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토피아, 희망의 원리 : 성찰적 현대사회에서 유토피아론의 복원을 위하여

유토피아, 희망의 원리 : 성찰적 현대사회에서 유토피아론의 복원을 위하여 (Loan 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손철성
Title Statement
유토피아, 희망의 원리 : 성찰적 현대사회에서 유토피아론의 복원을 위하여 / 손철성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카피랜드 ,   2003.  
Physical Medium
289 p. ; 23 cm.
ISBN
897775446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303-309
000 00594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835109
005 20100806035053
007 ta
008 031015s2003 ulk 000a kor
020 ▼a 8977754461 ▼g 03160 : ▼c \12000
040 ▼a 211009 ▼c 211009
049 1 ▼l 111256386 ▼l 111256387
082 0 4 ▼a 301.01 ▼a 321.07 ▼2 21
090 ▼a 301.01 ▼b 2003
100 1 ▼a 손철성
245 1 0 ▼a 유토피아, 희망의 원리 : ▼b 성찰적 현대사회에서 유토피아론의 복원을 위하여 / ▼d 손철성 지음.
260 ▼a 서울 : ▼b 카피랜드 , ▼c 2003.
300 ▼a 28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 p.303-309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01.01 2003 Accession No. 1112563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1.01 2003 Accession No. 1112563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손철성(지은이)

현재 경북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철학 및 사회윤리를 연구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응용윤리학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관심 주제는 비판적 사회 이론, 유토피아, 분배적 정의, 평등 원리, 세계시민주의, 해외 원조, 난민, 국제적 간섭,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 등이다. 저서로 『유토피아, 희망의 원리』 『고전과 논리적 글쓰기』 『허버트 마르쿠제: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를 결합시키다』 『자본론: 자본의 감추어진 진실 혹은 거짓』 『역사를 움직이는 힘: 헤겔 & 마르크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공저) 『글쓰기의 힘』(공저), 『멀티플 팬데믹』(공저)』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자유주의』 『테러 시대의 철학: 하버마스, 데리다와의 대화』(공역)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지금, 왜 유토피아인가? = 5
1장 유토피아와 유토피스틱스 = 15
 1. 만하임의 유토피아 개념 = 16
 2. 근대적 유토피아 개념 = 19
 3. 만하임의 유토피아 개념의 한계 : 유토피아론과 지식 사회학적 입장의 대립 = 23
 4. 월러스틴의 '유토피스틱스' 개념 = 32
 5. 만하임과 월러스틴의 유토피아론 비교 = 35
2장 비판적 사회 이론에서 유토피아가 왜 중요한가? = 44
 1. '희망의 원리'로서 유토피아 = 44
 2. 유토피아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 47
 3.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블로흐의 유토피아적 해석은 타당한가? = 57
 4. 유토피아적 전망의 결핍은 어떤 문제를 낳는가? = 62
3장 마르크스가 꿈꾼 유토피아 = 70
 1. '유적 본질'의 실현으로서 공산주의 = 74
 2. '유적 본질'의 실현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요소 = 82
 3. 공산주의 사회 원리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요소 = 87
 4. 공산주의 사회 원리의 몇 가지 문제점 = 101
4장 마르크스 왜 유토피아를 꺼려했는가? = 116
 1. 과학적 사회 과학의 영향 = 116
 2. 실증주의와 반유토피아주의 = 122
 3. 역사주의와 반유토피아주의 = 142
 4. 경제 결정론과 반유토피아주의 = 148
5장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유토피아적 차원의 복원 시도 = 152
 1. 실증주의, 역사주의, 경제 결정론에 대한 비판 = 153
 2. 비판 이론의 유토피아주의적 측면 : 이성적 사회의 추구 = 163
6장 마르쿠제의 사상에서 상상력과 유토피아 = 176
 1. 비판 이론에서 유토피아와 상상력의 중요성 = 177
 2. 현대 사회의 1차원성과 유토피아 의식의 상실 = 179
 3. 유토피아론을 위한 프로이트 이론의 수용과 변형 : 유토피아로서 '억압 없는 문명' = 182
 4. 유토피아적 의식의 원천으로서 미학적 상상력 = 189
 5. 마르쿠제의 유토피아론에 대한 평가 : 마르크스 사상과 비교를 중심으로 = 196
7장 유토피아론은 과학적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는가? = 206
 1. 베버의 사회 과학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 주장 = 207
 2. 사회 과학의 가치 중립성 주장에 대한 비판 : 테일러의 '이론적 구조틀' 개념을 중심으로 = 212
 3. 하버마스의 소극적 유토피아론과 이에 대한 비판 = 217
 4. 사회 과학과 실천 철학의 결합으로서 유토피아론 = 230
8장 현실적 유토피아 기획 = 236
 1. 선택 가능한 열린 미래 = 237
 2. 상부 구조의 자율성 = 241
 3. 실질적 합리성의 평가 = 243
 4. 현실적 유토피아 기획으로서 유토피아론 = 248
9장 탈전통적 개인주의와 자아 실현의 전망 = 251
 1. 유토피아론에서 자아 실현적 전망의 중요성 = 251
 2. 탈전통적 개인주의와 마르크스의 '자아' 개념의 한계 = 261
 3. '자기 진실성'에 근거한 자아 정체성의 형성 : 나르시시즘적 개인주의에 대한 비판 = 268
 4. '생활 정치'와 자아 실현의 전망 = 276
10장 대안적 사회 체제와 참여 민주주의 = 283
 1. 대안적 사회 체제의 모색 : 기든스의 '제 3의 길'을 중심으로 = 283
 2. 유토피아적 기획의 주체와 참여 민주주의 = 291
맺음말 : 희망이 사라진 시대에 희망을 찾아서 = 300
참고문헌 = 30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