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네트워크 기초 지식
1.1. 컴퓨터의 네트워크 등장 배경 = 2
1.1.1. 컴퓨터의 보급과 다양화 = 2
1.1.2. 독립형에서 네트워크 이용으로 = 2
1.1.3. 컴퓨터 통신에서 정보 통신 환경으로 = 4
1.1.4. 정보 네트워크의 역할 = 4
1.2. 컴퓨터와 네트워크 발전의 6단계 = 5
1.2.1.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 5
1.2.2. 시분할 방식(TSS) = 6
1.2.3. 컴퓨터간 통신 = 8
1.2.4. 컴퓨터 네트워크의 등장 = 9
1.2.5. 인터넷의 보급 = 10
1.2.6. 인터넷 기술 중심의 시대로 = 11
1.2.7. 모든 열쇠를 쥐고 있는 TCP/IP = 12
1.3. 프로토콜이란 = 13
1.3.1. 프로토콜이 가득! = 13
1.3.2. 패킷 교환과 프로토콜 = 14
1.3.3. 프로토콜로 대화하는 걸 생각하면 = 15
1.3.4. 컴퓨터에서의 프로토콜 = 16
1.4. 프로토콜의 표준화 = 17
1.4.1. 컴퓨터 통신의 등장부터 표준화로 = 17
1.4.2. 표준화 = 18
1.5. 프로토콜의 계층화와 OSI 참조 모델 = 19
1.5.1. 프로토콜의 계층화 = 19
1.5.2. 계층화를 대화로 생각한다면 = 21
1.5.3. OSI 참조 모델 = 22
1.5.4. OSI 참조 모델에서 각 층의 역할 = 24
1.6. OSI 참조 모델에 의한 통신처리의 예 = 26
1.6.1. 7계층의 통신 = 26
1.6.2. 세션층 이상에서의 처리 = 27
1.6.3. 트랜스포트층 이하에서의 처리 = 29
1.7. 통신 방식의 종류 = 32
1.7.1. 커넥션형과 커넥션리스형 = 32
1.7.2.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 34
1.7.3.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 35
1.8.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 37
1.8.1. 통신매체와 데이터 링크 = 37
1.8.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37
1.8.3. 리피터 = 40
1.8.4. 브리지/레이어2 스위치 = 41
1.8.5. 라우터/레이어3 스위치 = 44
1.8.6. 게이트웨이 = 44
제2장 TCP/IP 기초 지식
2.1. TCP/IP 등장 배경과 그 역사 = 48
2.1.1. 군사기술의 응용에서 = 48
2.1.2. ARPANET의 탄생 = 49
2.1.3. TCP/IP의 탄생 = 50
2.1.4. UNIX의 보급과 인터넷의 확대 = 50
2.1.5. 상용 인터넷 서비스의 시작 = 51
2.2. TCP/IP의 표준화 = 52
2.2.1. TCP/IP란 무엇인가? = 52
2.2.2. TCP/IP 표준화의 정신 = 53
2.2.3. TCP/IP의 명세서 RFC = 53
2.2.4. TCP/IP 프로토콜의 표준화 = 56
2.2.5. RFC의 입수방법 = 58
2.3. 인터넷의 기초 지식 = 59
2.3.1. 인터넷이란 = 59
2.3.2. 인터넷과 TCP/IP의 관계 = 59
2.3.3. 인터넷의 구조 = 60
2.3.4. 지역 네트워크와 ISP = 61
2.4. TCP/IP 프로토콜 계층 모델 = 61
2.4.1. TCP/IP와 OSI 참조 모델 = 62
2.4.2. 하드웨어 = 62
2.4.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 63
2.4.4. 인터넷층 = 63
2.4.5. 트랜스포트층 = 64
2.4.6. 애플리케이션층(세션층 이상의 상위층) = 65
2.5. TCP/IP 계층 모델과 통신 예 = 70
2.5.1. 패킷 헤드 = 70
2.5.2. 패킷의 송신 처리 = 70
2.5.3. 데이터 링크를 흐르는 패킷의 모양 = 73
2.5.4. 패킷의 수신 처리 = 74
2.5.5. 헤더는 프로토콜의 얼굴 = 75
제3장 데이터 링크
3.1. 데이터 링크란 = 79
3.1.1. MAC 주소(랜카드 고유번호) = 79
3.1.2. 매체 공유형의 네트워크 = 80
3.1.3. 매체 비공유형의 네트워크 = 82
3.2. 이더넷 = 84
3.2.1. 여러 이더넷의 종류 = 84
3.2.2. 이더넷은 CSMA/CD 방식 = 85
3.2.3. 이더넷의 프레임 포맷 = 86
3.3. FDDI = 90
3.3.1. FDDI의 특징 = 91
3.3.2. FDDI의 프레임 포맷 = 91
3.4. ATM = 92
3.4.1. 동기 다중과 비동기 다중 = 93
3.4.2. ATM의 특징 = 94
3.4.3. ATM과 상위층 = 94
3.5. PPP = 96
3.5.1. PPP란 = 96
3.5.2. LCP와 NCP = 96
3.5.3. PPP의 프레임 포맷 = 97
3.5.4. PPPoE(PPP over Ethernet) = 98
3.6. 기타의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 99
3.6.1. Token Ring = 99
3.6.2. 100VG-AnyLAN = 99
3.6.3. 파이버 채널(Fiber Channel) = 100
3.6.4. HIPPI = 100
3.6.5. IEEE1394 = 100
3.6.6. IEEE802.11b(무선 LAN) = 100
3.6.7. IEEE802.11a(무선 LAN) = 100
3.6.8. Bluetooth = 101
3.7. 데이터 링크 기술의 변화 = 101
3.7.1. 스위칭 기술 = 101
3.7.2. 루프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 = 103
3.7.3. VLAN(Virtual LAN) = 105
제4장 IP 프로토콜
4.1. 인터넷층의 프로토콜인 IP = 108
4.1.1. OSI 참조 모델의 제3층에 해당하는 IP = 108
4.1.2. 네트워크층과 데이터 링크층의 관계 = 109
4.2. IP의 기초 지식 = 110
4.2.1. IP 주소 = 110
4.2.2. 경로 제어 = 111
4.2.3. 데이터 링크의 추상화 = 113
4.2.4. IP는 커넥션리스형 = 114
4.3. IP 주소의 기초 지식 = 116
4.3.1. IP 주소란? = 116
4.3.2.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로 구성된 IP 주소 = 117
4.3.3. IP 주소의 클래스 = 118
4.3.4. 브로드캐시트 주소 = 120
4.3.5. 서브넷 마스크 = 122
4.3.6. CIDR과 classless = 124
4.3.7. 특별한 IP 주소 = 125
4.3.8. IP 주소는 누가 정하나 = 126
4.4. 경로 제어 = 128
4.4.1. IP 주소와 경로 제어 = 128
4.4.2. 경로 제어표의 집약 = 130
4.5. IP의 분할 처리와 재구축 처리 = 132
4.5.1. 데이터 링크에 따라 다른 MTU = 132
4.5.2. IP 데이터그램의 분할 처리와 재구축 처리 = 132
4.5.3. 경로 MTU 탐색(Path MTU Discovery) = 133
4.6. ARP = 136
4.6.1. ARP의 개요 = 136
4.6.2. ARP의 구조 = 136
4.6.3. IP 주소와 MAC 주소는 둘 다 필요? = 138
4.6.4. RARP = 139
4.6.5. 프록시 ARP = 140
4.7. ICMP = 142
4.7.1. IP를 보조하는 ICMP = 142
4.7.2. 주요 ICMP 메시지 = 143
4.7.3. 기타 ICMP 메시지 = 146
4.8. IP 멀티캐스트 = 147
4.8.1. 동시 전송으로 효율성 향상 = 147
4.8.2. IP 멀티캐스트와 IGMP = 148
4.9. IP 헤더 = 150
제5장 IP 관련 기술과 IPv6
5.1. DHCP = 156
5.1.1. 플러그 & 플레이를 가능케 하는 DHCP = 156
5.1.2. DHCP의 구조 = 157
5.2. NAP = 158
5.3. 보안에 관한 기술 = 161
5.3.1. 방화벽 = 161
5.3.2. 암호화 = 162
5.3.3. 인증 = 163
5.3.4. IP 보안과 VPN = 163
5.4. 품질보증(QOS)과 RSVP, MPLS = 165
5.4.1. 품질보증이란 = 165
5.4.2. 품질보증의 구조 = 165
5.4.3. 품질제어와 MPLS = 166
5.5. IPv6 = 168
5.5.1. IPv6이 필요한 이유 = 168
5.5.2. IPv6의 특징 = 168
5.5.3. IPv6에서의 IP 주소 표기방법 = 169
5.5.4. IPv6의 주소 아키텍처 = 170
5.5.5. IPv6의 공인 IP 주소 포맷 = 171
5.5.6. IPv6에서의 분할화 처리 = 172
5.6. ICMPv6 = 172
5.6.1. ICMPv6의 역할 = 172
5.6.2. 근린 탐색(ND : Neighbor Discovery) = 173
5.7. IPv6의 헤더 포맷 = 175
5.7.1. IPv6 확장 헤더 = 177
제6장 TCP와 UDP
6.1. 트랜스포트층의 역할 = 180
6.1.1. 트랜스포트층의 역할 = 180
6.1.2. 통신 처리 = 171
6.1.3. 두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TCP와 UDP = 182
6.1.4. TCP와 UDP의 구분 사용 = 183
6.2. 포트 번호 = 184
6.2.1. 포트 번호란 = 184
6.2.2. 포트 번호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 184
6.2.3. IP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 번호에 의한 통신의 식별 = 185
6.2.4. 포트 번호의 결정법 = 186
6.2.5.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 = 189
6.3. UDP = 190
6.3.1. UDP의 목적과 특징 = 190
6.4. TCP = 191
6.4.1. TCP의 목적과 특징 = 192
6.4.2. 시퀀스 번호와 확인 응답으로 신뢰성 제공 = 192
6.4.3. 재송신 타임아웃의 결정 = 195
6.4.4. 커넥션 관리 = 196
6.4.5. TCP는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 송신 = 197
6.4.6. 윈도 제어로 속도 향상 = 197
6.4.7. 윈도 제어와 재송신 제어 = 200
6.4.8. 흐름 제어 = 201
6.4.9. 폭주 제어 = 202
6.4.10. 네트워크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구조 = 205
6.4.11. TCP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 207
6.5. 실시간 통신과 RTP = 208
6.5.1. 실시간 통신이란 = 208
6.5.2. RTP와 RTCP = 209
6.6. UDP 헤더 포맷 = 210
6.7. TCP 헤더 포맷 = 212
제7장 경로 제어 프로토콜(루팅 프로토콜)
7.1. 경로 제어란 = 220
7.1.1. IP 주소와 경로 제어 = 220
7.1.2. 정적 경로 제어와 동적 경로 제어 = 220
7.1.3. 동적 경로 제어의 기초 = 222
7.2. 경로의 제어 범위 = 222
7.2.1.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여러 조직 = 222
7.2.2. 자율 시스템과 경로 제어 프로토콜 = 223
7.2.3. EGP와 IGP = 224
7.3. 경로 제어 알고리즘 = 224
7.3.1. 거리 벡터형 = 224
7.3.2. 링크 상태형 = 225
7.3.3. 주요 경로 제어 프로토콜 = 226
7.4. RIP = 227
7.4.1. 경로 제어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 227
7.4.2. 거리 벡터에 의한 경로 결정 = 228
7.4.3.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한 경우의 RIP 처리 = 228
7.4.4. RIP에서 경로가 변경되었을 때의 처리 = 229
7.4.5. RIP2 = 232
7.5. OSPF = 233
7.5.1. OSPF는 링크 상태형의 경로 제어 프로토콜 = 234
7.5.2. OSPF의 기초 지식 = 235
7.5.3. OSPF 동작의 개요 = 236
7.5.4. 계층화된 영역으로 분류하여 세밀하게 관리 = 237
7.6. BGP(Border Gateway Protocol) = 239
7.6.1. BGP와 AS 번호 = 239
7.6.2. BGP는 경로 벡터 = 241
제8장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8.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개요 = 244
8.2. DNS = 245
8.2.1. 쉽지 않은 IP 주소의 암기 = 246
8.2.2. DNS의 등장 = 246
8.2.3. 도메인명의 구조 = 247
8.2.4. DNS에 의한 문의 = 250
8.2.5. DNS는 인터넷에 확산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 251
8.3. WWW(World Wide Web) = 252
8.3.1. 인터넷 붐의 주역 = 252
8.3.2. WWW의 개념 = 253
8.3.3. URL = 253
8.3.4. HTML = 255
8.3.5. HTTP = 256
8.4. 전자메일 = 259
8.4.1. 전자메일의 구조 = 259
8.4.2. 전자메일 주소 = 261
8.4.3. MIME = 262
8.4.4. SMTP = 263
8.4.5. POP = 265
8.4.6.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 266
8.5. 원격 로그인(TELNET) = 267
8.5.1. TELNET의 구조 = 268
8.6. 파일 전송(FTP) = 270
8.7. NFS = 274
8.8. 네트워크 관리 = 276
8.8.1. SNMP = 276
8.8.2. MIB = 278
8.8.3. RMON(Remote Monitoring MIB) = 279
8.8.4. SNMP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예 = 279
8.9. LDAP = 280
제9장 물리층 전송 매체와 공중 통신 서비스
9.1. 0과 1의 부호화 = 282
9.2. 컴퓨터를 잇는 통신 매체 = 283
9.2.1. 동축 케이블 = 283
9.2.2.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 284
9.2.3. 광섬유 케이블 = 286
9.2.4. 무선 = 287
9.3. 공중 통신 서비스 = 289
9.3.1. 아날로그 회선 = 289
9.3.2. ISDN = 289
9.3.3. 휴대 전화, PHS = 290
9.3.4. ADSL = 290
9.3.5. 케이블 텔레비전 = 291
9.3.6. 전용 회선 = 292
9.3.7. X.25 = 293
9.3.8. 프레임 릴레이 = 294
9.3.9. IP-VPN = 295
9.4. 인터넷으로의 접속 형태 = 296
9.4.1. 다이얼업 접속 = 296
9.4.2. 상시 접속 = 297
9.4.3. 일시적인 IP 주소와 영구적인 IP 주소 = 297
9.4.4. NAT(NAPT)에 의한 인터넷 접속 = 298
9.4.5. 인터넷에 접속할 때의 주의점 = 299
9.4.6. 방화벽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 299
9.4.7.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의 이용 = 301
9.5. IPv6과 미래의 네트워크 = 302
9.5.1. NAT(NAPT)와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의 문제점 = 302
9.5.2. IPv6이 되면 무엇이 달라지나 = 303
9.5.3. IPv6 시대의 네트워크 = 304
부록
부록 1. 인터넷상의 유용한 정보 = 308
부록 2. 클래스별 주소 = 309
부록 2.1. 클래스 A = 309
부록 2.2. 클래스 B = 310
부록 2.3. 클래스 C = 311
부록 3. TCP/IP 기초 용어집 = 312