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지금, 왜 유토피아인가? = 5
1장 유토피아와 유토피스틱스 = 15
1. 만하임의 유토피아 개념 = 16
2. 근대적 유토피아 개념 = 19
3. 만하임의 유토피아 개념의 한계 : 유토피아론과 지식 사회학적 입장의 대립 = 23
4. 월러스틴의 '유토피스틱스' 개념 = 32
5. 만하임과 월러스틴의 유토피아론 비교 = 35
2장 비판적 사회 이론에서 유토피아가 왜 중요한가? = 44
1. '희망의 원리'로서 유토피아 = 44
2. 유토피아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 47
3.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블로흐의 유토피아적 해석은 타당한가? = 57
4. 유토피아적 전망의 결핍은 어떤 문제를 낳는가? = 62
3장 마르크스가 꿈꾼 유토피아 = 70
1. '유적 본질'의 실현으로서 공산주의 = 74
2. '유적 본질'의 실현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요소 = 82
3. 공산주의 사회 원리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요소 = 87
4. 공산주의 사회 원리의 몇 가지 문제점 = 101
4장 마르크스 왜 유토피아를 꺼려했는가? = 116
1. 과학적 사회 과학의 영향 = 116
2. 실증주의와 반유토피아주의 = 122
3. 역사주의와 반유토피아주의 = 142
4. 경제 결정론과 반유토피아주의 = 148
5장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유토피아적 차원의 복원 시도 = 152
1. 실증주의, 역사주의, 경제 결정론에 대한 비판 = 153
2. 비판 이론의 유토피아주의적 측면 : 이성적 사회의 추구 = 163
6장 마르쿠제의 사상에서 상상력과 유토피아 = 176
1. 비판 이론에서 유토피아와 상상력의 중요성 = 177
2. 현대 사회의 1차원성과 유토피아 의식의 상실 = 179
3. 유토피아론을 위한 프로이트 이론의 수용과 변형 : 유토피아로서 '억압 없는 문명' = 182
4. 유토피아적 의식의 원천으로서 미학적 상상력 = 189
5. 마르쿠제의 유토피아론에 대한 평가 : 마르크스 사상과 비교를 중심으로 = 196
7장 유토피아론은 과학적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는가? = 206
1. 베버의 사회 과학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 주장 = 207
2. 사회 과학의 가치 중립성 주장에 대한 비판 : 테일러의 '이론적 구조틀' 개념을 중심으로 = 212
3. 하버마스의 소극적 유토피아론과 이에 대한 비판 = 217
4. 사회 과학과 실천 철학의 결합으로서 유토피아론 = 230
8장 현실적 유토피아 기획 = 236
1. 선택 가능한 열린 미래 = 237
2. 상부 구조의 자율성 = 241
3. 실질적 합리성의 평가 = 243
4. 현실적 유토피아 기획으로서 유토피아론 = 248
9장 탈전통적 개인주의와 자아 실현의 전망 = 251
1. 유토피아론에서 자아 실현적 전망의 중요성 = 251
2. 탈전통적 개인주의와 마르크스의 '자아' 개념의 한계 = 261
3. '자기 진실성'에 근거한 자아 정체성의 형성 : 나르시시즘적 개인주의에 대한 비판 = 268
4. '생활 정치'와 자아 실현의 전망 = 276
10장 대안적 사회 체제와 참여 민주주의 = 283
1. 대안적 사회 체제의 모색 : 기든스의 '제 3의 길'을 중심으로 = 283
2. 유토피아적 기획의 주체와 참여 민주주의 = 291
맺음말 : 희망이 사라진 시대에 희망을 찾아서 = 300
참고문헌 =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