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컴퓨터 교육과정론 = 1
제1장 컴퓨터 교과교육학(상)
1. 컴퓨터과의 배경 = 4
1.1 컴퓨터 교육의 당위성 = 4
1.2 컴퓨터 교육의 도입과 변천 = 4
1.3 컴퓨터 교육의 동향 = 7
2 컴퓨터 교육과정의 실태 = 9
2.1 성격 = 9
2.2 편제와 시간배당 = 10
2.3 목표와 내용 = 12
2.4 타교과목의 컴퓨터 교육내용 = 14
3. 컴퓨터 교육의 운영 = 15
3.1 기본 방향 = 15
3.2 수업지도 = 18
제2장 컴퓨터 교과교육학(하)
1. 컴퓨터 교육의 개요 = 26
1.1 컴퓨터 교육의 개념 = 26
1.2 컴퓨터 교육의 분류 = 26
1.3 컴퓨터의 교육적 이용 = 26
2. 컴퓨터 보조수업(CAI) 개관 = 28
2.1 CAI의 개념 = 28
2.2 CAI의 종류 = 29
2.3 CAI의 개발 절차 = 30
3. ICAI(Intelligent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47
3.1 인공지능의 정의 = 47
3.2 인공지능의 대표적인 연구분야 = 48
3.3 ICAI(Intelligence Computer Aided Instruction)의 정의 = 49
3.4 ICAI의 기능적인 구조 = 50
4. CAI의 학습지도모형 = 54
4.1 학습지도계획 = 54
4.2 수업매체 = 55
4.3 학습활동모형 = 55
4.4 CAI 학습지도안(중학교 2학년) = 55
5. 저작도구 = 59
5.1 저작도구의 장점 = 59
5.2 저작도구의 문제점 = 60
5.3 저작도구의 종류 = 60
5.4 교육용 저작도구의 활용과 발전방향 = 66
5.5 저작도구가 갖추어야 할 요소 = 71
6. 컴퓨터 보조수업 설계를 위한 교수학습이론 = 74
6.1 인지론적 학습이론 = 74
6.2 행동주의 학습이론 = 75
6.3 Gagne의 9가지 학습사태에 근거한 CAI 프로그램 개발 = 77
6.4 개별화 학습에 입각한 CAI 프로그램 개발 = 79
6.5 Jay의 정보처리이론에 입각한 CAI 프로그램 개발 = 80
6.6 구성주의 이론 = 81
7. 컴퓨터 경영수업(CMI) 개관 = 83
7.1 CMI의 정의 = 84
7.2 CMI의 기능과 특성 = 84
7.3 CMI의 필요성 = 86
7.4 CAI와 CMI의 특성 = 87
8. 인터넷과 컴퓨터 교육 = 88
8.1 인터넷과 학습 = 88
8.2 인터넷에서의 교육적 활동 = 88
8.3 인터넷 용어 및 기타 = 93
9.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교육 = 98
9.1 멀티미디어 = 98
10. 가상교육과 원격교육 = 120
10.1 가상교육과 원격교육의 의의 = 120
10.2 원격교육의 특성 = 120
10.3 원격교육 시스템의 구조 및 교육방식 = 120
10.4 원격교육으로 예상대는 기대효과 = 121
10.5 미래교육에 주는 시사점 = 121
제2부 컴퓨터 교과내용학 = 123
1. 운영체제 = 125
1.1 개요 = 125
1.2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 127
1.3 프로세서 스케줄링 = 131
2. 주기억장치관리 = 141
2.1 개요 = 141
2.2 기억장치 계층구조 = 142
2.3 기억장치 관리기법 = 142
2.4 연속대 불연속 기억장치 할당 = 143
2.5 단일사용자 연속기억장치의 할당 = 143
2.6 고정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 144
2.7 가변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 145
2.8 기억장치 교체(swapping) = 146
3. 가상기억장치의 구성 = 146
3.1 가상기억장치의 개념 = 146
3.2 블록 사상 = 147
3.3 페이지 기법 = 148
3.4 세그먼트 기법 = 152
4. 가상기억장치의 관리 = 155
4.1 가상기억장치 관리기법 = 155
4.2 페이지 교체기법(page replacement strategy) = 155
4.3 국부성(locality) = 158
4.4 Working Sets = 159
4.5 PFF(Page Fault Frequency) 페이지 교체 = 159
4.6 페이지 호출기법(demand page fetch strategy) = 160
4.7 페이지 양도 = 161
5. 디스크 스케줄링 = 161
5.1 개념 = 161
5.2 이동 헤드 디스크 = 161
5.3 디스크 스케줄링 = 162
6. 교착상태(deadlock) = 170
6.1 교착상태의 특성 = 170
6.2 교착상태 방지(deadlock prevention) = 171
6.3 교착상태 회피(deadlock avoidance) = 172
6.4 교착상태 탐지(deadlock detection) = 173
6.5 교착상태 복구(recovery from deadlock) = 174
6.6 교착상태 처리의 복합적 접근방법 = 175
7. 병행 프로세스 = 175
7.1 단일 프로세스 내의 병행수행 = 176
제1장 컴퓨터 구조
1. 전자계산기 = 178
1.1 역사 = 178
1.2 계산기의 기본 구성 = 179
1.3 프로그램과 언어 = 181
1.4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 182
2. 논리회로 = 185
2.1 부울 대수(Boolean Algebra)=부울변수 = 185
2.2 조합회로(combination circuit) = 188
2.3 순서회로(sequential circuit : 기억화 회로) = 194
2.4 직접회로(integrated circuit) = 197
2.5 코드 = 198
2.6 자료의 내부적 표현방식 = 199
3. 연산 = 204
3.1 연산 = 204
3.2 비수치적 연산 = 205
3.3 수치적 연산 = 209
4. 명령어 및 주소지정 방식 = 210
4.1 연산자 = 210
4.2 주소지정방식 = 211
4.3 인스트럭션 형식 = 214
5. 명령어(instruction)의 수행과 제어 = 216
5.1 CPU의 구조 = 216
5.2 CPU의 동작(fetch & execution) = 218
6. 인터럽트(interrupt) = 220
6.1 인터럽트 처리 = 220
6.2 운영체제와 인터럽트 = 223
6.3 인터럽트 체제 = 224
6.4 우선 순위 체제 = 225
7. 기억장치(RAM) = 226
7.1 개요 = 226
7.2 주기억장치 = 227
8. 입출력 채널 = 232
8.1 입출력 = 232
8.2 데이터 전송 = 234
8.3 채널(channel) = 236
제2장 컴퓨터 네트워크
1. 컴퓨터 통신의 개요 = 240
1.1 컴퓨터 통신망의 목적 = 240
1.2 간단한 통신 모델 = 240
2 데이터 통신의 기초 = 241
2.1 통신 시스템의 3대 구성요소 = 241
2.2 데이터 통신의 전송방식 = 241
2.3 컴퓨터 통신망의 여러 형태 = 242
2.4 전송코드의 종류 = 244
2.5 ASCII 제어문자 = 244
2.6 전송방향에 따른 통신방식의 분류 = 245
2.7 회선의 형태 = 245
2.8 전송손상(transmission impairments) = 246
3. 데이터 통신의 요소 = 247
3.1 유선전송 매체(hardwire medium) = 247
3.2 무선통신 매체 = 250
3.3 데이터 교환방식 = 251
3.4 다중화기 = 257
3.5 집중화기 = 257
3.6 단말기 통신방식 = 257
3.7 단말기의 종류 = 257
4. 데이터 통신의 이론 = 258
4.1 통신제어에 대한 접근방법 = 258
4.2 통신기능 = 258
4.3 통신망 구조(network architecture)의 목적 = 259
4.4 데이터 통신의 기능 = 259
4.5 주소지정 = 260
4.6 오류제어의 방식 = 260
4.7 흐름제어 = 262
4.8 경로선택 = 263
4.9 패리티 검사 = 264
4.10 순환잉여검사(CRC) = 264
5. OSI의 구조 = 265
5.1 계층의 분리원칙 = 265
6. 근거리 통신망 = 271
6.1 LAN의 정의 = 271
6.2 LAN의 특성 = 271
6.3 LAN의 분류 = 271
7. 정보보호 = 277
7.1 암호방식의 개요 = 277
7.2 암호기술의 목표 = 277
7.3 암호방식의 종류 = 277
제3장 소프트웨어 공학
1. 소프트웨어 공학 개념 = 280
1.1 소프트웨어 공학의 정의 = 280
2. 컴퓨터 시스템 공학 = 283
2.1 소프트웨어 공학 과정 = 283
2.2 인간공학 = 284
2.3 시스템 분석 = 284
2.4 시스템 명세 = 285
3.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계획 = 285
4. 요구사항 분석방법 = 290
4.1 요구사항 분석방법론 = 290
4.2 요구사항분석 자동화 도구 = 293
4.3 요구사항분석 자동접근방법의 장점들 = 294
5. 소프트웨어 설계 기본원칙 = 294
5.1 소프트웨어의 설계과정 = 294
5.2 설계의 기본사항 = 295
5.3 모듈화 설계기법 = 297
5.4 절차적 설계 = 299
6. 자료흐름중심 설계 = 301
6.1 자료흐름중심 설계의 변천 = 301
6.2 정보흐름에서 프로그램 구조로의 변환단계 = 302
6.3 프로세스 추상 = 302
7. 자료구조중심 설계 = 302
7.1 개요 = 302
7.2 자료구조중심 대 자료흐름중심 = 303
7.3 설계과정시 고려사항 = 303
7.4 Jackson 시스템 개발 = 303
7.5 Warnier 도표 = 305
7.6 복잡한 구조 = 305
7.7 단순설계 접근방법 = 306
8. 객체중심 설계 = 307
8.1 객체중심설계의 개념 = 307
8.2 비공식 전략의 특성 = 309
8.3 OOD를 위한 도식적 표현 = 309
8.4 객체지향 모델 = 310
9.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와 재사용성 = 312
9.1 소프트웨어 재사용 = 312
9.2 소프트웨어 재공학 = 312
제4장 인공지능
1. 인공지능의 개요 = 316
1.1 인공지능의 개념 = 316
1.2 인간지능의 특징 = 316
1.3 인공지능의 분야 = 316
1.4 인공지능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세 가지 능력 = 317
1.5 인공지능 시스템 = 317
2. 인공지능의 문제 = 318
2.1 인공지능 문제의 세 가지 조건 = 318
2.2 인공지능에서 취급하는 문제의 종류 = 318
2.3 연산자와 문제해결방법 = 319
3. 문제의 표현 = 320
3.1 상태묘사 = 320
3.2 생성규칙 = 321
3.3 상태공간 = 321
3.4 확장 = 321
4. 탐색에 의한 문제풀이 = 322
4.1 용어정리 = 322
4.2 탐색의 종류 = 322
5. 문제축소에 의한 풀이 방식 = 324
5.1 AND/OR 그래프 = 324
6. 지식의 표현방법 = 326
6.1 지식이란? = 326
6.2 지식표현의 조건 = 326
6.3 지식표현의 유형 = 327
6.4 지식표현의 방법 = 328
7. 논리에 의한 지식표현 = 332
7.1 명제논리 = 332
7.2 술어논리 = 333
7.3 도출연역 = 333
8. 퍼지 논리에 의한 지식표현 = 334
8.1 퍼지 이론이란? = 334
8.2 일반집합과 퍼지 집합 = 334
8.3 퍼지 집합의 연산 = 335
8.4 퍼지 집합 연산자의 특성 = 335
8.5 퍼지 수식의 연산자 = 336
8.6 퍼지 논리연산자의 특성 = 336
9. 생성 시스템 = 337
9.1 생성 시스템의 구성 = 337
9.2 전방향 추론 = 337
9.3 후방향 추론 = 337
9.4 생성 시스템 이용시 고려할 점 = 338
10. 전문가 시스템 = 339
10.1 전문가 시스템의 정의 = 339
10.2 전문가 시스템의 구조 = 340
10.3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 = 340
10.4 전문가 시스템 개발단계 = 341
11. 패턴 인식 = 341
11.1 패턴 인식 시스템의 구성 = 341
11.2 통계적 패턴 인식 = 342
11.3 구문론적 패턴 인식 = 343
11.4 패턴 인식기법의 비교 = 344
12. 자연어 이해 = 344
12.1 자연어 이해의 문제점 = 344
12.2 문장 이해를 위한 해석과정 = 345
12.3 복수문장의 이해 = 345
제5장 데이터베이스
1. 개요 = 348
1.1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 348
1.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348
1.3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 348
1.4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관점 = 349
1.5 데이터의 추상화 = 350
1.6 데이터 모델 = 350
1.7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 = 351
1.8 데이터 언어 = 352
1.9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 base management system) = 352
1.10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조 = 353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조 = 354
2.1 스키마(schema)란? = 354
2.2 스키마의 종류 = 354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 접속 = 355
3.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역할 = 355
3.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 355
3.3 사상연관성 = 356
4.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358
4.1 개요 = 358
4.2 데이터 언어 = 358
4.3 색인 = 360
4.4 데이터 조작 = 360
4.5 뷰(view) = 364
5. 관계연산자 = 366
5.1 개요 = 366
6. 정규화 이론 = 371
6.1 정규화의 필요성 = 371
6.2 함수적 종속성 = 372
6.3 제2정규형(2NF) = 372
6.4 제3정규형(3NF) = 372
6.5 BCNF = 373
6.6 정규화의 예 = 374
6.7 진보된 정규형 = 375
7. 내부 파일 구조 = 376
7.1 개요 = 376
7.2 파일구조 = 377
8. 동시성 제어 = 382
8.1 개요 = 382
8.2 직렬화 가능성 = 383
8.3 직렬성 검사 = 383
8.4 로킹(locking) = 384
8.5 타임스탬프 순서(timestamp ordering) = 384
8.6 검증 기법 = 385
8.7 다중 버전 기법 = 386
8.8 교착 상태 처리 = 387
제6장 프로그래밍 언어 C
1. C언어 = 390
1.1 C언어의 소개 = 390
1.2 데이터와 변수 = 393
1.3 연산자 = 393
1.4 표준 입출력 함수 = 399
1.5 제어문의 종류 = 403
1.6 함수 = 406
1.7 배열 = 410
1.8 포인터 = 416
1.9 구조체 = 420
1.10 파일 입출력 = 429
제7장 자료구조
1. 자료구조 = 436
1.1 스택(stack)의 개요 = 436
1.2 C에 의한 스택의 표현 = 437
1.3 중위 표기, 후위 표기 및 전위 표기 = 440
1.4 큐와 리스트 = 443
1.5 C에서의 리스트 = 457
1.6 트리와 그래프 = 463
1.7 그래프 = 473
1.8 정렬 = 486
1.9 탐색 =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