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20namccc200337 k 4500 | |
001 | 000000836542 | |
005 | 20100806043041 | |
007 | ta | |
008 | 030902s2003 ulka b 001a kor | |
020 | ▼a 8932460892 ▼g 03330: ▼c \19500 | |
035 | ▼a KRIC08899601 | |
040 | ▼a 241008 ▼c 241008 ▼d 211009 ▼d 211010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55968 ▼l 111255969 |
082 | 0 4 | ▼a 301 ▼2 21 |
090 | ▼a 301 ▼b 2003d | |
100 | 1 | ▼a Giddens, Anthony ▼0 AUTH(211009)67657 |
245 | 1 0 | ▼a 현대사회학 / ▼d 앤서니 기든스 지음 ; ▼e 김미숙...[등옮김]. |
246 | 1 9 | ▼a Sociology |
260 | ▼a 서울 : ▼b 을유문화사 , ▼c 2003. | |
300 | ▼a 622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원서는 4th ed.임 | |
500 | ▼a 권말 "기본개념풀이" 수록. | |
500 | ▼a 찾아보기: p.618-622 | |
500 | ▼a 공역자사항: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성호 | |
500 | ▼a 원저자명: Giddens, Anthony | |
504 | ▼a 참고문헌: p.603-617 | |
700 | 1 | ▼a Giddens, Anthony |
700 | 1 | ▼a 김미숙 , ▼e 역 ▼0 AUTH(211009)12528 |
900 | 1 1 | ▼a 기든스, 앤서니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410324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410324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112559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사범대교학과 301 2003d | 등록번호 111463375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523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52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270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270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410324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410324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1125596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사범대교학과 301 2003d | 등록번호 111463375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523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52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270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 청구기호 301 2003d | 등록번호 1512270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3의 길'을 주창한 앤터니 기든스가 쓴 <현대사회학>의 개정 4판. 1989년 초판이 출간된 이후 시대상황의 변화와 학문적 성장에 따라 꾸준히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제4판에선 이전 판의 성공 요인인 테마별 전개방식과 세계 여러 사회를 비교하는 다양한 관점 등은 그대로 계승하되, 변화된 시대를 반영하는 내용은 과감히 수정했다. 기존의 인종 갈등과 계급 구조의 변화에서부터 젠더, 건강, 질병, 고령화로 압축되는 몸의 사회학, 범죄와 일탈, 종교, 교육 등의 테마는 심도깊은 탐구와 최신 예제로 대체했다.
또한 새로이 빈곤과 사회적 배제, 생태학적 문제와 '휴대폰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기술의 발달에 대한 논의도 추가되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앤서니 기든스(지은이)
현대 사회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인 그는 사회 이론과 계층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다. 독일의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유럽 지성의 쌍벽을 이루며 ‘영국의 자존심’으로 불릴 만큼 대중적 지지와 학문적 권위를 인정받는 거장이다. 특히 사회 이론 분야에서 유럽의 지적 전통과 현대적 흐름을 반영한 ‘사회 구조화 이론’으로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자본주의의 불평등을 극복하는 ‘제3의 길’이라는 새로운 사회 발전 모델을 주창하였다. 이 ‘제3의 길’은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등 유럽을 이끄는 중도좌파 정치가들의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기든스는 고전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검토하는 작업부터 현대성에 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회 이론가로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세계적인 사회학자가 사회학 입문서를 쓴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기든스는 혼신의 힘을 다하여 이 책을 계속 보완하며 제8판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은 전 세계 29개 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는데, 기든스 자신이 폴리티(Polity)라는 학술 전문 출판사를 공동 설립해서 매년 80여 권의 학술 서적을 간행하는 출판인이기도 하다. 영국 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으며(1959),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 영국 레스터대학교 사회학 강사(1961~1970), 케임브리지대학교 강사와 교수(1970~1997)를 거쳐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학장(1997~2003)을 역임했다. 현재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자본주의와 현대 사회 이론』(1971), 『선진 사회의 계급 구조』(1973), 『사회학 방법의 새로운 규칙』(1976), 『사적 유물론 비판』(1981), 『민족 국가와 폭력』(1985), 『근대성의 결과』(1990), 『근대성과 자아 정체성』(1991), 『친밀성의 변동: 현대 사회의 성, 사 랑, 에로티시즘』(1992),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1994), 『사회학의 변론』(1996), 『제3의 길: 사회 민주주의 쇄신』(1998), 『노동의 미래』(2002)가 있다.
김용학(옮긴이)
미국 시카고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연세대 제18대 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 명예교수이자, SK텔레콤 사외이사와 삼성생명 공익재단 이사로 재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사회 연결망 이론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연구했으며,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교육부 대학 설립위원회, 교육부 BK 기획위원회 등에서 활동하였다.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부편집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Sage에서 출간하는 〈Rationality and Society〉 국제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분석》(개정 3판)과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사회 연결망 이론》을 비롯하여, 《네트워크 사회의 빛과 그늘》, 《사회구조와 행위》(개정 3판), 《비교사회학》 등이 있다.
박길성(옮긴이)
고려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사회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어 문과대학장, 대학원장, 교육부총장을 역임하였다. 미국 유타 주립대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세계한류학회 회장과 한국사회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호암상위원회 위원이며, 지속 가능미래를 위한 사회협력 네트워크 대표를 맡고 있다. 《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 《사회는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사회를 만든다》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in South Korea: From Financial Crisis to K-pop》 외 다수의 국내·외 책을 출간하였다.
송호근(옮긴이)
1956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3부작 『인민의 탄생』 『시민의 탄생』 『국민의 탄생』, 『한국의 노동정치와 시장』 『나는 시민인가』 『그들은 소리 내 울지 않는다』 『가 보지 않은 길』 『혁신의 용광로』, 장편소설 『강화도』 『다시, 빛 속으로』를 펴냈다.
신광영(옮긴이)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Precarious Asia: Global Capitalism and Work in Japan, South Korea, and Indonesia(공저)(*영어 부분은 이탤릭체로 해주세요.) 등이 있다.
유홍준(옮긴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스토니부룩)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학부대학 학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 『조직사회학』, 『직업사회학』, 『신경제사회학』(공저), 『현대중국사회』(공저), 『산업사회학』(공저), 『사회문제』(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현대중국사회계층』, 『현대중국경제사회조사』, 『사회조사방법론』(공역), 『소비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직업 지위 지수」, 「Occupational Structure in China and Its HRD Policy Implications」, 「잡매칭(job matching)이 청년층 노동시장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대졸 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성과」, 「직무 만족과 이직 의사의 행태학적 결정 요인」, 「한국 제약 산업의 시장 구조에 대한 신경제사회학적 분석」, 「조직 구조의 결정 요인 분석」 등이 있다.
김미숙(옮긴이)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지방화·정보화 시대의 여성』, 『우리 시대 이혼 이야기』(공저), 『21세기 지역사회의 갈길: 청주시의 경우』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생명 공학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 『성의 사회학』(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산업 고도화와 한일 여성 노동력 성격 변화」, 「한국 여성 노동력의 성격 변화와 노동 정책: 1960~2000」, 「김대중 정권의 가족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산업 혁명기 여성 노동: 방적업의 경우」, 「참여정부의 가족 정책 성격」, 「중소도시 중년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청주시 경우」 등이 있다.
정성호(옮긴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올버니)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강원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지은 책으로 『중년의 사회학』, 『20대의 정체성』, 『화교』, 『유대인』, 『한국 전쟁과 사회 구조의 변화』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도시 사회학 연구 동향」,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 배경과 실제」, 「해외 한인의 지역별 특성」, 「외국인 노동자가 한국 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파장」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5 제4판 서문 = 7 이 책에 대하여 = 8 Chapter 1 사회학이란 무엇인가(What is Sociology) = 19 사회학적 지향의 개발 = 20 어떻게 사회학이 우리의 삶에 도움을 주는가? = 23 사회학적 사고의 발달 = 24 최근의 사회학적 시각들 = 32 결론 = 35 Chapter 2 문화와 사회(Culture and Society) = 39 문화의 개념 = 40 사회화 = 45 사회의 유형 = 49 사회 변동 = 58 결론 = 63 Chapter 3 변화하는 세계(A Changing World) = 67 세계화의 차원 = 70 세계화 논쟁 = 75 세계화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충격 = 78 세계화와 위험 = 81 세계화와 불평등 = 85 결론 : 전지구적 통치의 필요 = 90 Chapter 4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Social Interaction and Everyday Life) = 95 일상생활의 연구 = 97 비언어적 의사소통 = 100 사회적 규칙과 말 = 103 상호작용에서의 얼굴, 신체와 말 = 108 시간과 공간에서의 상호작용 = 116 결론 : 친근성의 강요 = 117 Chapter 5 젠더와 성성(Gender and Sexuality) = 123 젠더 차이 = 125 젠더 불평등에 대한 관점 = 130 여성스러움, 남성다움 그리고 젠더 관계 = 136 인간 성성 = 142 동성애 = 148 매매춘 = 152 결론 : 젠더와 세계화 = 155 Chapter 6 몸의 사회학 : 건강, 질병, 고령화(Sociology of the Body : Health, Illness and Ageing) = 161 몸의 사회학 = 164 건강의 사회적 기초 = 164 의학과 사회 = 173 건강과 질병에 관한 사회학적 전망 = 178 건강과 고령화 = 182 결론 : 고령화의 미래 = 185 Chapter 7 다양한 가족들(Families) = 191 기본 개념들 = 193 가족 이론 = 195 영국 사회의 결혼과 이혼 = 200 가족 유형의 다양성 : 영국의 인종적 다양성 = 208 대안적 결혼 형태 = 211 가정 폭력과 가족 학대 = 214 가족 가치에 대한 논쟁 = 217 Chapter 8 범죄와 일탈(Crime and Deviance) = 223 일탈사회학 = 225 범죄와 일탈의 설명 = 227 범죄와 일탈에 관한 사회학적 이론 = 229 위험 사회에서 범죄 감소 전략 = 237 범죄의 희생자와 가해자 = 241 교도소 : 범죄에 대한 답인가? = 245 결론 : 범죄, 일탈과 사회 질서 = 247 Chapter 9 계급, 계층, 불평등(Class, Stratification and Inequality) = 253 계급, 계층 이론 = 255 계급의 측정 = 259 현대 서구 사회에서의 계급 = 262 젠더와 계층 = 268 사회 이동 = 271 결론 = 275 Chapter 10 빈곤, 복지, 사회적 배제(Poverty, Welfare and Social Exclusion) = 281 빈곤 = 283 최하층 계급 논쟁 = 291 사회적 배제 = 293 복지와 복지 국가의 개혁 = 301 결론 : 평등과 불평등 다시 생각하기 = 308 Chapter 11 현대조직들(Modern Organizations) = 313 조직과 현대 생활 = 314 조직 이론 = 316 젠더와 조직 = 326 관료제를 넘어서? = 329 결론 = 337 Chapter 12 노동과 경제 생활(Work and Economic Life) = 341 노동이란 무엇인가? = 343 직업 체계의 추세 = 344 분업과 경제적 의존성 = 346 노동의 변화 = 349 여성과 노동 = 351 노동과 가족 = 359 실업 = 366 일자리 불안 = 369 일의 중요성이 쇠퇴하고 있는가? = 371 Chapter 13 정부와 정치(Government and Politics) = 375 정부, 정치와 권력 = 376 국가 개념 = 377 정치적 지배의 형태 = 377 자유민주주의의 전세계적 확산 = 380 서구에서의 정당과 선거 = 386 정치 변동과 사회 변동 = 391 민족주의 운동 = 395 결론 : 민족 국가와 민족 정체성 그리고 세계화 = 398 Chapter 14 대중매체와 의사소통(Mass Media and Communications) = 403 신문과 텔레비전 = 405 텔레비전의 충격 = 409 미디어론 = 413 새로운 의사소통 기술 = 417 인터넷 = 420 세계화와 미디어 = 424 미디어 제국주의 = 429 미디어 규제에 관한 쟁점 = 434 결론 = 435 Chapter 15 교육(Education) = 439 변화하는 교육의 역할 = 441 영국의 교육 : 기원과 발달 = 442 고등교육 = 447 교육과 불평등 이론 = 450 젠더와 교육 = 453 IQ와 성공적 교육 = 456 결론 : 생애 학습 = 459 Chapter 16 종교(Religion) = 465 종교의 정의 = 467 종교의 다양성 = 469 종교 이론 = 472 종교 조직의 유형 = 476 젠더와 종교 = 478 종교, 세속화, 사회 변동 = 482 신흥종교운동 = 490 천년왕국운동 = 493 종교적 근본주의 = 495 결론 = 501 Chapter 17 도시와 도시공간(Cities and Urban Space) = 507 현대 도시성의 양상 = 509 도시성에 관한 이론 = 511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 518 도시와 지구촌화 = 521 글로벌 시대의 도시 관리 = 523 결론 : 도시와 전지구적 통치 = 525 Chapter 18 인구 성장과 생태학적 위기(Population Growth and Ecological Crisis) = 531 세계의 인구 성장 = 533 인류가 자연 세계에 미치는 영향 = 539 위험과 환경 = 549 장래에 대한 전망 = 558 환경 : 사회학적 이슈인가? = 559 Chapter 19 사회학에서 이론적 사고(Theoretical Thinking in Sociology) = 565 이론적 딜레마들 = 568 더 최근의 이론들 = 576 결론 = 582 기본 개념 풀이 = 585 참고문헌 = 603 찾아보기 =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