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독해 과정과 지도
1장 독서 과정의 개관 = 17
1. 전통적 하위기능 모형과 독서 지도 방법 = 17
2. 독해 과정 = 18
가. 미시 과정 = 19
나. 통합 과정 = 19
다. 거시 과정 = 20
라. 정교화 과정 = 20
마. 초인지 과정 = 21
바. 종합적 이해 과정 = 21
3. 독해 맥락 = 23
4. 독해의 정의 = 25
5. 독해 과정의 예 = 26
6. 단원정리 = 28
연습 과제 = 29
2장 독해 과정 지도 = 34
1. 의미있는 독서 상황 제시 = 35
2. 의미있는 맥락에서의 현시적인 과정 지도 = 36
3. 의미 구성을 위한 읽기와 쓰기의 통합 = 44
4. 의미구성에 관한 질문 = 45
5. 의미 구성을 향상시키는 토론 = 46
6. 단원정리 = 47
연습 과제 = 49
3장 미시 과정과 통합 과정 지도 = 54
1. 미시 과정 지도 = 54
가. 어구나누기 = 55
나. 미시 선택하기 = 61
2. 통합 과정 지도 = 63
가. 대용 관계 = 63
나. 접속어 = 67
다. 상황 추론하기 = 72
3. 단원정리 = 75
연습 과제 = 76
4장 거시 과정 지도 = 82
1. 글 구조 조직하기 = 83
가. 이야기 문법 = 83
나. 설명적인 글 구조 = 89
2. 요약하기 = 99
가. 거시 선택하기 = 99
나. 거시 규칙과 요약하기 = 102
3. 단원정리 = 112
연습 과제 = 113
5장 정교화 과정 지도 = 122
1. 정교화 과정 = 122
2. 예측하기 = 123
3. 사전 지식 정교화하기 = 127
4. 심상 형성하기 = 129
5. 정서적으로 반응하기 = 131
6. 고등 사고 반응 = 133
가. 적용 = 134
나. 분석 = 134
다. 종합 = 136
라. 평가 = 137
7. 정교화 지도를 위한 제언 = 137
8. 단원정리 = 138
연습 과제 = 139
6장 초인지 과정 지도 = 144
1. 기본 과정, 독해 맥락, 그리고 초인지적 결정 = 145
가. 초인지적 의사결정 지도 = 146
나. 독서 인터뷰 = 146
2. 의미 파악을 위한 독서 = 148
3. 기억을 위한 독서 = 153
4. 단원정리 = 160
연습 과제 = 161
2부 독해 과정의 요인
7장 개별적인 독자 맥락 : 누가 읽는가? = 169
1. 사전 지식 = 169
2. 어휘 발달 = 177
3. 정서적 요인들 = 186
가. 동기부여와 흥미 = 186
나. 독서와 관련된 자아 개념 = 187
4. 문화적 차이 = 188
5. 해독의 유창성 = 189
6. 단원정리 = 190
연습 과제 = 191
8장 텍스트 맥락 : 무엇이 읽혀지는가? = 199
1. 이독성 공식 = 200
2. 텍스트 '처리성'에 대한 평가 = 201
3. 이독성 점검표 = 205
4. 적절한 텍스트 선정하기 = 208
5.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평가 = 209
6. 단원정리 = 210
연습 과제 = 211
9장 상황 맥락 : 왜, 언제, 어디서 읽는가? = 215
1. 독서 과제의 구성 요소 = 215
가. 독서 목적 = 216
나. 독서 전략 = 217
다. 평가 과제 = 219
2. 사회적 맥락 = 219
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 219
나. 독서 집단 구성 = 220
다. 교실 환경 = 221
라. 학교와 지역사회 = 221
3. 단원정리 = 222
연습 과제 = 223
3부 독해 판정과 지도 실제
10장 질문하기 = 229
1. 질문의 범주 = 230
가. 결과 질문 = 230
나. 과정 질문 = 235
2. 질문 계획하기 = 238
3. 질문 활동에 참여시키기 = 239
4. 단원정리 = 241
연습 과제 = 243
11장 비형식 독해 평가 = 247
1. 전통적인 독해력 측정 = 247
2. 교실에서 교사를 위한 비형식적 평가 = 248
3. 독해 평가 점검표 = 250
4. 교정 지도 상황에서 관찰법 = 252
5. 자유 회상법 = 253
6. 사고 구술법 = 256
7. 포트폴리오 평가 = 258
8. 학생 자기 평가 = 258
9. 단원정리 = 258
연습 과제 = 260
12장 독서 지도 사례 = 264
1. 전체 내용 요약 = 265
2. 능동적인 독해 활동 = 268
3. 상황과 교수 전략의 통합 = 271
4. 기초독본 집단의 독해 지도 사례 = 272
5. 총체적인 집단의 독해 지도 사례 = 274
6. 교정 상황의 독해 지도 사례 = 275
7. 내용교과에서 독해지도 사례 = 277
교사 정리란 = 280
마치면서 : "맥락의 바깥" =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