 = 542
   주요개념 = 543
   복습용 질문 = 543
   문제와 응용 = 543
 제19장 경기순환이론의 발전 = 545
  19-1 실질경기 순환이론 = 546
   로빈슨 크루소의 경제학 = 546
   노동시장에 관한 해석 = 548
    사례연구 : 기간 간 대체에 관한 탐구 = 550
   기술충격의 중요성 = 550
    사례연구 : 솔로우 잔차와 경기순환 = 551
   화폐 중립성 = 553
    사례연구 : 화폐 중립성에 대한 실험 = 553
   임금 및 가격의 신축성 = 554
  19-2 신케인지언 경제학 = 555
   적은 메뉴비용과 총수요 외부경제 = 555
   조정실패로서의 경기후퇴 = 555
    사례연구 : 조정게임에 대한 실험결과 = 558
   임금 및 가격의 동요 = 559
    사례연구 : 기업들이 비신축적인 가격을 유지하는 이유를 알고 싶다면 당사자들에게 물어보자. = 560
  19-3 결론 = 562
   요약 = 563
   주요개념 = 564
   복습용 질문 = 564
   문제와 응용 = 564
후기 :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 = 567
 거시경제학의 네 가지 중요한 교훈 = 557
  교훈 1번 : 장기적으로 재화 및 용역을 생산하는 일국의 능력이 국민의 생활수준을 결정한다. = 568
  교훈 2번 : 단기적으로 총수요는 일국이 생산하는 재화 및 용역의 규모에 영향을 미친다. = 568
  교훈 3번 : 장기적으로 통화성장률은 인플레이션율을 결정하지만 실업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569
  교훈 4번 : 단기적으로 금음 및 재정정책을 관리하는 정책입안자들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의 상충관계에 직면하게 된다. = 570
 거시경제학의 네 가지 중요한 해결하지 뭇한 의문점 = 570
  의문점 1번 : 정책입안자들은 생산량의 자연율을 어떻게 증가시킬 수 있는가? = 570
  의문점 2번 : 정책입안자는 경제를 안정화시켜야 하는가? = 571
  의문점 3번 : 인플레이션의 대가는 얼마나 비싸며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대가는 얼마나 비싼가? = 572
  의문점 4번 : 정부부채는 얼마나 큰 문제인가? = 573
결론 = 574
도표로 보는 한국경제 = 515
용어해설 = 591
찾아보기 = 60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